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ase Management Practice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IPA기법을 적용한 사회복지사례관리 직무수행 및 수퍼비전에 관한 연구 -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중심으로

  • 박은주 (울산과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8.12.26
  • Accepted : 2019.01.09
  • Published : 2019.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uggestion to improve speciality and job performance of social work case management using importance-performance-analysis(IPA). A quantitative research design was used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209 social workers who are in charge of case manager job at Ulsan metropolitan area. Study participants were asked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job competence and need for supervision-experience of social work case management job description on the NCS(9 competency units, 33 competency units). Descriptive analysis and IPA were performed. This study found the need for intensified job competence of 'building external operating systems' and 'development of resource linkage systems'. Al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tensive supervision for 'building an external and internal operating system.' Based on the results, future direction of intensified job performance for socla work case management was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들의 사례관리직무를 IPA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사례관리직무 수행 능력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울산지역 사례관리업무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제시하는 사례관리직무(능력단위 9개, 능력단위요소 33개)에 대한 중요도-직무역량, 수퍼비전필요도-경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요도-직무역량에 대한 분석결과, IPA격자도 영역별로 강화유지 12개, 중점개선 1개, 개선 9개, 과잉 11개 능력단위요소가 도출되었다. 수퍼비전필요도-경험에 대한 IPA분석결과는 강화유지 15개, 중점개선 5개, 개선 4개, 과잉 9개의 능력단위요소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외부운영체계구축', '자원연계체계 개발'에 대한 직무역량을 중점적으로 강화하고, '외부운영체계구축', '내부운영체계구축'에 집중적인 수퍼비전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례관리직무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Keywords

CCTHCV_2019_v19n1_278_f0001.png 이미지

그림 1. IPA(중요도(중요도-수행도)분석모형[23]

CCTHCV_2019_v19n1_278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직무능력단위IPA(중요도-역량)분석

CCTHCV_2019_v19n1_278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직무능력단위요소IPA(중요도-역량)분석

