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Recovery of People with a Mental Disorder: With a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전순보 (가톨릭관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동영 (가톨릭관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9.04.03
  • Accepted : 2019.05.15
  • Published : 2019.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mpirically influential factors related to the recovery of people with a mental disorder and also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developed a research model that took into consideration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ments of individual and social factors based on the ecolog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ecosystem perspectives in previous studies and checked their causal effect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in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subjects include 112 clients at an institution for people with a mental disorder. Data was collected with an interview based on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as put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self-esteem, social stigma, and social support excluding symptoms and that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had positive(+) synergistic effects only o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made proposals about practice strategie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internal and external support systems to make an effective approach to recovery and the systemization of family resilience and supportive strategies to promote the smooth recovery of people with a mental disorder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programs related to the confirmed positive elements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회복과 관련한 영향요인과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생 심리 사회관점과 생태체계관점을 토대로, 선행연구를 통해 개인적 사회적 요인의 긍정적 부정적 요소를 모두 고려한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이들 요인들의 인과적 효과와 함께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에 대해 통계적 유의미성을 확인하였다. 조사대상은 정신장애인 관련기관 이용자 112명으로, 자료수집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한 면접조사로 이루어졌으며, 분석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증상을 제외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낙인, 사회적 지지 모두 통계적 유의미성이 확인되었고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는 정(+)적으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에만 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효과적 회복접근을 위해 내 외적 지지체계 구축 및 가족탄력성의 체계화를 실천전략으로, 확인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긍정적 요소와 관련된 프로그램 강화를 통해 정신장애인의 순적한 회복지원을 위한 전략들에 대해 제언하였다.

Keywords

표 1. 조사대상자의 특성

CCTHCV_2019_v19n5_306_t0001.png 이미지

표 2. 주요 변수의 기술

CCTHCV_2019_v19n5_306_t0002.png 이미지

표 3. 다중회귀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5_306_t0003.png 이미지

References

  1. A. Farina, D. Gliha, L. A. Boarded, and M. Shareman, "Mental illness and impact of believing others know about it," j. Abnorm Psychology, Vol.77, pp.1-5, 1971. https://doi.org/10.1037/h0030496
  2. S. E. Mason and R. Miller, "Stigma and Schizophrenia: Disorder in student Training" Journal of Teaching in Social Work, Vol.26, No.1/2, pp.73-91, 2006, https://doi.org/10.1300/J067v26n01_05
  3. 조윤화, 정신장애인 지역사회 통합지원방안 연구, 한국장애인개발원, 2004.
  4. 김주환, 회복탄력성, (주)위즈덤 하우스, 2011.
  5. F. Walsh,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New York: Guilford, 1998.
  6. 김은지, 정신분열 환자의 개인․사회적 기능과 가족스트레스의 관계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7. 문인숙, 양옥경, 만성정신장애와 사회복지서비스 한국정신건강복지연구소, 서울 : 인간과 복지, 1994.
  8. R. P. Lieberman and A. Kopelowicz, "Recovery from schizophrenia : A concept in search of research," Psychiatric Services, Vol.56, No.6, pp.735-742, 2005. https://doi.org/10.1176/appi.ps.56.6.735
  9. Anthony, "Recovery from mental illness: The guiding vision of the mental health service system in the 1990s,"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Journal, Vol.16, No.4, pp.11-23, 1993. https://doi.org/10.1037/h0095655
  10. D. Terner, "Mapping the routes to recovery," Mental Health Today, 2002.7.29-31.
  11. L. Davidson and D. Roe, "Recovery from versus recovery in serious mental illness; One strategem for lessening confusing plaguing recovery," Journal of Mental Health, Vol.16, No.4, pp.11-19, 2007.
  12. M. Mancine, Theories of recovery elicited from individuals diagnosed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Doctorial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New York, USA, 2003.
  13. K. T. Mueser, P. W. Corrigan, D. W. Hilton, B. A. Schaub, S. Gingerich, S. M. Essock, N. Tarrier, B. Morey, S. Vogel-Scibilia, and M. I. Herz, "Illness management and recovery: Areview of the research," Psychiatric Services, Vol.53, No.10, pp.1272-1284, 2002. https://doi.org/10.1176/appi.ps.53.10.1272
  14. L. Spaniol, N. J. Wewiorske, C. Gagne, and W. Anthony, "The Process of Recovery from Schizophrenia," International Review of Psychiatry, Vol.14, pp.327-336, 2002. https://doi.org/10.1080/0954026021000016978
  15. H. I. McCubbin and M. A. Thompson, "Typologies of resilience families ; Emerging Roles of Social Class and ethnicity," Family Relations, Vol.37, pp.247-254, 1988. https://doi.org/10.2307/584557
  16. L. Valentine and L. L. Feinauer, "Resilience factors associated with survivors of childhood sexual abuses,"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Vol.21, No.3, pp.216-224, 1993. https://doi.org/10.1080/01926189308250920
  17. 최윤정, 최송식, "정신장애인의 회복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사회사업, 제26권, pp.252-288, 2007.
  18. 김나라, 만성정신분열병의 회복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9. 김지영, 정신분열병환자의 회복경험: '삶의 재구성' 과정,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20. P. E. Deegan, "Recovery: The Lived Experience of Rehabilitation,"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Journal, Vol.11, No.4, pp.11-19, 1988. https://doi.org/10.1037/h0099565
  21. 김정남,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낙인척도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제8권, 제3호, pp.581-593, 2003.
  22. S. L. Young and D. S. Ensing, "Exploring Recovery from the Perspective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Vol.22, No.3, pp.219-231, 1999.
  23. 최윤정, 지역사회통합을 통한 정신장애인의 회복전략,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4. 하경희,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를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이 인식한 임파워먼트 실천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25. B. G. Link, F. T. Cullen, E. Stucning, and P. E. Shout, "A modifiedlabeling theory approach to disorder and empirical assess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54, No.3, pp.400-426, 1989. https://doi.org/10.2307/2095613
  26. 서미경, "지각된 낙인이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제4호, pp.173-194, 2004.
  27. A. Whittaker and R. Garbarino, Social support Networks, New York; Aldine Publishing Company, 1983.
  28. 최인숙, 사회적 지지가 정신질환자들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심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29. 이상균, 정신건강에 대한 지역사회기반의 사회사업실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30. 강방글, 정신장애인 사회복귀 프로그램과 사회통합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31. 이진향, 강요가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32. 강석임, 정신장애인의 회복과정 영향요인,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