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Design-Oriented Model (NDIS)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in SW Education

SW 교육에서의 컴퓨팅 사고력 기반 디자인 중심 모형(NDIS)의 효과분석

  • Received : 2017.02.02
  • Accepted : 2017.03.27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design - oriented model (NDIS) for enhancing learner's computing thinking in SW education. NDIS is a project-based learning model in which learners find real-life problems, analyze their needs, and design and implement them.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NDIS, we experimented with middle level G education university students who had previously experienced SW education class. The traditional project model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NDIS model based on CT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CT narrative performance evaluation score than the comparative group,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students showed a positive perception of self-confidence and CT improvement in solving real-life problems using computing.

본 연구의 목적은 SW 교육에서 학습자들의 컴퓨팅 사고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디자인 중심 모형(NDIS)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NDIS는 실생활의 문제를 학습자가 스스로 찾고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설계하고 구현하는 프로젝트형 학습 모형이다. 이러한 NDIS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W 교육 수업 경험이 있는 중급 수준의 G 교육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비교반에는 전통적인 프로젝트 모형을 적용하였고, 실험반에는 CT 기반의 NDIS 모형을 적용하였다. 실험반은 비교반에 비해 높은 CT 서술형 수행평가 점수를 보였으며 이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학생들은 컴퓨팅을 이용한 실생활 문제 해결에 대한 자신감과 CT 향상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미래부. (2016). SW 중심사회를 위한 인재양성 추진계획, 교육부.미래부 보도자료, 2016.7.21.http://www.msip.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mssw311&ar tId=1270998
  2. J. M. Wing.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 of the ACM, 33-35.
  3. 교육부.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4. Jun, S., Han, S., Kim, S.. (2016). Effect of design-based learning on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1-11.
  5. 김수환. (2015). Computational Thinking 증진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전략의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9(3), 323-332.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3.323
  6. 전수진. (2016). 플립러닝이 소프트웨어 교육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5), 433-442. https://doi.org/10.14352/jkaie.2016.20.5.433
  7. 전수진, 한선관. (2016). 컴퓨팅 사고 향상을 위한 UMC 수업전략의 개발과 적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2), 131-138. https://doi.org/10.14352/jkaie.2016.20.2.131
  8. 이은경. (2009). Computational Thinking 능력 향상을 위한 로봇프로그래밍 교수 학습 모형. 한국교원대학교 학위논문 (박사).
  9. 이승헌, 김갑수. (2008). 초등학생을 위한 프로젝트기반 프로그래밍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1(2), 23-33.
  10. 채수진, 황성호. (2005). 논문: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공학컴퓨터프로그래밍 수업 효과 연구. 공학교육연구, 8(3), 57-68.
  11. 배영권. (2009). 프로젝트학습 기반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13(5), 1038-1043.
  12. 박래형. (2007). 조별 프로젝트 수업을 적용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 방법 연구,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KERIS. (2015). SW 교육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2015년 교육정책네트워크 교육현장 지원연구, 수탁연구 CR 2015-35.
  14. Computer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2011). CSTA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Computer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http://csta.acm.org/Curriculum/sub/K12Standards.html.
  15. 김석전, 전용주, 김태영. (2016). Google CT 수업지도안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 67-71.
  16. K. Brennan, M. Resnick(2012, April). New frameworks for studying and assessing the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In Proceedings of the 2012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Vancouver, Canada.
  17. 전수진, 한선관. (2016). Computational Thinking 역량 평가를 위한 서술형 수행평가 도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3), 255-262. https://doi.org/10.14352/jkaie.2016.20.3.255
  18. 전수진. (2017). SW 교육 콘텐츠의 주제 영역에 대한 연구 동향과 학습자 선호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0(1), 39-47.
  19. 교육부. (2015).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