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Perspective-taking on Communication of Married Persons

기혼자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조망수용이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 손아름 (호남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 임수진 (호남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Received : 2018.10.11
  • Accepted : 2019.01.14
  • Published : 2019.03.28

Abstract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at the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perspective-taking on communication of married persons targeting 206 peoples. It set the clarity of emotional recognition and perspective-taking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communica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verified them. The results reveal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When looked 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larity of emotional recognition, perspective taking, and communication of married people, each variable showd close correlation. It showed that the communication of married peopl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o the clarity of emotional recognition and perspective taking throug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bove, the result of this study confirmed the clarity of emotional recognition and perspective taking as factors that affect to the communication. It confirmed that more positive and reasonable communication is possible when understand the emotion clearly and the perspective taking which is the ability of standing in other people's perspectives.

본 연구는 기혼자를 대상으로 부부간 의사소통에 정서인식 명확성과 조망수용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광주와 전남북지역의 기혼자 206명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정서인식 명확성, 조망수용 관련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각 변인들은 상호 밀접한 상관을 보이고 있었으며, 기혼자의 의사소통에는 정서인식 명확성과 조망수용이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하지만 정서인식 명확성과 조망수용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간 의사소통에서 자신의 정서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상대의 입장에 서서 타인을 이해하는 능력인 조망수용이 이루어질 때 보다 더 긍정적이고 합리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Keywords

표 1. 인구통계학적 특성

CCTHCV_2019_v19n3_22_t0001.png 이미지

표 2. 정서인식 명확성과 조망수용, 의사소통의 하위요인별 상관계수

CCTHCV_2019_v19n3_22_t0002.png 이미지

표 3. 정서인식 명확성 및 하위요인과 의사소통 회귀분석

CCTHCV_2019_v19n3_22_t0003.png 이미지

표 4. 정서인식명확성, 조망수용의 상호작용이 의사소통에 대한 회귀분석

CCTHCV_2019_v19n3_22_t0004.png 이미지

References

  1. 지민주, 예비부부의 성인애착과 갈등해결전략 간 관계에 대한 조망수용능력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 조혜주, 결혼 기대-실재 간 격차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제해결능력과 대처능력의 조절 효과 검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3. 안현숙, 부부공평성, 부부갈등대처방식, 의사소통 기술, 결혼만족도의 관계,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4. 진효정, 김정규,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표현, 자아존중감이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9호, pp.53-106, 2016.
  5. 이서정, 정서인식의 명확성, 인지적 정서조절 및 정신건강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6. 성혜옥, 정서중심부부치료의 한국적모델에 관한 연구 부부관계를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7. 박상화, 하창순, "기혼자의 자아존중감,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정서인식의 조절효과," 한국상담학회지, 제17권, 제6호, pp.499-522, 2016.
  8. 오세선, 부부모래놀이치료가 부부 조망수용 증진에 미치는 효과,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9. E. R. Long and D. Andrew, "Perspective Taking as a Predictor or mariyal adjust 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9, pp.126-131, 1990. https://doi.org/10.1037/0022-3514.59.1.126
  10. K. Gross, "Management for modern fam ilies," NewYork:Prentice Hall, 1980.
  11. 김성구, 중년기 기혼 남녀의 공감능력과 결혼 만족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 능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2. V. Satir, "People making," Palo Alto, California: Science of Behavior Books, Inc. 1972.
  13. 박태영, "한국인 기혼남녀들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비교연구," 상담학연구, 제6권, 제2호, pp.601-619, 2005.
  14. D. K. Snyder, "Measuring dyadic adju sment:New scales for assessing the qulity of marriage and similar dyad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38, pp.15-28, 1979. https://doi.org/10.2307/350547
  15. 송성자, 한국 부부간 의사소통 유형과 가족문제에 관한 연구, 숭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5.
  16. 김은정, 정서조절, 의사소통 그리고 결혼만족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7. E. D. Farthing, A course of study in marriage enrichment program for couples in a church, Doctoral dissertation, Drew University, 1984.
  18. 최영실, 융의 심리유형론의 관점에서 본 사티어 의사소통 유형 이론의 재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9. 김은영,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0. 이경희,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 유아의 기질 및 유아의 정서지능 간의 관계,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1. 이서진, 김은하, "정서인식명확성, 정서표현, 심리적 수용에 따른 비교: 긍정정서, 부정정서, 불안 및 우울," 상담학연구, 제17권, 제3호, pp.65-87, 2016.
  22. J. Bowlby, "Attachment and loss," Vol.3, Sadness and depression, New York: Basic Books, 1980.
  23. 김나래, 이기학, "대학생의 인정욕구와 사회불안의 관계: 정서표현 억제를 통한 정서인식명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8권, 제4호, pp.1217-1236, 2016.
  24. 이소연, 정서인식, 스트레스 지각, 통증민감도가 신체화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5. 이주일, 황석현, 한정원, 민경환 "정서의 체험 및 표현성이 건강과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1권, 제1호, pp.117-140, 1997.
  26. 최은지, 양육태도, 정서지능, 그리고 대인관계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7. 이승미, 오경자, "정서인식불능, 정서표현갈등, 정서표현성이 중년여성의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5권, 제1호, pp.113-128, 2006.
  28. C. R. Rogers,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of therapeutic personality chan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2, pp.95-103, 1957.
  29. 권윤아, 김득성, 부부갈등악화 의사소통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인지 행동적 관점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30. 정창영, 조망과 갈등대처 양식,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31. K. B. Clark, "Empathy : A neglected topicin psychological research," American Psychologist, Vol.35, pp.187-190, 1980. https://doi.org/10.1037/0003-066X.35.2.187
  32. 한혜영,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부부 조망수용과 갈등해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33. P. Salovey, D. Mayer, L. Goldman, C. Turney, and P. Palfai, "Emotional attention, clarity, and repair: exploring emotional intelligence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Emotion, Disclosure, and Health," Washington, DC. : APA, pp.125-154, 1995.
  34. 이수정, 이훈구, "Trait Meta-Mood Scale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1권, pp.95-116, 1997.
  35. H. Olson, D. H. Sprenkle, and C. S. Russell,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 Cohesion and adaptability dimensions, family types, and clinical application," Family process, Vol.8, pp.3-28, 1979.
  36. 허윤정, 부부 관계유형에 따른 결혼만족도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37. 이미애, 정서인식명확성이 성격성숙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수용의 매개효과,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38. 노은숙,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9. 오윤자, 유영주,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12권, 제2호, pp.205-218, 1994.
  40. 서윤희, 부부 상호작용 변인이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41. 김지현, 조망수용, 관계귀인, 갈등대처행동 및 이성교제 만족도 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42. R. J. Iannotti, "Effects of role-taking experience on role-taking, empathy, altruism and aggression," Developmental Psychology, Vol.14, pp.119-124, 1978. https://doi.org/10.1037/0012-1649.14.2.119
  43. P. Mohr, K. Howells, A. Gerace, A. Day, and M. Wharton, "The role of perspec tive taking in anger arousal,"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43, pp.507-517, 2007. https://doi.org/10.1016/j.paid.2006.1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