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iculties and Alternative Ways to learn Irrational Number Concept in terms of Notation

표기 관점에서 무리수 개념 학습의 어려움과 대안

  • Received : 2016.03.05
  • Accepted : 2016.03.24
  • Published : 2016.03.30

Abstract

Mathematical notation is the main means to realize the power of mathematics. Under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difficulties of learning an irrational number concept in terms of notation. I tried to find ways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arising from the notation. There are two primary ideas in the notation of irrational number using root. The first is that an irrational number should be represented by letter because it can not be expressed by decimal or fraction. The second is that $\sqrt{2}$ is a notation added the number in order to highlight the features that it can be 2 when it is squared. However it is difficult for learner to notice the reasons for using the root because the textbook does not provide the opportunity to discover. Furthermore, the reduction of the transparency for the letter in the development of history is more difficult to access from the conceptual aspects. Thus 'epistemological obstacles resulting from the double context' and 'epistemological obstacles originated by strengthening the transparency of the number' is expected. To overcome such epistemological obstacles, it is necessary to premise 'providing opportunities for development of notation' and 'an experience using the notation enhanced the transparency of the letter that the existing'. Based on these principles, this study proposed a plan consisting of six steps.

수학에서 표기는 수학의 힘을 깨닫게 하는 주요 수단이다. 이러한 관점 하에 본 연구는 무리수 개념 학습의 어려움을 표기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표기에서 비롯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근호를 사용한 무리수 표기에는 '무리수는 소수나 분수 표현이 불가하므로 문자로 표기해야 한다는 점'과 '$\sqrt{2}$의 경우에 제곱하면 2가 되는 특징을 부각하기 위해 문자에 수를 첨가한 표기'라는 정신이 깃들어 있다. 하지만 교과서에서는 무리수 표기에 대한 발견의 기회를 제공하지 않으므로 학습자는 근호 표기에 깃든 정신을 파악하기 어렵다. 더군다나 무리수 기호 발전 과정에서 문자의 투명성이 축소되어 개념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이 더욱 어렵게 되었다. 이런 이유로 '이중 맥락에 따른 인식론적 장애', '수치의 투명성 우세로 비롯된 인식론적 장애'가 예상된다. 인식론적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표기 개발의 기회 제공', '문자의 투명성이 기존보다 강화된 표기 사용 경험'이 전제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원칙에 입각한 6단계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미광 (2000). 연분수와 무리수에 관한 고찰. 한국수학사학회지, 13(2), 49-64.
  2. 김근하 (2009). 제곱근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분석: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부윤.정영우 (2008). 중학교에서의 무리수 지도에 관하여. 한국수학사학회지, 21(1), 139-156.
  4. 김태훈 (2001). 바슐라르(G. Bachelard)의 과학철학 연구-쿤(T. S. Kuhn)과의 비교-.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윤희.박달원.정인철 (2004). 중학교 수학에서 무리수 개념에 관한 학습자의 이해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7(2), 99-116.
  6. 박희옥.박만구 (2012). 비와 비율 학습에서 나타나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인식론적 장애 분석. 초등수학교육, 15(2), 159-170.
  7. 변희현.박선용 (2002). 무리수의 개념적 측면을 강조한 교육방안: '통약 불가능성'을 통한 무리수 고찰. 학교수학, 4(4), 643-655.
  8. 서보억.신현용.나준영 (2013). 수직선 표기법에 대한 분석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3(2), 135-152.
  9. 신항균 외 6명 (2013). 중학교 수학 3. 서울: 지학사.
  10. 이강섭 외 10명 (2013). 중학교 수학 3. 서울: 미래엔.
  11. 이선비 (2013). 예비 중등 교사들의 무리수에 대한 이해.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3), 499-518.
  12. 이영란.이경화 (2006). Freudenthal의 수학화 학습지도론에 따른 무리수 개념 지도 방법의 적용 사례. 수학교육학연구, 16(4), 297-312.
  13. 이지원 (2008). 무리수 개념의 이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장혜원 (2003). 무리수 개념의 역사적 발생과 역사발생적 원리에 따른 무리수 지도. 한국수학사학회지, 16(4), 79-90.
  15. 황선욱 외 8명 (2013). 중학교 수학 3. 서울: 좋은책 신사고.
  16. Arcavi, A., Bruckheimer, M. and Ben-Zvi, R. (1987), History of mathematics for teachers: the case of irrational numbers.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7(2), 18-23.
  17. Cajory, F. (1928). A history of mathematical notations (Volume 1 & 2). La salle, IL: The Open Court.
  18. Enerst, P. (1991). A philosophy of mathematics education. London: Falmer Press.
  19. Eves, H. (1979).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mathematics. 이우영.신항균(공역) (2005). 수학사 서울: 경문사.
  20. Fitzpatrick, R. (2007). Euclid's elements of geometry. The Greek text of J. L. Heiberg(1883-1885) from Euclids Elementa, edidit et Latine interpretatus est I. L. Heiberg, in aedibus. B. G. Teubneri, 1883-1885. (R. Fitzpatrick, Ed., & R. Fitzpatrick, Trans.) Richard Fitzpatrick, 2007.
  21. HIerbert, J. (1988). A theory of developing competence with written mathematical symbol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9, 333-355. https://doi.org/10.1007/BF00312451
  22. Lesh, R., Behr, M., and Post, M. (1987). Rational number relations and proportions. In C. Janvier (Ed.), Problems of representation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pp.41-58).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3. Peled, I., & Hershkovitz, S. (1999). Difficulties in knowledge integration: revisiting Zeno's paradox with irrational numbers.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30(1), 39-46. https://doi.org/10.1080/002073999288094
  24. Sirotic, N. & Zazkis, R. (2007). Irrational numbers on the number line - where are they?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38(4), 477-488. https://doi.org/10.1080/00207390601151828
  25. Skemp, R. R. (1989). Mathematics in the primary school. Routledge.
  26. Struik, D. (1948). A concise history of mathematics. 장경윤 외(역) (2003). 간추린 수학사. 서울: 경문사.
  27. Zazkis, R. & Gadowsky, K. (2001). Attending to transparent features of opaque representations of natural numbers. In A. Cuoco (Ed.), The roles of representation in school mathematics (pp. 146-165). Reston, VA: NCTM.
  28. Zazkis, R., & Sirotic, N. (2004). Making sense of irrational numbers: focusing on representation. Proceedings of the 28th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4, 497-504.
  29. Zazkis, R., & Sirotic, N. (2010). Representing and defining irrational numbers: exposing the missing link. Conference Board of the Mathematical Sciences issues in Mathematics Education, 16,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