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Cultural Policy-related Studies' Trend in Korea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2008-2017)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한 국내 문화정책 연구동향 분석(2008-2017)

  • 박양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예술경영학과)
  • Received : 2017.08.24
  • Accepted : 2017.11.01
  • Published : 2017.11.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cultural policy-related papers based on 832 key words among 186 whole articles in the Journal of Cultural Policy by the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from October 2008 to January 2017.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big data analysis technique called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consists of frequency analysis, density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including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Lastly, the study shows a figure visualizing the results of the centrality analysis through Netdraw program. The most frequently exposed key words were 'culture', 'cultural policy/administration', 'cultural industry/cultural content', 'policy', 'creative industry', in the order. The key word 'culture' was ranked as the first in all the analysis of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followed by 'policy' and 'cultural policy/administraion'. The key word 'cultural industry/cultural content' with very high frequency recorded high points in degree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but showed relatively low points in betweenness centrality.

본 연구는 콘텐츠산업정책을 포괄하는 문화정책에 대한 학술적 연구의 동향을 알고자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해 국내의 가장 대표적인 문화정책 분야 전문학술지인 '문화정책논총'에 수록된 186편의 논문 주제어 832개를 대상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시간적 범위는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술지인용색인 홈페이지(www.kci.go.kr)에 수록되어 있는 2008년 10월부터 2017년 1월까지로 하였다. 언어네트워크 분석은 주제어 빈도수, 밀도분석과 중심성을 지표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Netdraw 프로그램에 의한 시각화를 시도하였다. 언어네트워크분석 결과 가장 많은 빈도수를 기록한 주제어는 '문화'였고, '문화정책/행정', '문화산업/문화콘텐츠', '정책'이 최다의 빈도수를 기록한 그룹에 포함되었다. 빈도수가 높은 '문화정책/행정'과 '문화산업/문화콘텐츠'는 대부분의 중심성에서 우위를 차지했으나, 매개중심성은 낮아 다른 주제어들과의 중매 역할에는 한계를 드러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문재인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2017. http://www1.president.go.kr/newsList4.php?srh%5Bview_mode%5D=detail&srh%5Bseq%5D=822)\
  2. 오양열, "한국의 문화행정체계 50년: 구조 및 기능의 변천과정과 그 과제," 문화정책논총, 제7집, pp.29-74, 1995.
  3. 임학순, "문화정책의 연구영역과 연구경향 분석," 문화정책논총, 제8집, pp.1-27, 1996.
  4. 김정수, "한국 행정학 60년 문화행정 연구의 동향과 성찰," 행정논총, 제54권, 제4호, pp.105-139, 2016.
  5. 이종인, 한국의 문화정책에 관한 연구: 문화발전과 문화정책론, 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6. 정재완, 한국의 문화정책, 문화운동론, 서울: 공동체, 1985.
  7. 박종국, "문화정책," 한.불 문화시설 건축세미나 발표자료, 1987.
  8. 정홍익, "문화정책의 역사적 분석," 한국행정학회 연례학술대회 발표 논문, 1991.
  9. 정홍익, "문화행정연구: 개념틀과 분석," 한국행정학보, 제25권, 제4호, pp.229-245, 1992.
  10. 정홍익 "문화정책의 회고와 발전방안," 광복50주년 기념논문집, pp.421-463, 1995.
  11. 박양우, "국민의 정부 문화정책 화두는 문화경제의 활성화," 문화예술, 제236호, pp.11-16, 1999.
  12. 변정수, "왼손이 하는 일을 오른 손이 모르게 하라? - 문민정부 문화정책 비판," 문화과학, 제12호, pp.217-227, 1997.
  13. 원용진, "'국민의 정부' 문화정책," 문화과학, 제17호, pp.181-206, 1999.
  14. 이원재, "새 정부 문화정책 제안: '문화민주주의의 꿈!," 문화과학 제33호, pp.337-349, 2003.
  15. 원용진, "문화정치적 입장에서 본 '노무현 정부' 문화정책 3년," 문화정책 개혁을 위한 토론회 자료집, 문화연대, 2006.
  16. 김정수, "한류현상의 문화산업정책적 함의: 우리나라 문화산업의 해외진출과 정부의 정책지원," 한국정책학회보, 제11권, 제4호, pp.1-21, 2002.
  17. 이병량, "한국 정책연구에서 다문화정책 연구의 경향 분석," 한국행정논집, 제23권, 제4호, pp.1243-1263, 2004.
