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For The Experiential Value And Communication Perceptions Of Convergence Performing Arts

융복합 공연예술의 경험적 가치와 소통인식 연구

  • 안주경 (경상대학교 민속무용학과)
  • Received : 2017.08.07
  • Accepted : 2017.09.19
  • Published : 2017.11.28

Abstract

Creative thinking and fusion diversity of the performing arts pursue the settlement of empirical value realization by assuming new communication by genre. This new value and communication can create a type of collective intelligence with a different attempt based on the individual communication and horizontal thinking of the masses. Therefore, the empirical value and communication of the 21st century convergence(fusion) performing arts is possible through new types and analysis, and also were understood as the horizontal creation structure of the artist. As a result, first, the concept of the right value of 'convergence' was perceived as empirical communication depending on the empirical thinking ability of genre artists. Second, off-genre and collaborative tendencies are due to cooperation based on intellectual ability and recognition of horizontal communication by genre. Third, in the collaboration, the public's individualized communication ability and universal communication recognition should be premised and perceived the empirical definition about the collective intelligence. In conclusion, it is concluded that empirical value and communication of convergence performing arts enable to the experimental cre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that the relationship structure extends to a meaningful transition of convergence interpretation and expression of performing arts.

공연예술의 창의적 사고와 융복합적 다양성은 장르별 새로운 소통을 전제로 경험적 가치실현의 정착을 추구한다. 이러한 새로운 가치와 소통은 또 다른 의미의 시도와 함께 집단지성의 유형을 창조하며 대중의 개체소통과 수평적 사고를 토대로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21세기 융복합 공연예술의 경험적 가치와 소통은 새로운 유형과 분석을 통해 가능하고 아울러 예술가의 수평적 창작구조로 이해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융복합'의 올바른 가치개념은 장르별 예술가들의 경험적 사고능력에 따른 경험적 소통으로 인식되었다. 둘째, 탈장르화와 협업경향은 지적능력에 따른 협력과 장르별 수평적 소통인식에 의한다. 셋째, 협업에서 대중의 개체화된 소통능력과 보편적 소통인식이 전제되어야 하고 나아가 집단지성의 경험적 정의에 인식을 함께 해야 할 것이다. 결국 융복합적 공연예술의 경험적 가치와 소통은 집단지성의 실험적 창조를 가능케 하고, 관계구조는 공연예술의 융복합적 해석과 표현의 유의미한 전이로 확장됨을 결론지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예림, "예술융합, 그리고 국립현대무용단," K-contemporary, pp.108-110, 2016.
  2. 김지수, "문화자본으로써의 융합예술의 비즈니스 시도," 2016 파다프포럼 '융합예술의 도전과 미래', pp.10-24, 2016.
  3. 장혜원, "진화하는 융복합 공연예술 개념의 확장과 수용," 2016 파다프포럼 '융합예술의 도전과 미래', pp.1-8, 2016.
  4. 박소현, 안병순, "춤-연극'시선(God's Eye View) 분석을 통한 융복합 공연예술의 실험적 사고와 집단지성의 관계구조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8호, pp.470-476,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8.470
  5. 김지영, "융복합 공연예술의 미래를 꿈꾸는 집단 지성, PADAF," 2015 PADAF FORUM 자료집, pp.3-7, 2015.
  6. 오세곤, 예술강국, 문화대국, 순천향대학교 출판부, 2011.
  7. 태혜신, 박명숙, "무용학의 융복합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607-608, 2012.
  8. 오선명, "세계의 춤기행 '농 당스(non-danse)의 대표적 안무가 제롬빌-프랑스 파리에서," 월간 '춤', 2012-6월호, 2012.
  9. Roberts-Smith and Jennifer and others, "Visualizing Theatrical Text: From Watching the Script to the Simulated Environment for Theatre (SET)," Digital Humanities Quarterly, Vol.7, No.3, 2013.
  10. Susan Schreibman and Ann M. Hanlon, "Determining Value for Digital Humanities Tools:Report on a Survey of Tool Developers," Digital Humanities Quarterly, Vol.4, No.2,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