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ents' Perception of Advanced Placement Program between S&T Institute and Science Highschool

과학고등학교 공동AP(대학과목선이수제)에 대한 학생인식

  • 이영주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 김영민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 이범진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 신윤주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Received : 2016.05.17
  • Accepted : 2016.06.27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udents' perception of Advanced Placement Program. Participations of this study were 1144 students from 14 science high schools.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students perceived positively regarding AP program and were willing to take AP courses because of interesting and challenging in academic area which is provided by AP courses. Secondly, many students would like to take AP courses in Differential and Integral Calculus 1, General Physics I, General Chemistry I and General Biology. Also, they would like to take AP courses in first term as a mandatory subjects. Third, responses perceived that AP courses were challenging, difficult, and of high quality. Finally, students perceived the benefit of AP courses in earing college credit. However, 35% of responses wished to receive an exemption for all AP courses. Also, they wished to have dual-major or participate in students exchange program as a benefit of AP program.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depth based on the results.

2016년부터 20개 과학고등학교와 5개 과학기술특성화대학 간의 공동AP 제도가 도입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고등학교의 공동AP 제도 도입에 앞서 과학고등학교 재학생 1,144명을 대상으로 공동AP 제도에 대한 인식과 공동AP 과목 이수계획 및 활용방안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공동AP 제도에 대해 상급 수준의 교육기회 제공과 전공분야에 대한 학문적 욕구 충족의 측면에서 공동AP 제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진학 희망과는 관계없이 실험과목들보다는 미적분학 I, 일반물리 I, 일반화학 I, 일반생물학 과목에 대한 개설요구도와 수강희망이 더 높았으며, 수강희망이 높은 과목일수록 1학기에 필수과목으로 이수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공동AP 과목에 대해서는 과학고등학교의 다른 일반 과목에 비해 난이도, 교재, 과제, 시험, 퀴즈의 수준이 더 높고 수업의 양, 공부시간, 과제의 양이 더 많으며 좋은 성적을 받기가 더 어려울 것이고, 교사의 열정이 더 높을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공동AP 과목 이수 후 대학에서의 해당 과목 이수를 면제받는 것과 관련해서는 37%만이 공동AP 과목으로 이수한 모든 과목을 면제받겠다고 했으며, 54.5%는 선택적으로 면제받겠다고 하였다. 또, 공동AP 제도를 통해 이수한 과목을 대학 학점으로 인정받더라도 이를 조기졸업에 활용하기보다는 복수전공이나 부전공, 교환학생 및 해외연수 등의 기회로 활용하겠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공동AP 제도가 학교현장에 안정적 정착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책적 제도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동수, 정현철, 이영주, 채유정, 신윤주, 박혜진, 이범진, 김희목 (2014).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학고등학교 AP과정 운영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3BAN0001.
  2. 김동원 (2012). 과학기술특성화대학 간 교류 및 과학고/영재학교와의 연계 방안. 한국과학창의재단.
  3. 박선미, 김경대, 김훈, 김국현, 박일수 (2010). 대학과목선이수제 중등교육기관에의 적용 방안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RR-2010-8-339.
  4. 박선미, 김경대, 김훈, 이태상 (2008). 대학과목선이수제 운영체제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RR-2008-28-310.
  5. 박선미, 김용남, 심재영, 배새벽, 안정훈 (2005). 선수학점 인증 시험에 관한 연구.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대전
  6. 박선미, 김재춘, 김훈, 김경대, 이태상 (2006). AP(Advanced Placement) 제도 도입을 위한 기획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RR-2006-2-249.
  7. 박선미, 김훈, 김경대, 이태상, 박일수 (2007). 대학과목선이수제 운영체제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RR-2007-22-276.
  8. 신윤주, 류춘렬, 김희목, 이영주 (2015). 공동AP(대학과정선이수제) 제도에 대한 교원인식. 영재교육연구, 25(3), 381-399. https://doi.org/10.9722/JGTE.2015.25.3.381
  9. 한기순, 최호성 (2014). 과학영재학교에서의 AP(Advanced Placement)의 경험과 의미: 대학생이 된 영재학교 졸업생들과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4(6), 1001-1024. https://doi.org/10.9722/JGTE.2014.24.6.1001
  10. College Board (2012). AP Program Guide. College Board.
  11. College Board (2014). The 10th Annual AP Report to the Nation. College Board.
  12. Cooney, S. M., McKillip, M. E. M., & Smith, K (2013). An investigation of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Advanced Placement Courses. (College Board Research Note 2013-2). New York: The College Board.
  13. Duffy, W. R. (2010). Persistence and performance at a four-year university: The relationship with advanced coursework during highschool. In P.M. Sadler, G. Sonnert, R.H. Tai, K. Klopfenstein (Eds.), AP: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Advanced Placement Program(pp. 139-163). Cambridge, MA: Harvard Education Press.
  14. Ewing, M. (2006). The AP Program and Student Outcomes: A summary of Research. (College Board Research Note RN-29). New York: The College Board.
  15. Keng, L., & Dodd. B. G. (2008). A comparison of College Performances of AP and Non-Ap Student Groups in 10 Subject Areas. (College Board Research Note 2008-7). New York: The College Board.
  16. Morgan, R., & Klaric, J. (2007). AP students in College: An Analysis of Five-year Academic Careers. (College Board Research Note 2007-4). New York: The College Board.
  17. Paek, P. L, Braun, H., Trapani, C., Ponte, E., & Powers, D. (2007). The Relationship of AP Teacher Practices and Student AP Exam Performance. (College Board Research Note 2007-5). New York: The College Board.
  18. Sadler, P. M., & Sonnert, G. (2010). High school Advanced Placement and success in college in the sciences. In P.M. Sadler, G. Sonnert, R.H. Tai, K. Klopfenstein (Eds.), AP: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Advanced Placement Program(pp. 119-138). Cambridge, MA: Harvard Education Press.
  19. U.S. Department of Education. (2000). A forum to expand advanced placement opportunities: Increasing access and improving preparation in high schools. Washington, D.C. http://files.eric.ed.gov/fulltext/ED448523.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