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Gender Wage Difference in the Creative Class

창조계층 성별 임금격차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 주미진 (중앙대학교 도시계획 및 부동산학과)
  • Received : 2018.12.20
  • Accepted : 2019.02.07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The importance of the creative class has been emphasized as the industrial structure changes.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on gender wage difference in the creative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 gender wage gap in the creative class by using labor panel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wage of the male creative class is higher than the wage of the female creative class. Second, there were different factors affecting wages depending on the gender of the creative class. Third, female workers in the creative class suffer wage discrimination due to differences, but a larger part is due to gender discrimination. Fourth, compared to the non-creative classes, the gender wage gap of the creative classes was small. The gender gap caused by discrimination was the highest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라 창조계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창조계층 내 성별임금격차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창조계층 내 성별 임금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 창조계층의 임금이 여성창조계층의 임금보다 높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창조계층의 성별에 따라 임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창조계층 내 여성근로자는 차이에 의한 임금차별을 겪고 있지만, 이보다는 더 큰 부분은 성차별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비창조 계층과 비교하여 창조계층의 성별임금격차는 작았으며, 차별에 의한 성별 임금격차는 젊은 세대가 가장 높았다.

Keywords

표 1. 변수의 구성

CCTHCV_2019_v19n2_248_t0001.png 이미지

표 2. 창조계층의 분류

CCTHCV_2019_v19n2_248_t0002.png 이미지

표 3. 기술통계분석

CCTHCV_2019_v19n2_248_t0003.png 이미지

표 4. 창조계층 여부에 따른 남녀 차이 분석

CCTHCV_2019_v19n2_248_t0004.png 이미지

표 5. 남녀임금결정요인 분석

CCTHCV_2019_v19n2_248_t0005.png 이미지

표 6. 창조계층별 성별 연령별 임금격차 Oaxaca-Blinder 요인별 분해

CCTHCV_2019_v19n2_248_t0006.png 이미지

References

  1. R. Florida,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New York: Basic Books, 2002,
  2. 김준홍, "Richard Florida의 창조 도시 이론의 한국적 수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문화정책논총, 제26권, 제1호, pp.31-51, 2012.
  3. 김범식, 김묵한, 서울시 창조계층특성과 정책방향, 서울연구원, 2015.
  4. 황수경, "창의고용의 조작적 정의와 창의적 노동의 임금효과," 한국경제연구, 제32권, 제2호, pp.37-68, 2014.
  5. 이택면, 김영옥, 배호중, 이희승, 최은경, 창조경제와 여성일자리(I),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6. B. Conor, R. Gill, and S. Taylor, "Gender and creative labour," The Sociological Review, Vol.63, pp.1-22, 2015.
  7. J, Acker, "Inequality regimes: gender, race and class in organizations," Gender and Society, Vol.20, No.4, pp.441-64, 2006, https://doi.org/10.1177/0891243206289499
  8. T. Clark, T. Lloyd, R. Wong, and P. Jain, "Amenities Drive Urban Growth: A New Paradigm and Policy Linkages. In The City as an Entertainment Machine," pp.291-322. https://doi.org/10.1016/S1479-3520(03)09012-3
  9. 이희연, "창조도시: 개념과 전략," 국토 제 322호, pp.6-15, 2008.
  10. 구문모, 박정수, 우리나라 창조계층 인력의 추이 및 서비스직종의 창조인력화 방안, 산업연구원, 2013.
  11. 서원석, 주미진, "유형별 창조계층의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고용 및 기업특성요인 비교분석," GRI 연구논총, 제20권, 제3호, pp.1-17, 2018.
  12. 김영수, 김현우, 창의인력과 창의일자리의 지역별 입지 및 성장 특성 분석, 산업연구원, 2015.
  13. 이훈, 이동훈, "플로리다 창조계급론의 국내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임금구조를 중심으로," 한국부동산학회, 제17권, 제3호, pp.121-134, 2011.
  14. 서병선, 임찬영, "직종선택과 성별 임금격차," 국제경제연구, 제8권, 제1호, pp.15-54, 2002.
  15. 신경수, "성구성비에 따른 직종별 및 성별 임금격차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저널, 제3권, pp.21-41, 2003.
  16. 이동주, "한국의 성별 직종분리와 성별 임금격차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pp.261-287, 2007.
  17. 신광영, "한국의 성별 임금격차," 한국사회학, 제45권, 제4호, pp.97-127, 2011.
  18. C. Henry, "Women and the creative industries: exploring the popular appeal," Creative Industries Journal, Vol.2, No.2, pp.143-160, 2009. https://doi.org/10.1386/cij.2.2.143/1
  19. A, Stokes, "The glass runway: How gender and sexuality shape the spotlight in fashion design," Gender & Society, Vol.29, No.2, pp.219-243, 2015. https://doi.org/10.1177/0891243214563327
  20. M. Leonard, Girls at Work: Gendered Identities, Sex Segregation, and Employment Experiences in the Music Industries, Routledge, 2016.
  21. A. Wang and L. Crewe, Gender inequalities in the City of London advertising industry, Environment and Planning A, 2017.
  22. 허식, "문화산업 근로자의 임금 및 고용형태 결정요인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22권, 제5호, pp.2085-2108, 2009.
  23. 허식, 신경숙, 사명철, "전문디자인인력에 대한 성별임금격차 연구," 산업경제연구, 제25권, 제5호, pp.3113-3130, 2012.
  24. 진수경, 지역 간 임금격차요인에 관한 연구: 창조계층 및 비창조계층의 권역별.도시규모별 임금격차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5. 황수경, "창의고용의 조작적 정의와 창의적 노동의 임금효과," 한국경제연구, 제32호, 제2호, pp.37-68, 2014.
  26. A. Manning and B. Petrongolo, "The part time pay penalty for women in Britain," The Economic Journal, Vol.118 No.526, pp.F28-F51, 2008. https://doi.org/10.1111/j.1468-0297.2007.02115.x
  27. 김은란, 박세훈, 강호제, 박경현, 정소양, 박재현, 김보미, 창조산업 창조계층 입지특성을 활용한 도시재생 방안, 국토연구원, 2014.
  28. J. Mincer, Schooling, Experience, and Earnings, New York: Columbia, 1974.
  29. R. Oaxaca, "Male-female wage differentials in urban labor markets," International Economic Review, Vol.14, pp.693-709, 1973. https://doi.org/10.2307/2525981
  30. 강주연, 김기승, "여성 근로자 분포와 직무에 따른 직종별 남녀 임금격차 분석," 노동경제논집, 제37권, 제4호, pp.141-222, 2014.
  31. 박재민, "대학 졸업생의 직업선택과 임금 수준," 기술혁신학회지, 제14권, 제1호, pp.22-39, 2011.
  32. 임정준, "여성의 교육수준과 직종에 따른 임금차별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여성학, 제26권, 제4호, pp.39-61,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