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Unwed Mothers' Experiences of Participation in a Crisis Support Program

양육미혼모의 위기지원 프로그램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정덕진 (KDB나눔재단 사회공헌사업팀)
  • Received : 2019.01.29
  • Accepted : 2019.02.12
  • Published : 2019.04.28

Abstract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lication of the social work practice through the experiences of the users who participated in the crisis support program. To do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12 research participants. The data was analyzed by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of analysis, prior to participating in the Triangle Project, users lost their will to live in a vicious cycle of life crisi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the service, they were able to receive the integrated support of 'pregnancy - childbirth - rearing'. These experiences ultimately led to the regeneration of the will to liv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complement the limitation of Korean unwed mothers' support system.

본 연구는 양육미혼모 위기지원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경험을 통해 사회복지실천 방안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KDB나눔재단의 트라이앵글 사업에 참여한 양육미혼모의 경험과 변화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12명을 심층면접하고 질적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주제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트라이앵글 사업 참여 이전 미혼모가 살아가기 힘든 사회에서 삶의 위기의 악순환으로 살아갈 의지를 상실하였으나, 트라이앵글 서비스를 통해 '임신-출산-양육'에 대한 포괄적인 지원을 받고 이를 통해 미혼모와 그 자녀가 살아갈 의지가 생성되는 경험을 하였다. 이러한 경험의 기저에는 기업재단과 미혼모 당사자 조직을 비롯한 다전문가 집단의 참여, 공공-민간기관의 협력 체계 구축, 생활안정 지원금을 통한 자립 기반의 마련 등의 운영전략과 조건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미혼모 지원 체계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Keywords

표 1.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사항

CCTHCV_2019_v19n4_241_t0001.png 이미지

References

  1. 하지선, 김정현, 임정현, 김정연, "보건의료복지 네트워크를 통한 통합적 지원에 관한 질적 연구-서울특별시 북부병원 301네트워크 사업 이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69권, 제2호, pp.143-169, 2017.
  2. http://www.mohw.go.kr(정보/보건복지부 통계), 2018. 11. 28.
  3. 김희주, 권종희, 최형숙, "양육미혼모들의 차별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36권, pp.121-155, 2012.
  4. 박영혜, "재가와 시설의 양육미혼모 정부지원 차이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493-502,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493
  5. 이현주, 미혼모의 스트레스-대처-적응 모형 검증 및 아기 장래 결정에 따른 집단 간 비교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6. 문정숙, 원가족 부모와의 정서적 유대감과 사회적 지지 및 소외감이 미혼모의 자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7. 김유경, 조애저, 노충래, 미혼모의 출산.양육환경 개선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8. 이미정, 미혼모가족에 대한 무관심과 해외입양,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9. 이용우, "한국사회 미혼모 지원정책의 패러다임 변화," 한국사회정책, 제24권, 제1호, pp.97-115, 2017.
  10. 김혜영, 미혼한부모 관점에서 본 한부모지원정책: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미혼모 지위개선을 위한 현황 발굴 포럼 자료집, 한국미혼모지원네트워크, 2013.
  11. 김혜영, 이미정, 이택면, 김은지, 선보영, 장연진, 미혼모의 양육 및 자립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10.
  12. 이은주, "미혼모 아동의 기본권 보장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 아동과 권리, 제17권, 제4호, pp.625-642, 2013.
  13. 김지혜, 장연진, 성정현, "미혼모자시설의 서비스 네트워크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4권, 제4호, pp.263-296, 2012.
  14. 문순영, "미혼모자 가족에 대한 복지정책의 특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31권, 제2호, pp.73-103, 2015.
  15. 박영미, 위기지원 미혼모 주거 실태조사, 한국미혼모지원네트워크, 2016.
  16. 신옥주, "미혼모와 양육아동들의 인권제고를 위한 법제개선 방안," 제7회 싱글맘의날 컨퍼런스자료집, pp.39-79, 2017.
  17. 이미정, "베이비박스와 영아유기," 젠더리뷰, 제33권, pp.34-36, 2014.
  18. 성정현, 김지혜, 신옥주, "미혼모의 임신출산위기 경험과 위기해소를 위한 지원 시스템 개선 방안,"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7권, 제2호, pp.277-309, 2015. https://doi.org/10.22944/KSWA.2015.17.2.010
  19. 정경순, "양육미혼모에 대한 질적연구 경향," 김천과학대 논문집, 제37권, pp.65-74, 2011
  20. KDB나눔재단, 2016년 양육미혼모의 위기극복 및 자립지원사업 사업계획서, KDB나눔재단 내부자료, 2015
  21. 이병식, 박상욱, 김사훈 역, 근거이론의 발견: 질적연구 전략, 학지사, 2011. B. G. Glaze and A. L. Strauss,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1967.
  22. 김인숙, "바우처 도입에 따른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의 변화와 그 의미," 한국사회복지학, 제62권, 제4호, pp.33-58, 2010.
  23. K. K. Miley, M. W. O'Melia, and B. L. Dubois, Generalist Social Work Practice: An Empowering Approach, PEARSON, 2014.
  24. 김지혜, 조성희, "양육미혼모의 자립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8권, 제2호, pp.149-180, 2016. https://doi.org/10.22944/KSWA.2016.18.2.006
  25. 김지현, "재가 양육미혼모 지원방안," 재가 양육미혼모 지원과 지역사회 결합 방안 토론회 자료집, pp.25-41, 2018.
  26. 김지현, 권미경, 최윤경, 돌봄취약계층 맞춤형 육아지원방안(IV): 미혼모부 가정의 자녀양육 실태 및 지원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8.
  27. D. Snape and L. Spencer, The Foundation of Qualitative Research, pp.1-23, edited by Ritchie, J. Lewis, C. M. Nicholls, & R. Ormston, in Qualitative research practice: A guide for social science students and researchs, Sage, 2003.
  28. 김인숙, 사회복지연구에서의 질적방법과 분석, 서울: 집문당, 2016.
  29. 김세진, 복지관 사례관리 공부노트, 서울: 푸른복지, 2018.
  30. 최인숙, 김윤주, 황혜숙, 강점관점 해결중심 사례관리 매뉴얼, 보건복지부,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