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보육교사의 반응성 상호작용 전략 적용을 통한 영아의 중심축 행동 발달

Development of infants' pivotal behaviors using the responsive interaction strategy of child care teachers

  • 이경진 (한솔교육희망재단 교육연구원) ;
  • 이유진 (한솔교육희망재단 교육연구원)
  • 투고 : 2017.01.30
  • 심사 : 2017.03.20
  • 발행 : 2017.03.30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이 반응성 상호작용 전략을 적용을 한 후 영아의 중심축 행동의 발달이 어떠한지 살펴본 사례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H재단에서 수탁 운영하는 직장어린이집 5곳의 만1세 영아 5명과 그들의 담임교사 5명이다. 이 연구에서는 교사-영아 상호작용을 녹화한 동영상, 일화기록, 교사의 반성적 저널, 교사와의 심층면담 자료를 통해 연구대상 영아의 중심축 행동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반응성 상호작용 전략 적용은 영아의 중심축 행동(주의집중, 문제해결, 흥미, 협력, 주도성, 공동주의, 애정)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영아를 담당하고 있는 보육교사들이 영아의 중심축 행동 발달을 돕기 위해 반응성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is a case study on how infants' behaviors change after their child care teachers use Responsive Interactions to them. The participants are five infants and five child care teachers from five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run and managed by H found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infants' pivotal developmental behaviors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an infant and a child care teacher in video recordings, anecdotal records, Reflective Journal written by the teachers, and data on in-depth interviews with the child care teachers. The results show that Responsive Interactions have brought positive changes to infants' pivotal developmental behaviors(Attention to Activity, Problem Solving Persistence, Involvement, Cooperation, Initiation, Joint Attention and Affect). It suggests that child care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taking care of infants should realize and practice the importance of Responsive Interaction Strategy in order to help the infants develop their pivotal behavior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인숙(2003). 교사 반응성 증진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영유아교육연구, 6(단일호), 93-114.
  2. 곽승주(2008). 가정과 어린이집에서 나타나는 영아의 부정적 정서에 관한 문화기술적 탐구. 아동학회학술발표논문집, 2008(1), 186-186.
  3. 길현주, 김수영(2014). 교사의 수용적, 반응적 태도 및 언어적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3(2), 39-52.
  4. 김기철, 이선채(2016). 영아교사의 성인애착과 교사효능감 및 민감성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6(4), 201-226.
  5. 김영천(2010).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문음사.
  6. 김정미(2003). 관계중심적 중재가 아동의 포괄적 발달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22(2),271-285.
  7. 김정미(2005). 부모-아동 반응성 상호작용과 아동발달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05(1), 80-81.
  8. 김정미(2008). 반응성 교수(RT)중재가 장애 영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008(1), 203-215. 죽전: 단국대학교 법경관.
  9. 김정미(2009). 영유아의 모-아 상호작용과 중심축 발달행동과의 관계 분석. 유아특수교육연구, 9(4),143-162.
  10. 김정미, 성옥련(2002). 발달장애아동과 부모의 반응성 상호작용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 21(2), 293-311.
  11. 김정미, 정빛나(2016). 영유아 교사의 반응성 상호작용 증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유아교육연구, 36(3), 152-171.
  12. 김정미, 정은주(2015). 어머니의 반응성 상호작용이 아동의 중심축 행동과 지능 및 다중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28(1), 81-99.
  13. 김정미, 제럴드마호니(2013). 부모 아동 상호작용 행동평가. 서울: 학지사.
  14. 나양균(2006). 영아의 사회. 정서 능력과 기질 및 애착간의 관계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5. 마혜진, 이정욱(2015). 영아교사 관련 변인이 영아교사와 영아의 사회, 정서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2015(1), 547-547.
  16. 문영경, 최선녀(2015).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2), 1-20.
  17. 박성연, 서소정(2005). 어머니-영아간의 상호작용방식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6(5), 15-30.
  18. 박은정, 김희진(2002). 성인-유아 상호작용시 나타난 교수전략과 유아의 혼잣말. 유아교육연구, 22(1), 27-47.
  19. 양승희(2016). 부모와 영아 간 상호작용 행동 평가를 위한 부모의 반응성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6(4), 129-147.
  20. 양심영, 이옥임(2011). 영아-교사 상호작용 증진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적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영아교사의 인식 탐색. 한국영유아보육학, 67, 43-66.
  21. 엄미리, 조윤경(2013). 반응성 교수 교사교육이 교사의 주도행동과 발달지체 유아의 중심축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13(1), 173-199.
