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Chatbot Personality based on the Purposes of Chatbot

사용목적에 따라 선호하는 챗봇의 성격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8.03.29
  • Accepted : 2018.04.28
  • Published : 2018.05.28

Abstract

With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strong AI chatbot, the role of chatbot has been extended from conducting simple tasks to being a friend or counsellor. For this newly emerging purpose of chatbot, endowment of personality is important to make the chatbot regarded as a human being. Nevertheless I found that there are few guides about it. Thus, this study identifies the proper personality of chatbot depending on the purpose of services and user types. The purposes of chatbot services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such as leisure-time, counselling, and task. The DISC theory is used for categorizing personality, which consists of 4 types such as dominance(D), inducement(I), submission(S), and compliance(C). An interview and survey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ferred personality of chatbot and contents for leisure-time. As results, people tend to prefer people-oriented types such as I, S for their leisure time, task-oriented types such as D,C for their task, and slow types such as C,S for counselling. Women prone to prefer neutral gender except for counselling and men tend to prefer female in all chatbot services. Preferred chatbot age is either same or younger age for leisure-time, same or older for counselling, and 30's for tasks. Preferred contents for leisure-time are mostly recent information but many 20's want fun contents and 50-70's want emphatic conversation. 30-50's want honorific but 20's and 60-70's don't care. The research results useful guide on proper personality of AI chatbot for each purpose of its service.

챗봇 서비스가 단순 테스크 기능을 벗어나 심리상담, 친구 역할과 같이 사람과 같은 수준의 지능을 가진 강인공지능으로 진화하기 위해 기술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챗봇을 사람으로 인지하기 위해서 일관된 성격을 부여하는 것이 중요함에도 그에 관한 기준이 부재하고 연구 또한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챗봇의 사용 목적과 사용자 유형에 따라 선호되는 챗봇의 성격에 관해서 연구하였다. 사용 목적은 심심할 때, 심리상담, 테스크(task)로 구분하였고 성격은 DISC이론의 주도형(D), 사교형(I), 신중형(C), 안정형(S)으로 4가지로 구분하였다. 사용자 인터뷰를 통해 사용 목적에 따라 선호하는 챗봇의 나이, 성별, 성격과 심심할 때 챗봇에게 기대하는 콘텐츠 및 말투에 대해서 설문 문항을 도출하였다. 설문한 결과 심심할 때는 주로 사람중심의 성격인 I, S, 테스크 목적일 때는 일 중심 성격인 D,C, 심리상담일 때는 느린 성격인 C,S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심리상담을 제외하고 중성을 선호했고 남성은 목적에 상관없이 여성을 선호하였다. 선호하는 연령대는 심심할 때는 또래이거나 어린 나이, 심리상담의 경우 또래이거나 다소 연상, 테스크 목적일 때는 주로 30대가 선호되었다. 심심할 때 기대하는 바에 있어서 대부분의 연령대가 정보를 선호하였지만 20대는 재미가 앞섰고 50-70대는 공감 및 정서적 안정감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투에 있어서 20대와 6-70대는 존댓말에 대한 선호가 적지만 3-50대는 존댓말을 선호하였다. 결론적으로 심심할 때는 자신보다 낮은 존재, 테스크 목적일 때는 효율성, 심리상담의 경우에는 신중하게 듣는 태도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챗봇의 서비스 목적에 따라 적합한 정체성을 설정하는데 유용한 가이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장준희, "인공지능 기반의'챗봇(ChatBot)' 서비스 등장과 발전 동향," NIA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
  2. http://www.techsuda.com/archives/9357
  3. Z. Yu, Z. Xu, A. W. Black, and A. Rudnicky, "Strategy and policy learning for nontask- oriented conversational systems," In 17th Annual Meeting of the Special Interest Group on Discourse and Dialogue, pp.404-412, 2016.
  4. Q. Qian, M. Huang, and X. Zhu, "Assigning personality/identity to a chatting machine for coherent conversation generation," arXiv preprint arXiv:1706.02861, 2017.
  5. http://www.bbc.com/news/technology-27762088
  6. H. Nguyen, D. Morales, and T. Chin, A Neural Chatbot with Personality, Stanford University working paper, 2017.
  7. C. L. Lisetti, S. M. Brown, K. Alvarez, and A. H. Marpaung, "A Social Informatics Approach toHuman-Robot Interaction With a Service SocialRobot," IEEE Trans. on System, Man, and Cybernetics, Part C, Vol.34, No.2, 2004.
  8. L. Medeiros and T. Bosse, "An Empathic Agent that Alleviates Stress by Providing Support via Social Media," In Proceedings of the 16th Conference on Autonomous Agents and MultiAgent Systems, International Foundation for Autonomous Agents and Multiagent Systems, pp.1634-1636, 2017.
  9. G. Cameron, D. Cameron, G. Megaw, R. Bond, M. Mulvenna, S. O'Neil, C. Armour, and M. McTear, "Towards a chatbot for digital counselling," In Proceedings of the 31st British Computer Society Human Computer Interaction Conference, p.24, 2017.
  10. https://www.forbes.com/sites/christinecrandel/2016/10/23/chatbots-will-be-your-new-best-friend/#490621a4a245
  11. 오세욱, "미디어로서의 봇 (bot)," 한국언론정보학보, 제79권, pp.70-103, 2016.
  12. R. Tokuhisa and R. Terashima, "Relationship between utterances and enthusiasm in non-task-oriented conversational dialogue," In Proceedings of the 7th SIGdial Workshop on Discourse and Dialogu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pp.161-167, 2009.
  13. M. Portela and C. Granell-Canut, "A new friend in our smartphone?: observing interactions with chatbots in the search of emotional engagement," In Proceedings of the XVI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 Computer Interaction, ACM, p.48, 2017.
  14. 윤수진, 뉴 실버세대의 감성 커뮤니케이션과 맞춤형 가상비서(Virtual Assistant) 콘텐츠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5. C. Nass and K. M. Lee, "Does computer- generated speech manifest personality? An experimental test of similarity-attraction," In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ACM, pp.329-336, 2000.
  16. 박성용, 현소은, "DISC 를 이용한 성격분석방법의 정확성 비교," 상품학 연구, 제34권, pp.45-54, 2016.
  17. 김은희, 주은선, "내담자 변인과 상담형태에 따른 내담자의 상담에 대한 기대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3권, 제1호, pp.51-77, 2001.
  18. 송인선, 백지연, "Q-방법론을 적용한 비서이미지와 이미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비서학논총, 제22권, 제2호, pp.87-116,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