  18. 박광국, "문화행정 60년의 분석과 과제," 특별기획 세미나자료, 한국정책학회, 2008.
  19. 박양우, "이명박 정부의 문화정책 방향에 관한 고찰,"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p.631-660, 2008.
  20. 박양우, "한국 문화콘텐츠산업정책의 추세 분석," 예술경영연구, 제22호, pp.299-332, 2012.
  21. 임학순, "우리나라 문화정책 연구경향 분석 (1998 - 2007)," 문화정책논총, 제21집, pp.25-48, 2009.
  22. 임학순, "우리나라 예술경영 연구의 동향분석- 예술경영연구의 수록 논문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제14호, pp.49-71, 2009.
  23. 양지연, "해외 박물관경영 연구의 동향 분석," 예술경영연구, 제14호, pp.29-48, 2009.
  24. 이병량, "한국 정책연구에서 다문화정책 연구의 경향 분석," 한국행정논집, 제23권, 제4호, pp.1243-1263, 2011.
  25. 황동열, 홍성보, "박물관운영 분야 학술연구 동향에 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박물관학보, 제20호, pp.9-31, 2011.
  26. 서순복, "한국문화정책 연구쟁점의 분석과 전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4권, 제2호, pp.257-273, 2013.
  27. J. McGuigan, Rethinking Cultural Policy, Maidenhead: Open University Press, 2004.
  28. H. K. Colebatch, Policy(2nd edition), Buckingham and Philadelphia: Open University Press, p.86, 2003.
  29. M. Arnold, Culture and Anarch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0.
  30. E. B. Tylor, Primitive Culture: Researches into the Development of Mythology, Philosophy, Religion, Art, and Custom,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31. R. Williams, The Sociology of Culture, Chicago: The Univesity of Chicago Press, 1981.
  32. H. D. Lasswell and A. Kaplan, Power and Society,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70.
  33. Y. Dror, Public Policymaking Reexamined, New Brunswick: Transaction Inc, 1983.
  34. 정정길, 정책학원론, 서울: 대명출판사, 2017.
  35. S. Wassetman and K. Faust,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The Press Syndicate of the University of Cambridge, 1994.
  36. 양승돈, "언어네트워크분석(Semiotic Network Analysis)을 활용한 민간경비 분야의 연구 경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894-90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894
  37. 이수상,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정보관리학회지, 제31권, 제4호, pp.49-68, 2014. https://doi.org/10.3743/KOSIM.2014.31.4.049
  38. 김학준, 정광민,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한 국내 사회과학분야 항공관련 학술지 연구 트렌드 분석," 관광레저연구, 제28권, 제9호, pp.297-316, 2016.
  39. 한관종, "사회과학방법론으로서의 연결망 분석기법 적용의 의의와 연구과제: 의미와 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제10권, 제2호, pp.219-235, 2003.
  40. 이해준, 이동일, 이주현,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프랜차이즈 교육 프로그램 개발," 경영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pp.105-128, 2010.
  41. 유대영, 소집단 활동에서 과학 영재들의 의사소통 구조에 따른 지위형성과 언어네트워크 분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42. 서준일,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스마트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경기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43. D. Hansen, B. Shneiderman, and M. Smith, "Analyzing social media networks: Learning by doing with NodeXL," Computing, Vol.28, No.4, pp.1-47, 2009.
  44. 박효연, 이혜련, 김대관, 송수엽,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메가이벤트 신문사설 분석: 2012 여수엑스포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제38권, 제1호, pp.179-199, 2014.
  45. L. C. Freeman, "Graphic techniques for exploring social network date," In P. J. Carrington, J. Scott, and S. Wasserman(eds.), Model and methods in Social Network Analysis, NY, Cambridge, 2005.
  46. 조재인, 이지원, "대학도서관의 직무 연결성 분석," 정보관리연구, 제43권, 제4호, pp.31-48, 2012.
  47. 박한우, L. Leydesdorff,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Daum.net에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6권, 제5호, pp.1377-1388, 2004.
  48. S. P. Borgatti, M. G. Everett, and L. C. Freeman, Ucinet for Windows: Software for Social Network Analysis, MA: Analytic Technologies, 2002.
  49. 김학준,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MICE 연구 트렌드 분석," 관광레저연구, 제27권, 제6호, pp.191-217, 2015.
  50. 김학준, 이동환, "캠핑에 관한 연구 트렌드 분석," 관광레저연구, 제28권, 제7호, pp.223-238,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