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Workforce Capacity of Local Children Center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업무 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박운주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인재개발학과) ;
  • 송선희 (호서대학교 인재개발학과)
  • Received : 2019.03.12
  • Accepted : 2019.04.02
  • Published : 2019.04.28

Abstract

There are many different job skill evaluation scales, but the development of the job skill scale for the workers in the local child care centers has much to be impro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job skill scales for the workers of local child care centers. It is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specify the scope of work for such workers and define the job skills to develop a tool to evaluate the job skills of them, eventually. As for the study method, the researcher conducted literature review and Delphi survey to extract the job skill factors. Then, after going through a discussion with an expert, the researcher developed the preliminary question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and the certification validity.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workers in local child care centers across the country, and a total of 221 questionnaires have been used for analysis. With this, a total of five job skill factors for such workers were identified, based on which 20 questions were developed to constitute the scale. The sub-factors identified were student supervision, program planning, child education, administrative works, and link-up with the local community. The confidence level of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Cronbach ${\alpha}=.940$(N=221). With the scale of the job skills of the workers in local child care centers, it would be possible to develop various job skill programs. And, this would be able to be used for evaluating the job skill levels of not only the workers in the local child care centers but also other child-care service providers.

다양한 업무 역량 척도들이 개발되었지만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업무 역량 척도 개발은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업무 역량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또한 업무 범위를 규범하고 업무 역량을 정의하여 종사자의 업무 역량을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델파이조사를 통한 업무 역량 요인을 추출하였고 전문가 협의를 거쳐 예비 문항을 개발하여 내용타당도와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조사를 위해 전국 소재 지역아동센터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21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업무역량은 5가지요인으로 총 20개의 문항으로 척도가 개발되었으며 생활지도, 프로그램기획, 아동교육, 사무행정관리, 지역사회연계의 하위요인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 ${\alpha}=.940$(N=221)로 나타났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업무 역량 척도를 바탕으로 다양한 업무 역량 프로그램이 개발 될 수 있을 것이며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아동 돌봄 서비스 현장에서 업무 역량 평가를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표 1. 인구통계학적 특성

CCTHCV_2019_v19n4_256_t0001.png 이미지

표 2. 1차 델파이조사에서 추출된 역량 요인

CCTHCV_2019_v19n4_256_t0002.png 이미지

표 3. 2차 델파이조사에서 추출된 역량 요인

CCTHCV_2019_v19n4_256_t0003.png 이미지

표 4. 업무역량 요인 내용 타당도

CCTHCV_2019_v19n4_256_t0004.png 이미지

표 5. 설문 문항

CCTHCV_2019_v19n4_256_t0005.png 이미지

표 6. 문항별 기술통계

CCTHCV_2019_v19n4_256_t0006.png 이미지

표 7. 하위 요인별 신뢰도와 상관계수

CCTHCV_2019_v19n4_256_t0007.png 이미지

표 8. 확인적 요인분석의 모형 적합도

CCTHCV_2019_v19n4_256_t0008.png 이미지

표 9. 문항별 모수 추정치

CCTHCV_2019_v19n4_256_t0009.png 이미지

표. 11 연구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CCTHCV_2019_v19n4_256_t0010.png 이미지

표.10 하위요인간 상관계수의 제곱과 평균분산추출(AVE)

CCTHCV_2019_v19n4_256_t0011.png 이미지

표. 12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업무 역량 척도 문항

CCTHCV_2019_v19n4_256_t0012.png 이미지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지역아동센터 중앙지원단, 2016년 12월 말 기준 전국지역아동센터 통계조사 보고서, 보건복지부, 2016.
  2. 이정표, 박윤희,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역량모델 및 교육훈련로드맵 개발,"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제19권, 제3호, pp.211-241, 2017.
  3. 변숙영, 장명희, 서지연, "DACUM 법에 의한 지역아동복지사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 직업교육연구, 제26권, 제3호, pp.187-207, 2007.
  4. 변숙영, 장명희,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직무향상 과정 개발연구, 보건복지부.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
  5. 민병모, 방동건, 박종구, 정재착 역, 핵심역량모델의 개발과 활용, PSI 컨설팅, 1998.
  6. 최수진, 유영만, "수업설계자의 관계론적 역량모델 개발," 교육공학연구, 제26권, 제2호, pp.83-123, 2010.
  7. L. M. Spencer and S. M. Spencer,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Y: Wiley & Sons, INC, 1993.
  8. 정재창, 민병모, 김종명, 알기 쉬운 역량모델링, PSI 컨설팅, 2011.
  9. R. S. Mansfield, "Building competency models: Approaches for HR professionals,"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35, No.1, pp.7-18, 1996. https://doi.org/10.1002/(SICI)1099-050X(199621)35:1<7::AID-HRM1>3.0.CO;2-2
  10. M. T. Strebler and S. Bevans, "Competencebased management training report 302," C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pp.391-944, 1996.
  11. S. B. Parry, "The quest for competencies: Competency studies can help you make HR decision, but the result are only as good as the study," Trainning, Vol.33, No.7, pp.48-56, 1996.
  12. A. Lucia and R. Lepsinger, The art and science to competency models, San Francisco: Jossey- Bass/Preiffer, 1999.
  13. 박우성, 역량중심의 인적자원관리, 한국노동연구원, 2002.
  14. R. F. DeVellis,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26): Sage publications, 2012.
  15. S. J. Pervan, L. B. Bove, and L. W. Johnson, "Reciprocity as a key stabilizing norm of interpersonal marketing relationships: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Vol.38, No.1, pp.60-70, 2009. https://doi.org/10.1016/j.indmarman.2007.11.001
  16. 이종성, 델파이 방법, 교육과학사, 2001.
  17. D. Anderson, Strand of System, The Philosophy of Charles Peirce, West Lafayette, Purdue University Press, 1995.
  18. J. W. Murry Jr and J. O. Hammons, "Delphi: A versatile methodology for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Review of Higher Education, Vol.18, No.4, pp.423-436, 1995. https://doi.org/10.1353/rhe.1995.0008
  19. M. R. Lynn,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 Res, Vol.35, No.6, pp.382-385, 1986.
  20.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에 있어서 적합도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제19권, pp.161-177, 2000.
  21. L. T. Hu and P. Bentler,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6, pp.1-55, 1999. https://doi.org/10.1080/10705519909540118
  22. 김경희,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책무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23. Edger. J. Boone, 권두승, 기미숙 역,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론, 교육과학사,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