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Job Performance of Public Enterprise Employees

심리적 자본이 공기업 종사자의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8.11.28
  • Accepted : 2018.12.17
  • Published : 2019.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job performance of public enterprise employee.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ree types of job performance are identified, which are behavioral responses to the demands from job environment. They are named as task performance, contextual performance, and adaptive performance. As independent variables, four factors were selected form positive psychological concepts, which are self-efficacy, hope, optimism, and resilience. These are the factors which compose of the concept of psychological capital. All the factors are hypothesized to positively affect job performances.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ll the psychological factors in the model were turned out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n the job performances. The importance of variable 'resilience' were dominant all three models, which might be interpreted as a behavioral response to the demands from uncertain organizational enviornments. From the marginal effect analysis, contextual performance decreases first five years, then reach peak at 20th. year. These results demonstrates that mid-level employees in the organizational hierarchy are more concerned with the overall performance of organization.

본 연구는 심리적 자본이 공기업 종사자들의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직무수행은 과업수행, 맥락수행, 적응수행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직무수행을 종속변수로 하고 심리적 자본을 구성하는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성, 복원력을 독립변수로 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심리적 자본의 4가지 하위 개념들이 회귀분석에서 모두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이는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 특성이 직무수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이며 인적자원관리 차원에서 교육훈련을 통해 심리적 자본을 확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변수 '복원력'은 모든 유형의 직무수행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조직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아질수록 직무수행과정에서 오는 난관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역량이 중요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복원력 강화에 대한 후속 연구와 교육훈련에 적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한계분석을 통해 근속기간에 따른 직무 수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5년차에서 20년차 사이의 구성원들이 가장 높은 수준의 맥락수행을 보이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조직의 중간관리자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책임의식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CCTHCV_2019_v19n1_293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 모형

CCTHCV_2019_v19n1_293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재직기간의 맥락수행 한계효과(성별)

표 1. 표본의 특성

CCTHCV_2019_v19n1_293_t0001.png 이미지

표 2. 직무수행 하위요인의 신뢰성과 타당성

CCTHCV_2019_v19n1_293_t0002.png 이미지

표 3. 심리적 자본 하위요인의 신뢰성과 타당성

CCTHCV_2019_v19n1_293_t0003.png 이미지

표 4. 변수들의 상관관계

CCTHCV_2019_v19n1_293_t0004.png 이미지

표 5. 회귀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1_293_t0005.png 이미지

표 6. 비선형적 관계의 분석

CCTHCV_2019_v19n1_293_t0006.png 이미지

References

  1. 이해윤, 공공기관 종사자들의 공공봉사동기와 직무동기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 신황용, 이희선, "공공조직 조직성과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공직동기, 신분불안,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제50권, 제1호, pp.1-35, 2012.
  3. 유태용, 이채령, "성격이 과업수행과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 직무가공의 매개효과와 리더 임파워링 행동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9권, 제4호, pp.609-630, 2016.
  4. 김태홍, 한태영, "적응성과 및 지속적 학습활동에 대한 학습목표성향: 실책관리 풍토 및 변화지향적 팀 리더십의 영향," 인사조직연구, Vol.17, No.3, pp.117-159, 2009.
  5. J. A. LePine, A. Erez, and D. E. Johnson, "The Nature and Dimensionality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 Critical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7, No.1, pp.52-65, 2002. https://doi.org/10.1037/0021-9010.87.1.52
  6. P. R. Murphy and S. E. Jackson, "Managing Work Role Performance: Challenges for Twenty-first Century Organizations," in D. R. Ilgen & E. D. Pulakos (Eds.), The Changing Nature of Work Performance, pp.325-365, San Francisco: Jossey-Bass. 1999.
  7. 유태용, 김도영, "기업장면에서의 맥락수행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경영연구, 제8권, pp.61-91, 2002.
  8. W. C. Borman and Motowidlo, "Expanding the Criterion Domain to Include Elements of Contextual Performance," in Schmitt, N. and Borman, W.C.(eds.), Personnel Selection in Organization, Jossey-Bass: San Francisco. 1993.
  9. C. L. Pulakos, S. Arad, M. A. Donovan, and K. E. Plamondon, "Adaptability in the Workplace: Development of a Taxonomy of Adaptive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5. No.4. pp.612-624, 2000. https://doi.org/10.1037/0021-9010.85.4.612
  10. F. Luthans,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Developing and Managing Psychological Strengths,"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Vol.16, No.1, pp.57-72, 2002.
  11.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6.
  12. 이동섭, 조봉순, 김기태, 김성국, 이인석, 최용득, "긍정심리학의 응용을 통한 인사조직 연구의 새로운 접근," 인사조직연구, Vol.17, No.2, pp.307-339, 2009.
  13. C. R. Snyder, Handbook of Hope, San Diego, ACA: Academic Press. 2000.
  14. C. Carver and M. Scheier, Optimism. In C. R. Snyder & S.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 231-243.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5. A. S. Masten, "Ordinary Magic: Resilience Process i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Vol.56, pp.227-239, 2001. https://doi.org/10.1037/0003-066X.56.3.227
  16. L. J. Williams and E. S. Anders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Predic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role Behaviors," Journal of Management, Vol.17, pp.601-617, 1991. https://doi.org/10.1177/014920639101700305
  17. W. Orga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Good Soldier Syndrome, Lexington, MA: Lexington,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