  22. 이숙자, 공병호, 성영화(2011). 교사.유아의 상호작용과 보육교사변인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1(1), 1-18.
  23. 임명희(2011). 모아상호작용프로그램과 영아발달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1(2), 67-94.
  24. 조인경(2004). 어머니의 인식, 양육효능감, 유아의 인지 능력, 공유하는 정서와 어머니의 유관 조절행동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5. 채유선, 이소현(2008).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한 중심축 반응 훈련이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의 공동관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8(3), 41-66.
  26. 최선희, 황혜정(2011).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과 유아의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어린이미디어연구, 10(3), 1-18.
  27. 탁정화, 황해익(2012). 영아교사의 어려움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지원방안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7(2), 73-103.
  28. 한솔교육희망재단(2016). 도담뜰 한솔교육희망재단 중점프로그램. 서울: 나눔사.
  29. Bredekamp, S. & Copple, C.(1997).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30. e나라 지표(2015). 영아 어린이집 이용률. http://www.index.go.kr에서 2017년 1월 19일 인출.
  31. Downer, J., Sabol, T. J., & Hamre, B.(2010).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the classroom: Toward a theory of within-and cross-domain links to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1(5), 699-723. https://doi.org/10.1080/10409289.2010.497453
  32. Dunn, J., & Cutting, A. L.(1999). Theory of mind, emotion understanding, language, and family background: Individual differences and interrelations. Child Development, 70(4), 853-865. https://doi.org/10.1111/1467-8624.00061
  33. Egeland, E., & Sroufe, A.(1981). Developmental sequelae of maltreatment in infancy.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Child Maltreatment, 11, 77-92.
  34. Enz, B., & Christie, J. F.(1997). Teacher play interaction styles: Effects on play behavior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 training and exper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단일호), 55-75.
  35. Gandini, L., & Goldharbe, J.(2001). Two reflections about documentation. In L. Gandini & C. P. Edwards(Eds.). Bambini: The Italian approach to infant/toddler care(p.124-145).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6. Hamre, B., Hatfield, B., Pianta, R., & Jamil, F.(2014). Evidence for general and domain-specific elements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Associations with preschool children's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85(3), 1257-1274. https://doi.org/10.1111/cdev.12184
  37. Howes, C., & Smith, E. W.(1995). Relations among child care quality, teacher behavior, children's play activities, emotional security, and cognitive activity in child car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4), 381-404. https://doi.org/10.1016/0885-2006(95)90013-6
  38. Meisels, S. J., Plunkett, J. W., Roloff, D. W., Pasick, P. L., & Stiefel, G. S.(1986). Growth and development of preterm infants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nd bronchopulmonary dysplasia. Pediatrics, 77(3), 345-352.
  39. Mahoney, G., Kim, J., & Lin, C.(2007). The Pivotal Behavior Model of Developmental Learning. Infants and Young Children, 20(4), 311-325. https://doi.org/10.1097/01.IYC.0000290354.39793.74
  40. Mahoney & Macdonald, J.(2007). 부모와 교사를 위한 반응성 교수교육 과정(김정미 역, 2008). 서울: 학지사.
  41. Mahoney, G. J., & Perales, F. P.(2002). Pivotal developmental behaviors: Implications for early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In Conference on n Research Innovations in Early Intervention. San Diego, CA.
  42. Mahoney, G. J., & Wheeden, C. A.(1999). The effect of teacher style on interactive engagement of preschool-aged children with special learning need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4(1), 51-68. https://doi.org/10.1016/S0885-2006(99)80004-0

피인용 문헌

  1. 계층분석방법(AHP)을 활용한 보육교사 교권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실무 및 학계 전문가 비교 vol.17, pp.2, 2017, https://doi.org/10.21213/kjcec.2017.17.2.25
  2. 만 1세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과 교사의 민감성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vol.16, pp.5, 2017,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5.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