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Watching TV Programs on Employees' Stress and Communication

TV 프로그램 시청이 직장인의 스트레스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 천경주 (부산대학교 의학과 인문사회의학교실) ;
  • 이상옥 (부산대학교 의학과 인문사회의학교실) ;
  • 김유리 (부산대학교 의학과 인문사회의학교실) ;
  • 김성수 (부산대학교 의학과 인문사회의학교실)
  • Received : 2018.10.11
  • Accepted : 2018.11.18
  • Published : 2018.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watching TV on employees' stress and communication levels. We developed a 30 minutes-long TV watching program for this study. Participating employees were asked to watch the 30 minutes-long TV programs during their lunch hours for 20 weeks. The stress and communication level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results show that in general, both the average stress level and communication level were sta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for all the participated employees except those in the 20s. The biggest improvement in stress and communication levels was made in those in the 30s. In sum, the 'Watching TV program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reduction of stress and the increase of communication abilities for the employees. This is believed to be the first employer initiated attempt in Korea to tackle employees' stress and communication problems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TV watching program concept.

본 연구는 대한민국 직장인의 높은 스트레스 지수와 낮은 의사소통 지수의 현상을 파악하고 개선하고자, TV 시청의 방법을 사용하여 그들의 스트레스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조업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총 20주간 진행 되었고, 본 연구에서 개발한 'TV 프로그램 시청' 방법을 사용하여 점심식사 이후 30분간 프로그램을 시청하도록 하였으며, 프로그램 시청에 앞서 먼저 스트레스 지수와 의사소통 지수를 각각 측정하였다. 'TV 프로그램 시청' 수행 후 실험 참여자들은 일상 업무로 복귀하여 오후 일과를 다시 시작하였고, 20주 후 실험 참여자들의 스트레스 및 의사소통 지수를 한 번 더 측정하였다. 스트레스 지수와 의사소통 지수는 30~50대의 직장인들이 실험 전과 후의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특히 30대는 스트레스 감소와 의사소통 증가량이 크게 나타나, 다른 연령과 비교했을 때 스트레스 지수와 의사소통 지수가 가장 크게 개선되었다. 본 연구는 TV 시청이라는 새로운 방법이 사내 직원들의 스트레스 완화와 의사소통 증진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동안 기업에서는 직장인들의 스트레스 관리와 의사소통 증진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행하여 왔지만, 그 효과나 지속성 면에서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본 연구의 점심시간을 통한 30분의 짧은 'TV 프로그램 시청'이 직장 내에서 직원들의 높은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낮은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접근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CCTHCV_2018_v18n12_394_t0001.png 이미지

