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umers' Perception of Intelligent Vehicle

지능형 자동차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유형 연구

  • 김기범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 이혜정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
  • 이정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Received : 2018.10.10
  • Accepted : 2018.12.06
  • Published : 2018.12.28

Abstract

As the intelligent vehicle market continues to develop relevant technologies and services for consumer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otential consu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types of potential consumers of intelligent vehicle using the Q-methodology. A Q-frame was constructed using thirty six statements from intelligent vehicle related literature concerning core technology, technology acceptance and personal consumption value, legal system and policy and social awareness. Q-sorting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thirty nine P-samples snowballed. Analysis produced four types of potential consumers for intelligent vehicle: Smart Car Consumer, Reasonable Consumer, Safety Car Consumer, and Smart Device Consumer. Smart Car Consumer value the vehicle capability of intelligent vehicle as most important while Reasonable Consumer focus upon the economics of intelligent vehicle. Safety Car Consumer recognize the safety of intelligent vehicle as most important while Smart Device Consumer highly value the IT functions provided by intelligent vehicles. Across these four different types of consumers, preventing injuries of intelligent vehicle drivers turned out to be the most common critical factor in assessing intelligent vehicle. Implications for the intelligent vehicle market is discussed at the end with further studies needed.

지능형 자동차 시장은 초기단계로 소비자들을 위한 관련 기술 및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어 잠재 소비자들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주관성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지능형 자동차 잠재 소비자들의 유형을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지능형 자동차의 핵심기술, 기술수용 및 개인 소비가치, 법제도와 정책 및 사회적 인식을 준거의 틀로 하여 총 36개의 Q표본을 구성하였다. 이 후 39명의 P표본을 선정하여 데이터를 수집한 뒤 Q분류와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지능형 자동차에 대한 잠재 소비자의 유형을 총 4개로 도출하였다. 첫 번째 유형은 지능형 자동차의 자동차 기능을 중요시하는 그룹으로 스마트 자동차(Smart Car) 소비자라고 하였다. 두 번째 유형은 지능형 자동차의 합리적인 경제성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그룹으로 합리적(Reasonable) 소비자라 하였다. 세 번째 유형은 지능형 자동차의 안전성을 중요시하는 그룹으로 안전한 자동차(Safety Car) 소비자라 하였다. 네 번째 유형은 지능형 자동차의 IT기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그룹으로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 소비자라 하였다. 응답자들은 공통적으로 지능형 자동차 운전자의 부상을 감소시키는 기능이 지능형 자동차 구매의 핵심 요소라고 대답하였다.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초기단계인 지능형 자동차 시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

CCTHCV_2018_v18n12_405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준거의 틀 개념도

표 1. Q 표본

CCTHCV_2018_v18n12_405_t0001.png 이미지

표 2. Q 분류 변환점수

CCTHCV_2018_v18n12_405_t0002.png 이미지

표 3. 유형별 아이겐 값 및 변량

CCTHCV_2018_v18n12_405_t0003.png 이미지

표 4. 유형별 상관관계 계수

CCTHCV_2018_v18n12_405_t0004.png 이미지

표 5. 유형별 P표본의 특성 및 인자가중치

CCTHCV_2018_v18n12_405_t0005.png 이미지

표 6. 제 1유형의 Q표본 진술문과 표준점수(±1.00 이상)

CCTHCV_2018_v18n12_405_t0006.png 이미지

표 7. 제2유형의 Q표본 진술문과 표준점수(±1.00 이상)

CCTHCV_2018_v18n12_405_t0007.png 이미지

표 8. 제3유형의 Q표본 진술문과 표준점수(±1.00 이상)

CCTHCV_2018_v18n12_405_t0008.png 이미지

표 9. 제4유형의 Q표본 진술문과 표준점수(±1.00 이상)

