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es of Cognitive Styles on Students' Mathematical Communication by Types of Mathematical Tasks

학습자의 인지양식이 수학 과제 유형별 수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7.10.12
  • Accepted : 2017.11.20
  • Published : 2017.11.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fferent cognitive styles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types of mathematical tasks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ir cognitive styles and types of mathematical tasks on their mathematical communication. For this, the investigator selected subjects according to the field dependent-field independent cognitive style by Witkin et al.(1977, p. 7). Mathematical tasks were developed in the areas of numbers and operations, regularity, and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four types of Stein & Smith(1998, p. 269), which include the Memorization, Procedures without Connections, Procedures with Connections, and Doing Mathematics tasks. The selected students were divided into homogeneous groups according to their cognitive styles, and their communication processes according to the four types of mathematical tasks were observed through participation and videotaped. The videotapes were then transcribed and analyzed in protocols. The conclusions is that mathematical tasks of high cognitive level had positive effects on the activation of significant mathematical communication among the students and that differences in approaches to tasks according to their cognitive styles influenced their communicative activities in speaking and listening.

장의존-장독립 인지 양식의 학습자가 수학 과제 유형별 의사소통 과정에서 나타내는 특성을 파악하여 학습자의 인지 양식과 수학 과제 유형이 수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학생의 인지 양식과 수학학습 성취 수준, 성별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8명을 장의존-장독립의 4인 1모둠으로 편성하였다. 각 모둠에 4가지 유형의 수학 과제를 제시하고 수학적 의사소통 과정을 통해 협력하여 해결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 과정은 수학적 의사소통 활성화와 말하기, 듣기 과정의 특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지적 수준이 높은 수학 과제는 학생들의 유의미한 수학적 의사소통 활성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학습자의 인지 양식에 따른 과제 접근 방법의 차이는 말하기, 듣기 의사소통 과정에 영향을 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5a). 수학 6-1. 서울: 천재교육.
  2. 교육부 (2015b).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3. 권영숙 (2004). 문제해결전략과 인지 양식과의 관계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남균 (1998). 집단구성방법과 인지 양식에 따른 수학과 소집단 협동학습의 효과 분석 :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연주.나귀수 (2009). 학생들의 학습 수준에 따른 수학적 의사소통의 특징 :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소집단 협동학습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3(2), 141-161.
  6. 김종두 (2000). 교육과 의사소통. 서울: 양서원.
  7. 김혜나 (2014). 문제중심학습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의사소통 및 수학적 태도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6학년 규칙성과 문제해결 영역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이 랑 (2013). 인지 양식과 성별에 따른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미연 (2007). 수학적 과제 유형이 수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종희.김선희 (2010). 수학적 의사소통. 서울: 교우사.
  11. 임청환.남진수 (1999). 초등학생의 정신용량과 인지 양식에 다른 과학탐구 능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3), 441-447.
  12. 전윤식.장혁표 (1996). 집단잠입도형검사. 서울 : 코리안테스팅 센터.
  13. 홍선주.최창우 (2009). 의사소통 중심 수학 수업이 수학적 성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3(2), 269-283.
  14. 황보경 (1999). 인지 양식 및 인지발달단계가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Dewey, J. (1916). Democracy and education. NY : The Macmillan Company. 이홍우(역)(2009). 민주주의와 교육. 서울 : 서울교육과학사.
  16. Goldstein, K. M., & Blackman, S. (1978). Cognitive style-five approaches and relevant research. NY : John Wiley & Son.
  17. Guild, P. B., & Garger, S. (1985). Marching to different drummers. Alexandria, VA :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8. Jonassen, D. H., & Grabowski, B. L. (1993). Handbook of individual difference, learning and instruction. Hillsdale,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 of Mathematics.
  20. NCTM (1991).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e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 of Mathematics.
  21.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 of Mathematics. 류희찬.조완영.이경화.나귀수.김남균.방정숙 (역) (2007). 학교 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서울 : 경문사.
  22. Stein, M. K., & Smith, M. S. (1998). Mathematical tasks as a framework for reflection: From research to practice. Mathematical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3(4), 268-275.
  23. Stein, M. K., & Smith, M. S. (2009). Implementing standards - based mathematics instruction. Teacher College Press, NY: National Council of Teacher of Mathematics.
  24. Witkin, H. A., Moore, C. A., Goodenough, D. R., & Cox, P. W. (1977). Field-dependent and field-independent cognitive style and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7, 1-64. https://doi.org/10.3102/0034654304700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