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ual-purpose Reagent for Separating Paper with Tape and Developing Fingerprints on the Paper Simultaneously

종이에 부착된 테이프를 박리하는 동시에 지문을 현출하는 이중목적시약(dual-purpose)에 관한 연구

  • 서윤희 (순천향대학교 법과학대학원) ;
  • 김연지 (순천향대학교 법과학대학원) ;
  • 신민섭 (순천향대학교 법과학대학원) ;
  • 유제설 (순천향대학교 법과학대학원)
  • Received : 2018.10.11
  • Accepted : 2019.01.02
  • Published : 2019.01.28

Abstract

Tapes are usually used in violent crimes and may contain important evidence. Separating adhesive side should be preceded to collect these evidence. In this study, we researched a novel dual-purpose reagent that can separate the tape without damaging and develop the fingerprints on porous surface when the tape is attached to A4 paper. As a result, the reagent of 1:2 ratio of 1,2-IND stock solution and HFE-7100 can separate without damaging the adhesive surface and develop fingerprints on separated A4 paper.

테이프는 납치, 강도, 폭탄제조 등 강력범죄에 사용되며, 테이프 접착면에는 지문, DNA 등 수사에 필요한 증거가 남아있을 수 있다. 이러한 증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테이프 접착면을 박리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테이프가 다공성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한 가지 시약을 사용하여 테이프를 손상없이 박리하면서 동시에 다공성표면에서 지문을 현출할 수 있는 새로운 조성의 이중목적시약을 탐색하였다. 실험 결과, 새로운 조성의 1,2-IND 농축용액과 HFE-7100의 비율이 1:2인 조성의 시약이 A4 용지에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테이프 접착면에 손상이 가지 않으면서, 박리한 종이에 열을 가하여 바로 지문을 현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테이프가 다공성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새로운 조성의 1,2-IND(HFE-7100 기반, 1:2)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Keywords

CCTHCV_2019_v19n1_463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조성에 따른 1,2-IND의 지문 현출 효과성 비교(실험1-1) (좌_농축용액, 우_PE 기반)

CCTHCV_2019_v19n1_463_f0002.png 이미지

그림 2. Heptane 기반의 닌히드린과 1,2-IND 농축용액비교 결과(실험 1-2)

CCTHCV_2019_v19n1_463_f0003.png 이미지

그림 3. 1,2-IND 용액으로 박리한 청면테이프 (좌_1,2-IND 농축용액, 우_HFE-7100 기반 1,2-IND 작업용액(1:10))

CCTHCV_2019_v19n1_463_f0004.png 이미지

그림 4. 1,2-IND 농축용액과 HFE-7100 기반 1,2-IND 작업용액(1:10)의 효과성 비교 결과(실험 2-1)

CCTHCV_2019_v19n1_463_f0005.png 이미지

그림 5. 1,2-IND 농축용액과 HFE-7100의 최적 비율탐색 결과(실험 2-2)

CCTHCV_2019_v19n1_463_f0006.png 이미지

그림 6. 다른 조성의 1,2-IND로 A4 용지에서 지문을 현출한 효과성 비교 (좌_HFE-7100 기반, 1:2, 우_HFE-7100 기반, 1:10)

CCTHCV_2019_v19n1_463_f0007.png 이미지

그림 7. 새로운 조성의 시약으로 테이프 박리 후 A4용지에서 현출한 지문(좌)과 테이프를 부착하지 않고 일반적인 1,2-IND시약을 A4용지에 적용하여 현출한 지문(우) 결과 비교

표 1. 1,2-IND 최적 조성 탐색(실험1-1)

CCTHCV_2019_v19n1_463_t0001.png 이미지

표 2. 닌히드린과 1,2-IND 비교(실험1-2)

CCTHCV_2019_v19n1_463_t0002.png 이미지

표 3. 1,2-IND(농축용액)와 1,2-IND(HFE-7100 기반, 1:10)의 효과성 비교(실험 2-1)

CCTHCV_2019_v19n1_463_t0003.png 이미지

표 4. 1,2-IND 농축용액과 HFE-7100의 최적 조성 탐색(실험 2-2)