CCTHCV_2018_v18n12_405_t0009.png 이미지

References

  1. S. E. Lee and S. Kim, "The Influence of Smart Car Technologies on Drivers' Perceived Control and Attachment," 14th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Society (ITS) Asia-Pacific Regional Conference: "Mapping ICT into Transformation for the Next Information Society", Kyoto, Japan, 24-27 June, 2017.
  2. S. B. Yoon and E. Cho, "Convergence Adoption Model (CAM) in the Context of a Smart Car Servic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60, pp.500-507, 2016. https://doi.org/10.1016/j.chb.2016.02.082
  3. I. Rhiu, S. Kwon, S. Bahn, M. H. Yun, and W. Yu, "Research Issues in Smart Vehicles and Elderly Driver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Vol.31, No.10, pp.635-666, 2015. https://doi.org/10.1080/10447318.2015.1070540
  4. K. O. Cho and J. D. Moon, "Strategy for Leading Technologies in Smart Car," Telecommunications Review, SK Telecom, Vol.25, No.3, 2015.
  5. 이재관, "스마트카 개발동향 및 당면과제," 한국통신학회지(정보와통신), 제30권, 제11호, pp.32-38, 2013.
  6. 한국정보산업연합회,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2016.
  7. 정구민, 정태용, "스마트카 진화를 이끄는 국제 표준화와 대응 방향," 오토저널, 제36권, 제12호, pp.22-27, 2014.
  8. Administration, N. H. T. S, National Motor Vehicle Crash Causation Survey: Report to Congress,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Technical Report DOT HS, 811, 059, 2008.
  9. 이종영, 김정임, "자율주행자동차 운행의 법적 문제," 중앙법학, 제17권, 제2호, pp.145-184, 2015.
  10. K. Bimbraw, "Autonomous cars: Past, present and future a review of the developments in the last century, the present scenario and the expected future of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Paper presented at the Informatics in Control, Automation and Robotics (ICINCO),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2015.
  11. R. Coppola and M. Morisio, "Connected car: Technologies, Issues, Future trends," ACM Computing Surveys(CSUR), Vol.49, No.3, pp.1-36, 2016.
  12. 임이정, 이중기, 황기연, "자율주행차량의 운행을 위한 법적 이슈," 교통연구, 제23권, 제3호, pp.75-91, 2016.
  13. 변민수, 이혜정, 이정우, "스마트워치 구매 소비자들의 심성 모형에 관한 연구," 주관성연구, 제29권, pp.77-98, 2014.
  14. 백인선, 장석주, "스마트카 기술에 대한 소비자 지각의 품질특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J Korean Soc Qual Manag, 제44권, 제3호, pp.661-676, 2016. https://doi.org/10.7469/JKSQM.2016.44.3.661
  15. M. Mikusz, T. Schafer, T. Taraba, and C. Jud, "Transforming the Connected Car into a Business Model Innovation," Paper presented at the Business Informatics (CBI), IEEE 19th Conference on, 2017.
  16. T. Becsi, S. Aradi, and P. Gaspar, "Security Issues and Vulnerabilities in Connected Car Systems," Paper presented at the Models and Technologies for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MT-IT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2015.
  17. J. N. Sheth, B. I. Newman, and B. L. Gross, "Why We Buy What We Buy: A Theory of Consumption Vlu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22, No.2, pp.159-170, 1991. https://doi.org/10.1016/0148-2963(91)90050-8
  18. 손희주, 이현수, "소비특성에 따른 전자제품매장의 디자인 선호특성 연구," 디자인융복합연구, 제11권, 제5호, pp.73-92, 2012.
  19. J. F. Engel, "Are Automobile Purchasers Dissonant Consumers?," The Journal of Marketing, Vol27, No.2, pp.55-58, 1963. https://doi.org/10.2307/1248373
  20. 정보희, 김한구, "소형 하이브리드 자동차 시장에서 소비자의 추구 가치와 친환경 메시지 프레이밍(message framing)이 제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관리연구, 제19권, 제3호, pp.139-186, 2014.
  21. R. Ozaki and K. Sevastyanova, "Going Hybrid: An Analysis of Consumer Purchase Motivations," Energy Policy, Vol.39, No.5, pp.2217-2227, 2011. https://doi.org/10.1016/j.enpol.2010.04.024
