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농수산대학 전공심화과정 졸업생의 영농활동실태조사

A Survey on Farming Activities of Graduates for Intensive Major Course of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Hwang, I.U. (National of Chunbuk National University, CK-1 Project Team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Joo, J.S.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 Kim, J.S.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 Oh, D.G.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 Song, C.Y.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발행 : 2018.06.30

초록

본 연구는 한국농수산대학 전공심화과정 졸업생들의 영농활동 실태에 대한 분석이다. 분석 결과 한농대 전공심화 졸업생들의 영농활동 특징으로는 규모화 전략을 통한 농업경쟁력 확보에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전문영농에 힘쓰고 있다. 또한 다양한 농업기술혁신 전략을 통해 가치창조 농업(예를 들면, 친환경농업, 신기술의 적극적 도입, 지속적인 연구 활동, 지역사회 활성화에 견인, 전문가 및 동문 등과 적극적인 네트워크 활동 등)에 앞장서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들은 다양한 인증 및 수상(무농약 인증, 무항생제 인증, 우수농가 수상, 우수농산물(GAP), HACCP 인증)등의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이렇듯 전문 고등교육기관에서 농업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받은 한농대 졸업생들의 역할은 향후 우리나라 농업발전에 있어 매우 큰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학교 측의 다양한 제도적·정책적 지원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This is a survey on farming activities of intensive major course's graduates of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KNCAF). Above all, major characteristics of graduates of intensiv major course cases are as follows. First, They make an effort to secure of agriculture competitiveness through an increase in farm size, and then strive for their specialty. Second, They are leading value based agriculture through an innovations in techniques.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intensive major course's examples have the following features: aim at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actively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y, continued research activity, community reinvigoration and leading development of agriculture through active network. Finally, This result in various certifications and awards(environment friendly certification, HACCP certification, non antibiotic/pesticide-free certification, organic certification etc.). Therefore, there are necessity of various intitutional and political supports in order that they grow the core people and leader of farm village.

키워드

참고문헌

  1. 라승용. (2015). "대한민국 농생명산업의 미래. "한국응용곤충학회 추계학술발표 자료집.
  2. 박민선. (2008). "한국농업의 구조변화: 2005 년 농업총조사 원자료분석을 중심으로." 농협경제연구 37: 1-28.
  3. 유학열. (2013). "농업 6차산업화의 필요성과 활성화를 위한 과제." 월간국토 384: 29-35. 국토연구원.
  4. 한국농수산대학 20년사. (2017). 한국농수산대학
  5. 황인욱, 이소영, 주진수, 양주환, 김종숙. (2017). 청년농업인의 영농정착 성공 특성 및 영농수준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연구 25(1): 21-45. 한국지역사회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