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Regional Income Outflows through Comparing GRDP and GRNI

지역내총생산과 지역총소득 비교를 통한 소득의 역외 유출 분석

  • 정재준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 Received : 2018.12.27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re are many factors that cause uneven regional developments in the country and one of main factors is outflow of regional income or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gional production runoff by comparing GRDP and GRNI in basic local governments level. In this study, GRNI of basic local governments are estimated by local income tax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GRNI is more concentrated than GRDP. The analysis of Moran I showed that the spatial autocor-relation of GRNI is more distinct than that of GRDP. Local Moran I analysis shows that spatial hot spots and cold spots are more apparent in GRNI than GRDP. Secondly, the outflows of GRDP into a small number of regions are apparent. In about 80% of basic local governments, the net outflows of GRDP occur. The large net outflow regions are cities where manufacturing industry has developed and in the 20 lowest net outflow rate regions, 70-80% of GRDP outflows. The large net inflow regions are metropolitan area in Seoul and large local cities. Seocho-gu, Yongsan-gu, and Gangnam-gu in Seoul have a large net inflows and net inflow rates are over 90% of GRDP.

국가 내 지역불균형 발전의 원인 중 하나는 지역 내 생산액 또는 지역의 부가 지역 외로 유출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시군구의 지역내총생산(GRDP)과 지역총소득(GRNI)을 비교하여 지역의 생산액 유출 현상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군구 단위의 지역총소득은 지방소득세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하였으며 이를 지역내총생산과 비교하여 시군구 단위의 생산액 유출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내총생산 보다 지역총소득의 지역적 집중 현상이 뚜렷함을 알 수 있었다. Moran / 분석과 Local Moran / 분석을 통해 지역내총생산 보다 지역총소득 데이터에서 공간적 자기상관이 뚜렷하고, 공간적 클러스터가 두드러짐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소수의 지역으로 지역내총생산의 유출이 집중됨을 알 수 있었다. 약 80%의 시군구에서 순유출이 발생하였고, 순유출이 큰 지역은 제조업이 발달한 도시였으며, 군지역이 대부분인 순유출 비율 상위 20위 지역에서는 지역내총생산의 70-80%의 생산액이 유출되었다. 순유입이 큰 지역은 기업의 본사가 위치한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 일부 지역이었으며, 서울의 서초구, 용산구, 강남구 등은 순유입의 규모가 지역내총생산액의 90% 이상일 정도로 순유입 비율이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수.이두희.김계환, 2011, "지역산업 육성정책에 대한 고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4), pp.467-485.
  2. 김종희, 2010, "GRDP(지역내총생산) 추정을 통한 지역 간 경제력 격차 분석," 지방행정연구 24(1), pp.207-235.
  3. 민경삼, 2010, "지역소득통계 세분화," 2010 통계작성기관 워크숍.
  4. 박경, 2011, "우리나라 지역 간 소득의 역외 유출 현상-충남을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21(4), pp.83-111.
  5. 박경, 2016, "역외 소득 유출의 형태 및 방향과 지역 분배소득 통계의 신뢰성," 공간과 사회 26(1), pp.177-218.
  6. 박과영.김갑성, 2011, "소득대비 지출 비교를 통한 지역 격차 분석," 지역연구 27(1), pp. 37-50.
  7. 박완규.김두수, 2014, "재정변수 및 비재정변수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16개 시도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3), pp.554-566.
  8. 박완규.지은초.송일환, 2017, "경기도 재정력 변동의 특성에 따른 경제성장 전략 연구 -다양한 지역구분에 따른 실증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1), pp.84-104. https://doi.org/10.23841/egsk.2017.20.1.84
  9. 서민철, 2018, "1960년 이후 지역내총생산 시계열 자료의 구축과 지역격차에 관한 정형화된 사실," 국토지리학회지 52(3), pp.425-443.
  10. 염승일.이희연, 2011, "시,군,구의 문화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3), pp.307-314.
  11. 오삼규.정창호.김경용, 2005, "지역소득통계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2005년 한국통계학회 춘계학술대회.
  12. 이강익, 2011, "부의 역외유출로 인한 지역불균형발전," 지역사회학 13(1), pp.91-115.
  13. 이순배.하채수, 2010, "시군 간 소득발생의 불균등도 분석," 한국지방자치연구 11(4), pp.1-17.
  14. 이희연.이제연, 2010, "지식창출활동과 지역경제성장 간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3), pp.297-311.
  15. 서울열린데이터광장, data.seoul.go.kr
  16. 통계청, www.kosi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