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인숙(2003). 교사 반응성 증진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영유아교육연구, 6(단일호), 93-114.
- 곽승주(2008). 가정과 어린이집에서 나타나는 영아의 부정적 정서에 관한 문화기술적 탐구. 아동학회학술발표논문집, 2008(1), 186-186.
- 길현주, 김수영(2014). 교사의 수용적, 반응적 태도 및 언어적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3(2), 39-52.
- 김기철, 이선채(2016). 영아교사의 성인애착과 교사효능감 및 민감성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6(4), 201-226.
- 김영천(2010).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문음사.
- 김정미(2003). 관계중심적 중재가 아동의 포괄적 발달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22(2),271-285.
- 김정미(2005). 부모-아동 반응성 상호작용과 아동발달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05(1), 80-81.
- 김정미(2008). 반응성 교수(RT)중재가 장애 영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008(1), 203-215. 죽전: 단국대학교 법경관.
- 김정미(2009). 영유아의 모-아 상호작용과 중심축 발달행동과의 관계 분석. 유아특수교육연구, 9(4),143-162.
- 김정미, 성옥련(2002). 발달장애아동과 부모의 반응성 상호작용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 21(2), 293-311.
- 김정미, 정빛나(2016). 영유아 교사의 반응성 상호작용 증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유아교육연구, 36(3), 152-171.
- 김정미, 정은주(2015). 어머니의 반응성 상호작용이 아동의 중심축 행동과 지능 및 다중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28(1), 81-99.
- 김정미, 제럴드마호니(2013). 부모 아동 상호작용 행동평가. 서울: 학지사.
- 나양균(2006). 영아의 사회. 정서 능력과 기질 및 애착간의 관계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 마혜진, 이정욱(2015). 영아교사 관련 변인이 영아교사와 영아의 사회, 정서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2015(1), 547-547.
- 문영경, 최선녀(2015).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2), 1-20.
- 박성연, 서소정(2005). 어머니-영아간의 상호작용방식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6(5), 15-30.
- 박은정, 김희진(2002). 성인-유아 상호작용시 나타난 교수전략과 유아의 혼잣말. 유아교육연구, 22(1), 27-47.
- 양승희(2016). 부모와 영아 간 상호작용 행동 평가를 위한 부모의 반응성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6(4), 129-147.
- 양심영, 이옥임(2011). 영아-교사 상호작용 증진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적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영아교사의 인식 탐색. 한국영유아보육학, 67, 43-66.
- 엄미리, 조윤경(2013). 반응성 교수 교사교육이 교사의 주도행동과 발달지체 유아의 중심축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13(1), 173-199.
- 이숙자, 공병호, 성영화(2011). 교사.유아의 상호작용과 보육교사변인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1(1), 1-18.
- 임명희(2011). 모아상호작용프로그램과 영아발달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1(2), 67-94.
- 조인경(2004). 어머니의 인식, 양육효능감, 유아의 인지 능력, 공유하는 정서와 어머니의 유관 조절행동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 채유선, 이소현(2008).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한 중심축 반응 훈련이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의 공동관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8(3), 41-66.
- 최선희, 황혜정(2011).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과 유아의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어린이미디어연구, 10(3), 1-18.
- 탁정화, 황해익(2012). 영아교사의 어려움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지원방안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7(2), 73-103.
- 한솔교육희망재단(2016). 도담뜰 한솔교육희망재단 중점프로그램. 서울: 나눔사.
- Bredekamp, S. & Copple, C.(1997).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 e나라 지표(2015). 영아 어린이집 이용률. http://www.index.go.kr에서 2017년 1월 19일 인출.
- Downer, J., Sabol, T. J., & Hamre, B.(2010).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the classroom: Toward a theory of within-and cross-domain links to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1(5), 699-723. https://doi.org/10.1080/10409289.2010.497453
- Dunn, J., & Cutting, A. L.(1999). Theory of mind, emotion understanding, language, and family background: Individual differences and interrelations. Child Development, 70(4), 853-865. https://doi.org/10.1111/1467-8624.00061
- Egeland, E., & Sroufe, A.(1981). Developmental sequelae of maltreatment in infancy.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Child Maltreatment, 11, 77-92.
- Enz, B., & Christie, J. F.(1997). Teacher play interaction styles: Effects on play behavior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 training and exper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단일호), 55-75.
- Gandini, L., & Goldharbe, J.(2001). Two reflections about documentation. In L. Gandini & C. P. Edwards(Eds.). Bambini: The Italian approach to infant/toddler care(p.124-145).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 Hamre, B., Hatfield, B., Pianta, R., & Jamil, F.(2014). Evidence for general and domain-specific elements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Associations with preschool children's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85(3), 1257-1274. https://doi.org/10.1111/cdev.12184
- Howes, C., & Smith, E. W.(1995). Relations among child care quality, teacher behavior, children's play activities, emotional security, and cognitive activity in child car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4), 381-404. https://doi.org/10.1016/0885-2006(95)90013-6
- Meisels, S. J., Plunkett, J. W., Roloff, D. W., Pasick, P. L., & Stiefel, G. S.(1986). Growth and development of preterm infants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nd bronchopulmonary dysplasia. Pediatrics, 77(3), 345-352.
- Mahoney, G., Kim, J., & Lin, C.(2007). The Pivotal Behavior Model of Developmental Learning. Infants and Young Children, 20(4), 311-325. https://doi.org/10.1097/01.IYC.0000290354.39793.74
- Mahoney & Macdonald, J.(2007). 부모와 교사를 위한 반응성 교수교육 과정(김정미 역, 2008). 서울: 학지사.
- Mahoney, G. J., & Perales, F. P.(2002). Pivotal developmental behaviors: Implications for early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In Conference on n Research Innovations in Early Intervention. San Diego, CA.
- Mahoney, G. J., & Wheeden, C. A.(1999). The effect of teacher style on interactive engagement of preschool-aged children with special learning need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4(1), 51-68. https://doi.org/10.1016/S0885-2006(99)80004-0
피인용 문헌
- 계층분석방법(AHP)을 활용한 보육교사 교권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실무 및 학계 전문가 비교 vol.17, pp.2, 2017, https://doi.org/10.21213/kjcec.2017.17.2.25
- 만 1세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과 교사의 민감성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vol.16, pp.5, 2017,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5.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