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lity of Live Cinema Theatre -Katie Mitchell's Stage Constructs-

라이브 시네마 연극의 매체성 연구 -케이티 미첼(Katie Mitchell)의 프로덕션 체계 분석을 중심으로-

  • 백영주 (중앙대학교 공연영상창학부)
  • Received : 2015.09.09
  • Accepted : 2015.11.12
  • Published : 2015.11.28

Abstract

Live cinema theatre is the latest installment of multimedia show where the filming of the performance of dramatic texts becomes the live stage event. Here, the actors perform before the camera and all the audio-visual effects are produced and constructed live. Mediated through the camera and projection screen, the stage image becomes a real-time production situation where all the scenes are put together right in front of a live audience. The very concept of live cinema as dramatic theatre has been developed by English stage director Katie Mitchell who attempts to present the stage as a cohesive representation system; this is more than a provisional experimentation where the ever-changing notion of in-betweenness is constantly tested. It is rather a predetermined operational system w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cinema and theatre is governed by the logic of synchrony, therefore maintain their own individual institutional reality. Here, the presence of camera has an effect not only on the organization of stage but also an affect on how human body exists within the situation.

라이브 시네마 연극(Live cinema theatre)은 연극과 영상 매체가 결합된 공연 형태로서 하나의 극영화를 만드는 과정이 라이브 이벤트로서 무대화 된 것이다. 여기서 배우는 카메라를 보며 연기하며 모든 시청각적 효과는 라이브로 조합된다. 무대는 실시간으로 장면이 구성 편집되고 있는 프로덕션 상황으로서 제시되며 연극은 카메라를 매개로 스크린을 통해 관객 앞에 생중계된다. 영국 연출가 케이티 미첼(Katie Mitchell)은 이야기 전달 및 공유 과정을 효율화한다는 목적의식 아래, '라이브 시네마 연극'이란 특정용어로 작업 형태를 구별 지칭하며 이를 장르문법으로 이끌어내고 있다. 여기서 '시네마'와 '연극'은 사이성의 실험을 넘어 동기화(synchronization)를 통해 수평적 관계를 맺음으로써 각자의 위상을 유지한다. 이는 서로 다른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연극 영화의 결합을 통해 기술매체 시대에 총체의 의미를 재규정하려는 시도를 보여준다. 여기서 카메라는 무대 안팎에 현존하고 몸은 이러한 상황 안에 실존하면서, 카메라-몸-무대는 서로 불가분한 관계를 구축한다. 무대 배우들은 기술적이고 심리적인 상태를 넘나들며 카메라의 현존을 체화하고, 스텝들은 몸에서 내면성을 분리하여 외현화하며, 연출은 이를 프레임 단위로 조직함으로써 무대 위 존재양식은 뉴미디어와의 관계 안에서 재구성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국, "영화편집론, 감정 커뮤니케이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584-59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584
  2. 베레나 크리커, 예술가란 무엇인가?, 조이한 옮김, 휴머니스트, 2010.
  3. 송민호, "디지털 미디어 융합과 영화 내러티브의 인터랙티비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114-122,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114
  4. Philip Auslander, Liveness: Performance in a Mediatized Culture, Routledge, 2008.
  5. Elspeth H. Brown, The Corporate Ey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6. Paul Van. Dijk, Anthropology in the Age of Technology: The Philosophical Contribution of Gunther Anders, Rodopi, 2002.
  7. Lars, Ellestrom, Media Borders, Multimodality and Intermediality, Palgrave Macmillan, 2010.
  8. RoseLee Goldberg, Performance Art: From Futurism to the Present, Thames & Hudson, 2011.
  9. Hans-Thies Lehmann, Postdramatic Theatre, Trans. Karen Jurs-Munby, London: Routledge, 2006.
  10. Eungjun Min, Jinsook Joo, and Hanju Kwak, Korean Film, History, Resisgance and Democratic Imagination, Praeger, 2003.
  11. Katie Mitchell, The Director's Craft: A Handbook for the Theatre, Routledge, 2005.
  12. Sonia Moor, The Stanislavski System, Konstantin S. Stanislavski, Pocket Books, 1967.
  13. Gerald Raunig, A Thousand Machines, Semiotext(s), 2010.
  14. Maria Shevtsova, "On Directing: A Conversation with Katie Mitchell," New Theatre Quarterly, Vol.22, No.1, pp.3-18, 2006. https://doi.org/10.1017/S0266464X06000261
  15. 케이티 미첼, Andy Lavender와의 대담, Central School of Speech & Drama, Joel Anderson and Andy Lavender 옮김, University of London, 영국, 2008. http://crco.cssd.ac.uk/10/1/CEN_KM_journal.pdf
  16. Paul Clarke과의 대담, Roof Studio, Siobhan Davis Studios, 영국, 런던, 2009. http://www.siobhandavies.com/conversations/mitchell/transcript.php
  17. http://59productions.co.uk/
  18. http://exeuntmagazine.com/features/waves-and-traces/
  19. http://www.exberliner.com/culture/stage/aninterview-with-katie-mitchell/
  20. http://www.whatsonstage.com/west-endtheatre/news/06-2004/20-questions-withkatie-mitchell_25072.html
  21. http://www.economist.com/blogs/prospero/2013/05/multimedia-theat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