표 2. 연령대별 스트레스 지수 변화

CCTHCV_2018_v18n12_394_t0002.png 이미지

표 3. 연령대별 의사소통 지수 변화

CCTHCV_2018_v18n12_394_t0003.png 이미지

References

  1. 통계청, "2016년 사회조사 보도자료," http://kostat.go.kr
  2. N. Onan, G. Unsal Barlas, S. Karaca, N. Kocaman Yildirim, O. Taskiran, and F. Sumeli, "The relations between perceived stress, communication skills and psychological symptoms in oncology nurses," MUSBED, Vol.5, No.3, pp.170-177, 2015.
  3. K. Bhui, S. Dinos, M. Galant-Miecznikowska, B. de Jongh, and S. Stansfeld, "Perceptions of work stress causes and effective interventions in employees working in public, private and non-governmental organisations: a qualitative study," BJPsych bulletin, Vol.40, No.6, pp.318-325, 2016. https://doi.org/10.1192/pb.bp.115.050823
  4. 안전보건공단, 2016년도 산업재해분석, http://www. kosha.or.kr
  5. 이승철, 김정근, 김태정, 김동구, "건강한 기업의 조건: 근로자 정신건강," CEO Information, 제860호, 2012.
  6. 박지원, 위기의 직장인, 이렇게 관리하라, LG 경제연구원, 2007.
  7. 정태준, 임왕규,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제10권, 제4호, pp.177-184, 2015.
  8. 박경옥, 김인석, 오영아, "제조업 근로자의 건강행위와 직무로 인한 스트레스 자각증상의 관련성,"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1권, 제3호, pp.195-211, 2004.
  9. 옥원호, 김석용,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제35권, 제4호, pp.355-373, 2001.
  10. 전해옥, "기혼 직장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장-가정 갈등 및 정신건강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378-385,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378
  11. 이후연, 백종태, 조영채, "제조업 남성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와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7권, 제7호, pp.543-554, 2016.
  12. A. Boyd, "Employee traps-corruption in the workplace," Management review, Vol.86, No.8, pp.9-10, 1997.
  13. R. C. Kessler, P. Berglund, O. Demler, R. Jin, K. R. Merikangas, and E. E. Walters, "Lifetime prevalence and age-of-onset distributions of DSM-IV disord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62, No.6, pp.593-602, 2005. https://doi.org/10.1001/archpsyc.62.6.593
  14. K. Pugliesi, "The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Effects on work stress, job satisfaction, and well-being," Motivation and emotion, Vol.23, No.2, pp.125-154, 1999. https://doi.org/10.1023/A:1021329112679
  15. W. H. Hendrix, N. K, Ovalle, and R. G. Troxler,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consequences of stress and its antecedent factor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0, No.1, p.188, 1985. https://doi.org/10.1037/0021-9010.70.1.188
  16. 박성현, 박세영, "직무스트레스와 마음챙김, 직무 만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40권, 제1호, pp.131-154, 2016.
  17. 이환범, 이수창, "직무스트레스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제16권, 제4호, pp.289-305, 2013.
  18. 박시현, 연문희, "집단상담: 의사소통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의사소통,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에 미치는 효과연구-기업장면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10권, 제2호, pp.887-910, 2009.
  19. 김희진, 정승철,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가 번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9권, 제3호, pp.411-432, 2016.
  20. 이애경, 여지영, 정성원, 변상석,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299-308,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299
  21. D. D. Ebert, E. Heber, M. Berking, H. Riper, P. Cuijpers, B. Funk, and D. Lehr, "Self-guided internet-based and mobile-based stress management for employees: results of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ccup Environ Med, oemed-2015-103269, 2016.
  22. E. Heber, D. Lehr, D. D. Ebert, M. Berking, and H. Riper, "Web-based and mobile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 for employe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18, No.1, 2016.
  23. M. R. P. Kaur and M. P. G. Sharma, "Stress Management in the Banking Sector," Imperial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Vol.2, No.3, pp.113-117, 2016.
  24. M. K. Holton, A. E. Barry, and J. D. Chaney, "Employee stress management: An examination of adaptive and maladaptive coping strategies on employee health," Work, Vol.53, No.2, pp.299-305, 2016. https://doi.org/10.3233/WOR-152145
  25. 이문숙, "직장인의 여가활동 참가가 우리성 및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34권, 제1호, pp.227-236, 2010.
  26. 하동현, 김정선, "호텔 종사원의 직무착근도와 역할스트레스원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제24권, 제6호, pp.173-191, 2010.
  27. 김령아, 이봉건,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마음챙김명상 (MBSR) 에 기반을 둔 직장인 지원 프로그램 (EAP) 의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스트레스硏究, 제17권, 제2호, pp.174-183, 2009.
  28. 최영준, "TV 화면의 자연경관 요소가 시청자의 스트레스 해소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30권, 제4호, pp.523-547, 2014.
  29. 남은영, 이재열, 김민혜,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요인,"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pp.1077-1108, 2010.
  30. 서진교, 박장근, 서정윤, "여가스포츠활동과 사회적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제38권, 제2호, pp.145-157, 1999.
  31. B. S. Frey, C. Benesch, and A. Stutzer, "Does watching TV make us happy?,"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Vol.28, No.3, pp.283-313, 2007. https://doi.org/10.1016/j.joep.2007.02.001
  32. Statista Survey, "Percentage of adults in the U.S. who agreed with select statements on stress as a part of life as of February 2017, by age," 2018.5.16. http://www.statista.com
  33. C. H. Bae and Y. C. Kim, "A Case Study on Job Stress Prevention in Shipbuilding Industry,"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제 31권, 제1호, pp.197-202, 2012. https://doi.org/10.5143/JESK.2012.31.1.197
  34. S. Sonnentag, I. Kuttler, and C. Fritz, "Job stressors, emotional exhaustion, and need for recovery: A multi-source study on the benefits of psychological detach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76, No.3, pp.355-365, 2010. https://doi.org/10.1016/j.jvb.2009.06.005
  35. 탁진국, 이감숙, 홍현숙, "사무직 직급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요인," 예방의학회지, 제35권, 제2호, 2002.
  36. 손장윤, 신용존, 이정경, "선박조직에서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갈등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0권, 제3호, pp.59-87, 2014.
  37. 김태룡, 안희정, "팀제의 도입에 따른 성과분석,"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345-361, 2006.
  38. 김혜온, 서상숙, "30 대와 40 대 남성의 직장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29권, 제4호, pp.1-22, 2016.
  39. 옥상미, 전혜성, "중년기 직장 남성의 은퇴불안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 및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제17권, 제4호, pp.373-393, 2016.
  40. M. Neal, "Is Watching TV Actually a Good Way to Rest Your Brain?," Motherboard, 2018.6.19. http://www.motherboard.vice.com
  41. 임소혜, "영상 콘텐츠의 사실성과 유인가가 수용자의 심리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3권, 제5호, pp.339-379, 2009.
  42. D. K. Brown, J. L. Barton, and V. F. Gladwell, "Viewing nature scenes positively affects recovery of autonomic function following acute-mental stress,"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Vol.47, No.11, pp.5562-5569, 2013. https://doi.org/10.1021/es305019p
  43. J. L. Derrick, "Energized by television: Familiar fictional worlds restore self-control,"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 Vol.4, No.3, pp.299-307, 2013. https://doi.org/10.1177/1948550612454889
  44. D. R. Anderson, P. A. Collins, K. L. Schmitt, and R. S. Jacobvitz, "Stressful life events and television viewing," Communication Research, Vol.23, No.3, pp.243-260, 1996. https://doi.org/10.1177/009365096023003001
  45. J. P. Forgas, "Feeling and speaking: Mood effects on verbal communication strategi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25, No.7, pp.850-863, 1999. https://doi.org/10.1177/0146167299025007007
  46. 김창대, 민경화, 윤숙경, 공은혜, "직장에서의 대인 역량에 대한 직장인들의 인식," 아시아교육연구, 제9권, 제1호, pp.133-148, 2008.
  47. 문은미, 이주희, "사회초년생이 직업적응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8권, 제3호, pp.743-775, 2016.
  48. 김혜성, "직무스트레스와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직장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2권, pp.346-373, 2009.
  49. Y. H. Bae, "중년 직장남성의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불안정서 감소를 위한명상상담 사례연구," Journal of Meditation 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Vol.9, pp.40-53,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