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조사대상자의 특성
표 2. 주요 변수의 기술
표 3. 다중회귀분석 결과
References
- A. Farina, D. Gliha, L. A. Boarded, and M. Shareman, "Mental illness and impact of believing others know about it," j. Abnorm Psychology, Vol.77, pp.1-5, 1971. https://doi.org/10.1037/h0030496
- S. E. Mason and R. Miller, "Stigma and Schizophrenia: Disorder in student Training" Journal of Teaching in Social Work, Vol.26, No.1/2, pp.73-91, 2006, https://doi.org/10.1300/J067v26n01_05
- 조윤화, 정신장애인 지역사회 통합지원방안 연구, 한국장애인개발원, 2004.
- 김주환, 회복탄력성, (주)위즈덤 하우스, 2011.
- F. Walsh,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New York: Guilford, 1998.
- 김은지, 정신분열 환자의 개인․사회적 기능과 가족스트레스의 관계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문인숙, 양옥경, 만성정신장애와 사회복지서비스 한국정신건강복지연구소, 서울 : 인간과 복지, 1994.
- R. P. Lieberman and A. Kopelowicz, "Recovery from schizophrenia : A concept in search of research," Psychiatric Services, Vol.56, No.6, pp.735-742, 2005. https://doi.org/10.1176/appi.ps.56.6.735
- Anthony, "Recovery from mental illness: The guiding vision of the mental health service system in the 1990s,"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Journal, Vol.16, No.4, pp.11-23, 1993. https://doi.org/10.1037/h0095655
- D. Terner, "Mapping the routes to recovery," Mental Health Today, 2002.7.29-31.
- L. Davidson and D. Roe, "Recovery from versus recovery in serious mental illness; One strategem for lessening confusing plaguing recovery," Journal of Mental Health, Vol.16, No.4, pp.11-19, 2007.
- M. Mancine, Theories of recovery elicited from individuals diagnosed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Doctorial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New York, USA, 2003.
- K. T. Mueser, P. W. Corrigan, D. W. Hilton, B. A. Schaub, S. Gingerich, S. M. Essock, N. Tarrier, B. Morey, S. Vogel-Scibilia, and M. I. Herz, "Illness management and recovery: Areview of the research," Psychiatric Services, Vol.53, No.10, pp.1272-1284, 2002. https://doi.org/10.1176/appi.ps.53.10.1272
- L. Spaniol, N. J. Wewiorske, C. Gagne, and W. Anthony, "The Process of Recovery from Schizophrenia," International Review of Psychiatry, Vol.14, pp.327-336, 2002. https://doi.org/10.1080/0954026021000016978
- H. I. McCubbin and M. A. Thompson, "Typologies of resilience families ; Emerging Roles of Social Class and ethnicity," Family Relations, Vol.37, pp.247-254, 1988. https://doi.org/10.2307/584557
- L. Valentine and L. L. Feinauer, "Resilience factors associated with survivors of childhood sexual abuses,"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Vol.21, No.3, pp.216-224, 1993. https://doi.org/10.1080/01926189308250920
- 최윤정, 최송식, "정신장애인의 회복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사회사업, 제26권, pp.252-288, 2007.
- 김나라, 만성정신분열병의 회복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김지영, 정신분열병환자의 회복경험: '삶의 재구성' 과정,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P. E. Deegan, "Recovery: The Lived Experience of Rehabilitation,"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Journal, Vol.11, No.4, pp.11-19, 1988. https://doi.org/10.1037/h0099565
- 김정남,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낙인척도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제8권, 제3호, pp.581-593, 2003.
- S. L. Young and D. S. Ensing, "Exploring Recovery from the Perspective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Vol.22, No.3, pp.219-231, 1999.
- 최윤정, 지역사회통합을 통한 정신장애인의 회복전략,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하경희,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를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이 인식한 임파워먼트 실천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B. G. Link, F. T. Cullen, E. Stucning, and P. E. Shout, "A modifiedlabeling theory approach to disorder and empirical assess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54, No.3, pp.400-426, 1989. https://doi.org/10.2307/2095613
- 서미경, "지각된 낙인이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제4호, pp.173-194, 2004.
- A. Whittaker and R. Garbarino, Social support Networks, New York; Aldine Publishing Company, 1983.
- 최인숙, 사회적 지지가 정신질환자들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심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 이상균, 정신건강에 대한 지역사회기반의 사회사업실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 강방글, 정신장애인 사회복귀 프로그램과 사회통합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이진향, 강요가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강석임, 정신장애인의 회복과정 영향요인,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