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ctivation of Family-Friendly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Resting' Life of employers in Ulsan - Based on the interview of family-friendly certified firms -

울산지역 근로자의 '쉼' 있는 삶을 위한 가족친화인증제도 활성화 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 -가족친화인증기업(관) 인터뷰를 중심으로-

  • Kwon, Anna (Ulsan Women & Family Development Institute)
  • Received : 2018.11.29
  • Accepted : 2019.02.14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lements to enhance and activate the quality of life by establishment of family-friendly environment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in family-friendly certified firms in UIsan. As a result, its activation is possible when each party of companies- employees-government tries to change, and its main elements and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 'management philosophy of the company representative' showed to directly affect development of flat organization culture and system activation, with respect to the companies. Second for employees, 'value changes to prioritize work-life balance' demonstrated to affect the utilizations and establishment of family-friendly systems within the organization as the critical element. Lastly, it is considered for government to be able to activate this if 'delivery system with professionality' is secured to help 'legalization of policy,' company productivity, and work-life balance of employees. On the other hand, further studies on the elements to be able to activate family-friendly certifications and analysis on its justification are required by expanding the number of companied in Ulsan.

Keywords

References

  1. 가족친화지원사업. www.ffsb.kr.
  2. 고용노동부(2018.4). 시도별 임금 및 근로시간 보고서. 고용노동부.
  3. 국가법령정보센터. www.law.go.kr.
  4. 권안나(2017). 울산광역시 가족의 문화.여가생활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울산여성가족개발원.
  5. 김선미.전종근.이승미.구혜령.이현아(2017). 가족친화인증제도 검토를 위한 미인증기업의 가족친화문화 사례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1(3), 161-182.
  6. 남기섭(2017). 일-생활의 균형(WLB)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심리적 웰빙의 매개효과. 경영 경제연구, 39(2), 135-161.
  7. 박정열.손영미(2014). 여성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 유형화 : 전일제 여성 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2), 75-102.
  8. 손태주(2017). 제주기업의 가족친화제도 이용실태 및 활성화 방안. 제주여성가족연구원.
  9. 송혜림.박정윤.고선강.권혜진.김유경.진미정(2010). 남성의 아버지역할 수행 실태 : 가족친화문화조성을 위한 아버지교육 프로그램 개발에의 제안. 한국가정관리학회 2010년 춘계학술대회.
  10. 안미수(2016). 울산광역시 일.가정양립을 위한 가족친화 직장환경 조성에 대한 기초연구. 울산여성가족개발원.
  11. 여성가족부(2018). 제2차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2018-2022). 여성가족부.
  12. 이군희(2009). 사회과학연구방법론[수정판]. 법문사.
  13. 이유리.정영금.최나리.강복정.박경은(2018). 가족친화 인증후 컨설팅사업의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1), 1-21.
  14. 이철선.권소일(2012). 친가족기업 지표개발과 적용방안: 가족친화인증제도의 성과점검과 향후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5. 이투데이(2018. 10. 1.). 직장 선택 기준, 직장인 '연봉' VS 구직자 '고용안정성'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668284.
  16. 장미나.한경혜(2011). 어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들의 일상생활경험: 경험표집법(ESM)으로 살펴본 남녀의 일상시간 구성과 정서경험 비교. 가족과 문화, 23(1), 1-39.
  17. 정영금.조성은.안재희.김지수(2013). 가족친화지원사업의 시행현황과 개선방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4), 83-96. https://doi.org/10.7466/JKHMA.2013.31.4.083
  18. 조희금.서지원(2009).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 균형을 위한 가정생활 영역의 정책적 요구 : 자녀돌봄 및 가사노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1), 61-81.
  19. 최청락.전혜숙.김권주(2017). 부산지역 가족친화 직장환경 실태 및 지원체계 구축방안. 부산여성가족개발원.
  20. 통계청(2014). 2014 생활시간조사. 통계청.
  21. 통계청(2017). 사회조사. 통계청.
  22. 통계청(2018). 경제활동인구조사. 통계청.
  23. 홍승아.김은지(2015). 가족친화인증제도 운영의 기업업종별 특수성 반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