CCTHCV_2019_v19n1_278_f0004.png 이미지

그림 4. 직무능력단위 수퍼비전IPA(필요도-경험)분석

CCTHCV_2019_v19n1_278_f0005.png 이미지

그림 5. 직무능력단위요소 수퍼비전 IPA분석

표 1. 사회복지사례관리 직무능력

CCTHCV_2019_v19n1_278_t0001.png 이미지

표 2. 조사대상자의 특성

CCTHCV_2019_v19n1_278_t0002.png 이미지

표 3. 사례관리직무 중요도와 역량 인식

CCTHCV_2019_v19n1_278_t0003.png 이미지

표 4. 사례관리직무 수퍼비전 필요도와 경험에 대한 인식

CCTHCV_2019_v19n1_278_t0004.png 이미지

표 5. 사례관리직무역량과 변수의 상관관계

CCTHCV_2019_v19n1_278_t0005.png 이미지

표 6. 직무능력단위IPA분석(중요도-역량)결과

CCTHCV_2019_v19n1_278_t0006.png 이미지

표 7. 직무능력단위요소IPA분석(중요도-역량)결과

CCTHCV_2019_v19n1_278_t0007.png 이미지

표 8. 직무능력단위 수퍼비전IPA분석결과

CCTHCV_2019_v19n1_278_t0008.png 이미지

표 9. 직무능력단위요소 수퍼비전IPA분석결과

CCTHCV_2019_v19n1_278_t0009.png 이미지

References

  1. 윤철수, 김연수, "사례관리 표준안에 대한 연구," 사례관리연구, 제5권, 제1호, pp.17-44, 2014.
  2. 보건복지부, 2017년 보건복지통계연보, 2017.
  3. 보건복지부,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사회복지사통계연감, 2013.
  4. 문영주, "사회복지관의 성과지향적 문화가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제45권, 제3호, pp.179-207, 2014. https://doi.org/10.16999/KASWS.2014.45.3.179
  5. 조수민, 조형기, "IPA기법을 활용한 우체국 구성원들의 역량인식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0권, 제2호, pp.55-76, 2013.
  6. 도광조, 지역사회복지관 사례관리 수행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7. 함철호, 윤원일, "공공전달체계 내 사회복지직 공무원의 사례관리 수행과 영향요인,"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5권, pp.231-262, 2010.
  8. 강호선, 가정폭력전문상담원의 사례관리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9. 김미정, 이경은, 장덕희, "지역아동센터의 사례관리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지역사회자원 연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경성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제29권, 제4호, pp.409-428, 2012.
  10. 전미애, 김소영, "기관 환경과 사례관리자의 동기가 사례관리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42권, pp.479-210, 2012.
  11. 함철호, 윤경필, "사회복지관의 수퍼비전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사회복지사 전문적 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47권, pp.201-225, 2013.
  12. 염동문, 이경은, 김미정, "사례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사회과학연구, 충남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제25권, 제3호, pp.129-150, 2014
  13. 안정선, 최원희, 사회복지 수퍼비전의 이론과 실제, 신정출판사, 2016.
  14. 김용민,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적 능력이 사례관리 사정 수행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제26권, pp.1-26, 2013.
  15. A. E. Scharlach, N. Giunta, and K. Mills-Dick, Case management in long-term care intergration: An overview of current programs and evaluations,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Center for the Advanced Study of Aging Service, School of Social Welfare, 2001.
  16. 민소영, "정신보건실천현장의 사례관리활동 목록개발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4권, 제3호, pp.127-153, 2012.
  17. 함철호, 이기연, "공공영역 사례관리자들의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8권, pp.161-200, 2011.
  18. 민소영, 최효선, "정신보건실천현장과 비정신보건 실천현장에서의 사례관리 과정의 중요도-수행도 비교분석," 사회과학연구,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제32권, 제2호, pp.189-216, 2016.
  19. 임효연, 김영숙, 이순민, "사회복지기관의 사례관리 직무실태 분석,"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4권, pp.53-81, 2010.
  20. 교육부,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및 활용 계획 확정, 교육부, 인재직무능력정책과, 2013.
  21. 김성국, 신수영, "국가직업능력표준 개발 사례연구-작업분석 및 역량분석을 중심으로," 경영논총, 제22권, 제1호, pp.1-19, 2004.
  22. 최지선, "공공사례관리자의 지식과 기술수준에 관한 연구," 사례관리연구, 제5권, 제1호, pp.61-78, 2014.
  23. A. J. Martilla and J. C. Jame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Vol.2, No.1, pp.77-79, 1977.
  24. 진선미, 장혁기, "사회복지분야 NCS기반의 교육욕구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0호, pp.65-71,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0.065
  25. https://www.ncs.go.kr/index.do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직무능력표준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pp.34-182.
  26. 이기영, "사회복지분야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현황의 분석과 논의," 한국사회복지교육, 제27호, pp.135-168, 2014.
  27. H. R. Connors and M. A. Barr, "The Effect of a Statewid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on Case-management Skills: NAMFE," J. of Gerontology & Geriatrics Education, Vol.12, No.3, pp.109-119, 1992. https://doi.org/10.1300/J021v12n03_11
  28. 안정선, 최원희, 사회복지 수퍼비전의 이론과 실제, 서울:신정출판사, 2016.
  29. 김학영, 서규동, "희망복지지원단 수퍼비전 체계가 통합사례관리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미래사회복지연구, 제8권, 제1호, pp.5-35, 2017. https://doi.org/10.22836/KASWPR.2017.8.1.5
  30. 조미리, 교육복지사업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사례관리자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1. 박인희, 수퍼비전 내용이 사회복지사의 사례관리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가치와 원칙의 내용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2. 하경희, 김진숙, 정선욱, "사회복지기관에서의 사례관리 체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6권, 제2호, pp.241-270, 2014. https://doi.org/10.22944/KSWA.2014.16.2.009
  33. 함철호, 임병우, 김상곤, 최태자, 박미정, "희망복지지원단 사례관리자의 역할수행 경험에 관한 연구-근거이론 적용," 사례관리연구, 제4권, 제1호, pp.89-109, 2013.
  34. J. Intagliata, "Improving the quality of community care for the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The role of case management," In S. M. Rose(Ed), Case management and social work practic.(25-55), New York: Longman, 1992.
  35. 민소영, "강점관점 반영 사례관리훈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2권, 제1호, pp.57-88, 2008.
  36. 김수영, 안정선, "사회복지수퍼비전의 연구동향분석-1998-2017년의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수퍼비전과 실천연구, 제2호, pp.1-26, 2017.
  37. 민부자, 조호제, "수석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의 중요도 및 수행도 차이분석," 교육과정연구, 제28권, 제4호, pp.103-133, 2010. https://doi.org/10.15708/KSCS.28.4.201012.005005
  38. 김희정, 김윤정, 이연경, 이인혜, 조정은, 서용진, "서울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 사례관리서비스 제공자 역량수준 측정," 정신보건, 제6권, pp.32-40, 2015.
  39. 유미예, 재가복지 사례관리 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림대학교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40. 채정아, 지역사회알콜상담센터의 사례관리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41. 보건복지부,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사회복지사통계연감, 2017.
  42. 김진, 수퍼비전이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43. 이용창, "사례관리 사정단계에서 PIE체계 활용방안 연구," 사례관리연구, 제7권, pp.21-42, 2016.
  44. 강흥구, 윤현숙, "사회복지사의 직무분석과 표준직무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7권, 제2호, pp.33-62, 2005.
  45. 김선주, 김교정, "사회복귀시설 사례관리자의 사례관리과정에 대한 인식과 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221-233,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221
  46. 한국사례관리학회, 사례관리전문가교육-실무자기초과정, 서울: 학지사, 2013.
  47. 권진숙, 김상곤, 조현순, "인천광역시 종합사회복지관 사례관리 운영체계 평가," 사례관리연구, 제2권, pp.31-66, 2011.
  48. M. Woodside and T. McClam, Generalist case management: Amethod of human service delivery(3rd ed), Belmont, CA: Thomson Brooks Cole, 2006.
  49. 정순둘, "대학 사례관리교육과정: 교과목지침서와 교재분석," 사례관리연구, 제3권, pp.65-80,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