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for 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and Intension of Participation in terms of Evaluation Indicators of Public Management System

공공관리제도의 평가지표에 대한 사업참여자의 만족도 및 사업참여의사에 관한 연구

  • 이정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개발경영.교통학과) ;
  • 김구회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개발경영.교통학과) ;
  • 이주형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개발경영.교통학과)
  • Received : 2016.03.25
  • Accepted : 2016.04.27
  • Published : 2016.05.28

Abstract

This research made a evaluation indicators of public management system for operating efficient urban and housing redevelopment. We analyzed how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about the evaluation indicators are used to parameters and affects intension of participation structure by using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We choose result evaluation tools: Foucs Group Interview and Balanced Score Card for appraising public management system. Specifically, We categorized setting business planning and selecting business tool, operating participation groups, motivating participation, post management and sustainability, and economics of business. As a results of the evaluation, setting business planning and selecting business tool, post management and sustainability, and economics of business influence comprehensive satisfaction. Post management and sustainability, economics of business, and setting business planning and selecting business tool turned out that they are very influential in the arranged order.

본 연구는 공공관리제도의 도입에 통해 도시정비사업의 효율적인 운영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언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공공관리제도의 평가를 위해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평가요인을 구축하고, 전문가 설문(FGI) 및 BSC 성과평가 도구를 바탕으로 크게 사업계획 및 수단의 선정, 참여조직의 운영, 참여촉진 및 유도, 사후관리 및 지속성, 사업의 경제성으로 평가분야를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평가분야 및 요인을 바탕으로 공공관리제도가 실행되고 있는 도시정비 사업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평가요인에 대한 개별만족도와 사업 전반에 대한 종합만족을 통해 사업의 지속적 참여의사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지표를 바탕으로 PLS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공공관리제도에 대한 평가요인 중 사업계획 및 수단의 선정, 사후관리 및 지속성 그리고 사업의 경제성이 종합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로계수 값에 따라 사후관리 및 지속성, 사업의 경제성, 사업계획 및 수단의 선정 순으로 영향이 높은 것으로 도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은, 관리처분계획방식 정비사업에 관한 법적연구 : 주택재개발, 재건축 사업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 박희수, 도시재정비사업의 갈등발생 특성 및 공공 역할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3. 뉴시스 2014. 9. 30. 보도자료.
  4. 양관수,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 공공관리자제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5. 서울시 주택국, "서울시 주택국 공공관리제도 관련 Q&A," 서울시, 2010.
  6. 이정수, "공공관리제도시행에 따른 토지 등 소유자의 의식조사," 대한부동산학회지, 제28권, 제1호, 2010.
  7. 두성규, "공공관리제도의 합리적 역할 수행을 위한 제도개선 방향," 건설이슈포커스, 2010.
  8. 김종성, 도시정비사업의 공공관리제도 개선 방안 연구, 한양사이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9. 어용경, 도시재개발 정책에서의 공공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0. 정광섭, "서울시 한강르네상스 정책의 전략적 관리방안," 한국조경학회, 2010.
  11. 김상원 외, "어린이 보호구역 투자효율성 증진을 위한 평가항목개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19권, 제2호, 2009.
  12. 신예철, 김영걸, 구자훈, "도시디자인으로서 공공디자인 정책평가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1권, 제4호, 2010.
  13. 김영춘, 신승호, 김정숙, "공공부문 성과관리시스템(BSC)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8권, 제4호, 2007.
  14. 유재갑, 대학의 온라인과 오프라인 강의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5. 송호창, 테크노파크 기업지원성과 관리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및 성과영향요인 분석,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6. 김성연, "공공관리제도에 주인-대리인 이론을 적용한 시론적 연구," 주택연구, 제19권, 제4호, 2011.
  17. 이동열,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사업 공공관리제도의 투명성과 공정성에 대한 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8. 박천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을 위한 공공 관리자 제도시행의 발전방향, 한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1.
  19. 조주현, 도시.주거환경 정비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법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9.
  20. 김승규, 도시주거환경정비사업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1. 박필환, 도시재정비사업의 공공관리제도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2. 이진균, 도시재정비촉진사업 추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서울 강북지역 지정구역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산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3. 한문도, 도시정비사업 공공관리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4. 김영종, 서울시 뉴타운 개발사업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5. 김기홍, 재건축 사업에서의 정비 사업 전문 관리자의 업무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6. 전성길, 재건축사업의 장애요인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개포 지구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7. 윤형식, 주거재정비 계획 시 공공과 민간의 적정 역할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8. 김장현, 심경환, 이철성, PLS 구조모델의 이해, 피엔씨미디어, 2015
  29. C. R. Fornell and D. F. Larcker, "Stur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3, 1981
  30. D. Barclay, R. Thompson, and C. Higgins, "The partial least squares(PLS) approach to causal modeling," personal computer adoption and useasan illustration, Technology Studies, Vol.2, No.2, 1981.
  31. R. Patnayakuni, A. Rai, and N. Seth, "Relational Antecedents of Information Flow Integration for Supply Chain Coordination,"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23, No.1, 2006.
  32. A. Rai, R. Patnayakuni, and N. Seth, "Firm Performance Impacts of Digitally Enabled Supply Chain Integration Capabilities," MIS Quarterly, Vol.30, No.2,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