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on Work Valu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Parental Effect

여대생의 직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부모의 영향을 중심으로

  • Kim, Sun Sook (Dep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Sunchon National Univ.) ;
  • Kim, Sunghee (Dept. of Social Welfare, Sunchon National Univ)
  • 김선숙 (순천대학교 사회문화예술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 김성희 (순천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18.12.01
  • Accepted : 2019.02.22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on work valu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parental effect to enhance their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and the collected 400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had more leisure-oriented and extrinsic work values than labor-oriented and intrinsic work values. The labor-oriented and intrinsic work values appeared to be high in the group with experience of part time jobs, with high educated father or with middle household income. The influencing factors on college students' work values were parental work values, gender consciousness, self-efficacy and major.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parents of college students should be educated to change their work values.

Keywords

References

  1. 강수진(2016). 부모와 청소년 자녀의 직업가치관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은주.김혜연(2010). 여성직업교육프로그램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4), 279-298.
  3. 국민일보(2018.08.13). 육아휴직 복귀하니 업무가 바뀌고 책상이 사라졌다-기업현장의 구멍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992363.
  4. 권현지.강이수.권혜원.김서경.김석호.박명규.박명준.박종식.양종민.이병훈.이정희.허재준(2017). 21세기 디지털 기술변동과 고용관계. 한국노동연구원.
  5. 김미정(2011). 고학력 여성인력의 효율적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병숙.최병훈.김소영(2007). 재직 근로자의 직업윤리 의식조사. 진로교육연구, 20(1), 55-73.
  7. 김보경.주은정.김재철(2016). 청년층의 직장 만족도와 이직의도의 관계.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영혜.안현의(2014). 대학생의 부모-자녀 유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진로결정 관계에서 성취압력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26(3), 657-684.
  9. 김현미.임은미(2012). 부모-자녀관계 및 변화가 청소년의 직업가치변화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5(4), 57-73.
  10. 김형태(2011). 너, 외롭구나. 서울: 예담.
  11. 마경희.김혜경(2005). 대학생의 직업의식과 젠더. 페미니즘연구, 6, 189-237.
  12. 민가영(2016). 젠더.계층의 교차를 통해 본 20대 대학생의 성별분업에 대한 인식-가족의 경제적 지원을 받는 서울지역 4년제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32(2), 113-147.
  13. 박동열.김대영(2006). 대학생의 직업의식에 관한 실태. 직업교육연구, 25(2), 1-32.
  14. 박미석.김경아.김지은(2007). 가정내 변혁적 리더쉽 수준과 직업만족도-서 울시 직장기혼남녀를 대상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1), 21-36.
  15. 박희연(2012).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학습관여 군집에 따른 자녀의 진로포부 차이. 인천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사이언스타임즈(2016. 01. 19). 신기술이 여성일자리 빼앗는다? https://blog.naver.com/chemnote/220601984525.
  17. 신선미.정경아.박수미.최윤정(2007). 여대생의 직업세계 인식 실태조사 도구 개발. 교육인적자원부.
  18. 이만우.김시광.김란영(2012). 부모에 대한 경제적 의존과 자녀의 만혼화. 한국보건사회연구원.한국경제학회.
  19. 이수연.백영주.박군석(2009). 남성의 균형적 삶을 위한 젠더의식 개선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 이영민.이수영.임정연(2014). 대학생 선호직장의 취업 결정요인 분석 : 취업준비행동의 역할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53(1), 337-374.
  21. 이재은.이희찬 (2018). 카지노 직원의 직업 소명의식이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을 조절 효과로. 관광연구저널, 32(1), 141-151.
  22. 이지연 (2006). 청소년이 인식하는 일 가치의 변화. 직업교육연구, 25(3), 163-181.
  23. 이철희.이지은(2017). 인구고령화가 노동수급에 미치는 영향. BOK경제연구. 한국은행.
  24. 이형룡.황서현 (2015). 호텔 직원의 직업소명 의식과 자기 주도학습, 혁신행동 및 직무성과의 구조적 관계. 외식경영연구, 18(4), 175-200.
  25. 임상옥(2013).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직업가치관 간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임중경.고선강(2010). 직장 내 가족친화제도가 취업모의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1), 97-118.
  27. 장선철.정진택(2004). 부모-자녀간의 애착, 자기효능감이 고등학생의 직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17(2), 29-43.
  28. 장하진.강이수.김혜경.신경아(2000). 여대생의 직업의식의 실태와 정책과제. 고용노동부.
  29. 장현진(2017). 국가진로교육센터 운영지원: 대학 진로교육 현황조사-기초통계표. 교육부.한국직업능력개발원.
  30. 정윤경.박천수.윤수린(2014).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1. 주간조선(2009.04.21). 리얼 스토리: 부모는 모르는 20대의 비밀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4/26/2009042600203.html.
  32. 중앙일보(2016.12.13). 한국인의 자녀 양육관 8년 전과 비교해보니 https://news.joins.com/article/20995746.
  33. 중앙일보(2018.06.21). 한국부부, 44%가 맞벌이, 1인 가구도 560만 달해 https://news.joins.com/article/22735235.
  34. 최성은(2016). 여성 일-가정양립의 제도주의적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탁승현.김성희.구혜령(2012). 대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의 관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3), 53-65.
  36. 한겨레(2012.10.22.). '잡스 칭송' 부모들, 자식에겐 '공무원' 되라?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56966.html.
  37. 한겨레(2017.12.13.). 대학생, 제일 큰 고민은 '취업' ...희망 직장은 '공무원.대기업'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23290.html.
  38. 한겨레(2018.03.18). 한국, 남녀경제활동 격차 여전히 높아 http://www.hani.co.kr/arti/economy/finance/836575.html.
  39. 한국경제(2018.11.07). 경제활동 안하는 4명 중 1명은 대졸... 비중 상승세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1079887Y.
  40. 한국교육개발원(2018). 2017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한국교육개발원.
  41. Bunderson, J. S. & Thompson, J. A. (2009). The call of the wild: Zookeepers, callings and the dual edges of deeply meaningful work.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54, 32-57. https://doi.org/10.2189/asqu.2009.54.1.32
  42. Saltzstein, A. L., Ting, Y. & Saltzstein, G. H. (2001). Work-family balance and job satisfaction: The impact of family-friendly policies on attitudes of federal government employee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1(4), 452-467. https://doi.org/10.1111/0033-3352.00049
  43. Wrzesniewski, A., McCauley, C., Rozin, P. & Schwartz, B.(1997). Jobs, careers, and callings: People's relations to their work.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1, 21-33. https://doi.org/10.1006/jrpe.1997.2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