  22. 문성철, 이정기, 최민재, "라이프스타일, 구매성 향, 복합시간성향이 스마트폰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제19호, pp.101-143, 2011.
  23. V. Venkatesh, J. Y. Thong, and X. Xu, "Consumer Acceptance and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Extend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MIS quarterly, Vol.36, No.1 pp.157-178, 2012. https://doi.org/10.2307/41410412
  24. 박현정, 신경식, 최재원,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다차원적 혁신저항 구조와 혁신 제품 사용의 결정요소,"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21권, 제2호, pp.97-119, 2016. https://doi.org/10.7838/jsebs.2016.21.2.097
  25. 정유진, 박현숙, "인터넷전문은행 서비스의 사용자 수용에 관한 연구 UTAUT2 모델을 응용하여," e-비즈니스연구, 제18권, 제3호, pp.75-95, 2017.
  26. R. E. Rice, A. E. Grant, J. Schmitz, and J. Torobin, "Individual and Network Influences on the Adoption and Perceived Outcomes of Electronic Messaging," Social Networks, Vol.12, No.1, pp.27-55, 1990. https://doi.org/10.1016/0378-8733(90)90021-Z
  27. R. B. Cialdini and M. R. Trost, "Social Influence: Social Norms, Conformity and Compliance," In D. T. Gilbert, S. T. Fiske, and G. Lindzey (Eds.),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New York, NY, US: McGraw-Hill, 1998.
  28. I. Ajze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50, No.2, pp.179-211, 199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
  29. G. C. Moore and I. Benbasat,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Perceptions of Adopting an Information Technology Innovatio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2, No.3, pp.192-222, 1991. https://doi.org/10.1287/isre.2.3.192
  30. A. Venkatesh, "Computers and Other Interactive Technologies for the Home,"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39, Issue.12, pp.47-54, 1996. https://doi.org/10.1145/240483.240491
  31. E. M. Rogers, Diffusion of Innovations, Simon and Schuster, 2010.
  32. R. J. Fisher and L. L. Price, "An Investigation into the Social Context of Early Adoption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9, No.3, pp.477-486, 1992. https://doi.org/10.1086/209317
  33. 김인재, 이정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수용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3권, 제1호, pp.83-101, 2001.
  34. 이민화, 권현영, "모바일 증권 서비스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영연구, 제18권, pp.85-106, 2003.
  35. J. K. ohansson, S. P. Douglas, and I. Nonaka, "Assessing the Impact of Country of Origin on Product Evaluations: A New Methodological Perspectiv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2, No.4, pp.388-396, 1985. https://doi.org/10.1177/002224378502200404
  36. 한충민, "외국 브랜드에 대한 미국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 의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마케팅연구, 제13권, 제1호, pp.27-42, 1998.
  37. 김해연, 성동규, "자율주행자동차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3호, pp.81-100,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3.081
  38. 김병일, "IT 기반 융합산업 발전을 위한 법, 제도 개선방향 연구," 과학기술법연구, 제16권, 제1호, pp.73-98, 2010.
  39. 황창근, 이중기, "자율주행자동차 운행을 위한 행정규제 개선의 시론적 고찰-자동차, 운전자, 도로를 중심으로," 홍익법학, 제17권, 제2호, pp.27-59, 2016.
  40. 김상태, "자율주행자동차에 관한 법적 문제," 경제규제와 법, 제9권, 제2호, pp.177-190, 2016.
  41. 이정우, 박준기, 이혜정, "정보기술 (IT) 역량의 유형에 관한 연구: 혁신, 지원 그리고 관리," 주관성 연구, 제22권, pp.73-92, 2011.
  42. 이혜정, 김한별, 이정우, "IT 전문 인력의 커리어 가치관," 주관성연구, 제28권, pp.93-114, 2014.
  43. 김찬우, 정인영, "Q방법론을 활용한 푸드 트럭 이용고객의 주관적 인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8호, pp.514-524,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8.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