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olution Characteristics and Drivers of Gumi National Industrial Complex

구미국가산업단지의 진화 과정의 특성과 그 동인

  • Jeon, Ji-Hy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Chul-Woo (Department of Geography, Institute of Regional Developmen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8.12.18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olution process of the Gumi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s well as its external and internal drivers based on the cluster adaptation cycle model. The Gumi National Industrial Complex has made remarkable progress through expansion in spatial and industrial realm and has become a representative IT industry cluster in Korea. It evolved during a growth period from the 1990s, a maturity period from the mid-2000s, and a mature stagnation period from the mid-2010s. But it has now entered a period of decline. While external drivers at the international and national level greatly influenced the Gumi National Industrial Complex in its evolution from foundation-building to maturity, internal drivers such as the outflow of large firms as well as a lack of SME research capacity and institutional base have added to the management difficulties of SMEs in the mature stagnation period. Therefore, in order for the Gumi National Industrial Complex to move into a revitalization period that strengthens resilience against external shocks,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capacity of SMEs by expanding the roles of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and support agenc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and embed strong medium enterprises within the Gumi National Industrial Complex, so that the Complex can be reborn as a sustainable innovation ecosystem.

본 연구는 클러스터 적응주기 모델에 기반하여 구미국가산업단지의 진화 과정의 특성과 그 내 외적 동인을 분석하였다. 구미국가산업단지는 공간적 산업적 영역의 확대를 통해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면서 우리나라 대표적인 IT산업 클러스터로서의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의 성장기, 2000년대 중반 이후의 성숙기 그리고 2010년대 중반부터의 성숙정체기로 진화한 이후 쇠퇴기로 들어서고 있다. 이는 기반구축기에서 성장기를 거쳐 성숙기로 진화하기까지 구미국가산업단지에 크게 영향을 미쳤던 국제적 국가적 수준의 외적 동인이 아닌, 대기업의 역외 유출, 중소기업의 미흡한 연구역량 그리고 획기적인 제도적 기반의 미흡과 같은 내적 동인이 중소기업들의 경영상 어려움을 가중시켰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부 충격에 대한 회복력 강화를 통해 구미국가산업단지가 재활성화기로 진화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가적 차원에서 영세 소기업의 역량강화에 초점을 두고 중앙정부 및 지자체, 그리고 지원기관의 역할을 보다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역경제를 이끌어 갈 중견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시켜 이를 지역에 성공적으로 뿌리내리게 하여 구미국가산업단지가 지속가능한 혁신 생태계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구미상공회의소, 2008, 2007년말 현재 구미지역 벤처기업 지정현황 조사 보도자료.
  2. 구미수출산업공단, 1991, 구미공단20년사.
  3. 구미시, 2010, 구미공단40년사(1969-2009).
  4. 구양미, 2012, "서울디지털산업단지의 진화와 역동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8(3), pp.283-297.
  5. 김주훈.변병설, 2018,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 추진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1(2), pp.192-211. https://doi.org/10.23841/egsk.2018.21.1.192
  6. 김진영, 2014, "구미국가산업단지 구조고도화 시범사업 추진 실적과 혁신사업 추진 방향," 산업입지 55, pp.35-44.
  7. 김태현.임동일, 2014, "노후 산업단지의 재생방향 연구 : 원주시 우산산업단지를 사례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6(3), pp.159-180.
  8. 도은주, 1996, 구미전자산업의 연계체계와 공간적 특성,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박삼옥, 2004, 현대경제지리학, 서울: 아르케.
  10. 유상민.변병설, 2009, "쇠퇴산업단지의 재생기법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3(1), pp.65-77.
  11. 유상민.변병설, 2011, "산업단지의 쇠퇴성 분석," 국토지리학회지 45(4), pp.519-528.
  12. 윤종언, 2009, 구미산단의 현황과 리모델링 방향, 구미 1단지 리모델링을 통한 경쟁력강화 방안에 관한 토론회.
  13. 이유화, 2017, "노후산업단지 도로 시설물 및 대중교통 서비스 취약점 분석과 개선전략 도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7(4), pp.17-32.