CCTHCV_2019_v19n1_463_t0004.png 이미지

표 5. SWGFAST에서 권고한 지문 평가 기준[17]

CCTHCV_2019_v19n1_463_t0005.png 이미지

표 6. [그림 2]의 평가점수 평균(실험 1-2) 좌_닌히드린, 우_1,2-IND

CCTHCV_2019_v19n1_463_t0006.png 이미지

표 7. [그림 4]의 평가점수 평균(실험 2-1) 좌_농축용액, 우_작업용액

CCTHCV_2019_v19n1_463_t0007.png 이미지

표 8. [그림 5]의 평가점수 평균(실험 2-2) 좌_1:1.5, 우_1:2

CCTHCV_2019_v19n1_463_t0008.png 이미지

References

  1. H. L. Barros and V. Stefani, "A new methodology for the visualization of latent fingermarks on the sticky side of adhesive tapes using novel fluorescent dyes," Forensic Science International, Vol.263, pp.83-91, 2016. https://doi.org/10.1016/j.forsciint.2016.03.053
  2. J. A. Bailey and J. S. Crane, "Use of nitrogen cryogun for separating duct tape and recovery of latent fingerprints with a powder suspension method," Forensic Science International, Vol.210, No.1, pp.170-173, 2011. https://doi.org/10.1016/j.forsciint.2011.03.004
  3. M. Y. Choudhry and R. D. Whritenour, "A new approach to unraveling tangled adhesive tape for potential detection of latent prints and recovery of trace evidence," Journal of Forensic Sciences, Vol.35, pp.1373-1383, 1990.
  4. J. W. Bergeron, "Use of liquid nitrogen to separate adhesive tapes," Journal of Forensic Identification, Vol.59, pp.7-25, 2009.
  5. D. A. Barker, "Liquid nitrogen for separating tapes from surfaces," FDIAI News, Vol.1, pp.14-15, 1998.
  6. B. M. Campbell, "Separation of adhesive tapes," Journal of Forensic Identification, Vol.41, No.2, pp.102-106, 1991.
  7. A. V. Maceo and K. Wertheim, "Use of ninhydrin in the recovery of latent prints on evidence involving adhesive surfaces attached to porous surfaces," Journal of Forensic Identification, Vol.50, No.6, p.581, 2000.
  8. A. Wilson, C. Rushton, and K. CathcartMS, Separation of Adhesive Tapes from Surfaces Using Three Different Techniques, Marshall Forensic Sciences, 2012.
  9. P. Police, "The use of Un-Du to separate adhesive materials," Journal of Forensic Identification, Vol.57, No.5, p.688, 2007.
  10. J. T. Stimac, "Adhesive tape separation with un-du(R)," Fingerprint Whorld, Vol.26, No.102, pp.153-157, 2003.
  11. 김선민, 테이프에 유류된 잠재지문현출을 위한 접착테이프 분리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법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2. D. Molina, "The use of Un-du to separate adhesive materials," Journal of Forensic Identification, Vol.57, No.5, pp.688-696, 2007.
  13. C. Wallace-Kunkel, C. Lennard, M. Stoilovic and C. Roux, "Optimisation and evaluation of 1, 2-indanedione for use as a fingermark reagent and its application to real samples," Forensic science international, Vol.168, No.1, pp.14-26, 2007. https://doi.org/10.1016/j.forsciint.2006.06.006
  14. S. J. Gardner and D. F. Hewlett. "Optimization and initial evaluation of 1, 2-indandione as a reagent for fingerprint detection," Journal of forensic sciences, Vol.48, No.6, pp.1288-1292, 2003.
  15. S. M. Bleay, V. G. Sears, H. L. Bandey, A. P. Gibson, V. J. Bowman, R. Downham, L. Fitzgerald, T. Ciuksza, J. Ramadani, and C. Selway, Fingerprint source book, Home Office, 2012.
  16. R. Ramotowski, Lee and Gaensslen's advances in fingerprint technology, CRC Press, 2012.
  17. SWGFAST, "Document #10: Standards for Examining Friction Ridge Impressions and Resulting Conclusions (Latent/Tenprint)," SWGFAST, Ver.2.1,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