  14. 이종호, 2003, "구미 전자산업 클러스터 중핵기업의 재구조화와 혁신," 박양춘 엮음, 지역경제의 재구조화와 도시 산업공간의 재편: 영남지역 연구, 서울: 도서출판 한울, pp.272-297.
  15. 이철우, 2007, "참여정부 지역혁신 및 혁신클러스터 정책 추진의 평가와 과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0(4), pp.377-393.
  16. 이철우, 2001, "대기업 하청거래 네트워크의 공간적 특성 및 함의: LG전자 디스플레이 사업본부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4(1), pp.19-35.
  17. 이철우.최요섭.이종호, 2016, "국가주도형 산업집적지의 내생적 발전 가능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2), pp.397-410.
  18. 이철우.이종호.당의증, 2018, 구미지역 중소기업 자생력 강화를 위한 혁신생태계 조성 방안,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19. 전지혜, 2018, 구미 IT산업 클러스터의 진화와 회복력,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전지혜.이철우, 2017, "클러스터 적응주기 모델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 pp.189-213. https://doi.org/10.23841/egsk.2017.20.2.189
  21. 정도채, 2011, 분공장형 생산집적지의 고착효과 극복을 통한 진화: 구미지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진정규.허재완, 2014, "산업단지 쇠퇴요인에 대한 실증연구-전국 일반산업단지를 대상으로-," 대한국토계획학회지 49(8), pp.49-61.
  23. 최금애, 1999, 구미 공업단지의 공업입지와 연계,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최요섭, 2013, 구미국가산업단지 미니클러스터사업의 지역적 뿌리내림에 관한 연구: 구미금형협동화단지 조성과 구미테크노밸리협동조합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한국산업단지공단 대경권본부, 2013, 구미국가산업단지 대기업-중소기업 점유율 내부자료.
  26. 한국산업단지공단 산업입지연구소, 2014, 산업단지 50년의 성과와 발전과제-산업화의 주역에서 창조경제의 거점으로, 대구: 한국산업단지공단.
  27. 한국산업단지공단 클러스터정책지원본부, 2010, 산업집적지 경쟁력 강화사업 2009년도(5차)사업 보고서-구미, 원주, 반월.시화.
  28. 한국산업단지공단 클러스터정책지원본부, 2012, 산업집적지 경쟁력 강화사업 2011년도(7차)사업보고서.
  29. 황진태.박배균, 2014, "구미공단 형성의 다중스케일적 과정에 대한 연구: 1969-73년 구미공단 제1단지 조성과정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1), pp.1-27.
  30. Bergman, E.M., 2008, Cluster Life-Cycles: an Emerging Synthesis, in Karlsson, C.(eds.), Handbook of Research on Cluster Theory, Cheltenham: Edward Elgar, pp.1-114.
  31. Martin, R. and Sunley, P., 2011, "Conceptualizing cluster evolution: beyond the life cycle model?," Regional Studies 45(10), pp.1299-1318. https://doi.org/10.1080/00343404.2011.622263
  32. Menzel, M. P. and Forhanl, D., 2010, "Cluster life cyclesdimensions and rationales of cluster evolution,"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19(1), pp.205-238. https://doi.org/10.1093/icc/dtp036
  33. 매일경제, 1982.08.28., "龜尾(구미) 전자부품 協業團地(협업단지) 내달1일 가동"(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publishDate=1982-08-28&officeId=00009&pageNo=1)(최종열람일: 2017년6월15일).
  34. 매일신문, 2005.11.25., "수도권 공장 신증설 지역 피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8&aid=0000030351)(최종열람일: 2017년8월11일).
  35. 매일신문, 2017.08.24., ""베트남 간 삼성.LG, 돌아와다오"…한국기업 U턴책 없나"(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38544&yy=2017)(최종열람일: 2017년11월3일).
  36. 매일신문, 2017.10.31., "[구미공단과 함께 한 50년, 함께 할 50년] <4>새로운 패러다임, 탄소산업"(http://news.imaeil.com/NewestAll/2017103100112150335)(최종열람일: 2017년11월3일).
  37. 매일신문, 2017.11.02., "구미, 기초단체 첫 탄소사업 육성.지원 조례 제정"(http://news.imaeil.com/NewestAll/2017110200070695969)(최종열람일: 2017년11월16일).
  38. 매일신문, 2017.11.13., "탄소시장 선점…구미 탄소산업 발전협의회 발족"(https://news.imaeil.com/People/2017111319023662845)(최종열람일: 2017년11월16일).
  39. 매일신문, 2018.10.03., ""구미는 더는 기업하기 힘든 곳"…구미 경제 위기감 최고조"(http://news.imaeil.com/Economy/2018100211283016440)(최종열람일: 2018년11월27일).
  40. 연합뉴스, 1999.01.11., "구조조정 대상 기업 생산차질 조짐"(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4439961)(최종열람일: 2017년6월27일).
  41. 전자신문, 2014.04.13., "[기획]스마트폰 1위…국내 생산은 감소"(http://www.etnews.com/20140413000052)(최종열람일: 2017년9월5일).
  42. http://bi.ikw.ac.kr(최종열람일: 2017년10월9일).
  43. http://www.gumibc.or.kr(최종열람일: 2017년10월9일).
  44. http://www.kicox.or.kr(최종열람일: 2017년6월1일).

Cited by

  1. 한국 산업위기지역의 현 주소: 구미지역 산업 환경과 위기실태 vol.22, pp.3, 2018, https://doi.org/10.23841/egsk.2019.22.3.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