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osure to Styrene in the Lamination Processes with Fiberglass-Reinforced Plastics: Health Diagnosis Case Report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을 이용한 적층공정 근로자들의 스티렌 노출 평가: 보건진단 사례

  • Choi, Sangjun (Department of Occupational Health,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 Jeong, Yeonhee (Wonjin Institute for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 Received : 2015.06.03
  • Accepted : 2015.06.22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연구목적: 이 연구는 노동부의 보건진단 명령에 의해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FRP)을 이용한 이중벽 탱크 제조 사업장의 적층 공정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스티렌 노출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스티렌의 주요발생원 파악을 위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PR), 경화제, 조색제, 세척액 등의 원료 내 스티렌 함유량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기(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FRP 적층 공정에 근무하는 작업자들을 대상으로 NIOSH 1501 공정시험법에 의해 공기 중 스티렌 노출 농도에 대한 개인노출 평가를 실시하였고, 생물학적 노출 지표로 뇨 중 만델릭산을 채취한 후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로 분석하였다. 또한 각 직무 특성과 단위작업 중심으로 스티렌에 대한 단시간 노출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스티렌의 함유량이 가장 많은 주요 원료는 중량비율로37%의 스티렌이 함유된 UPR이었다. 적층 공정의 FRP분무 작업자와 보조 작업자들 모두 스티렌의 8시간 가중평균 노출기준(20 ppm)을 초과하였다. 단시간 노출평가 결과 FRP분무 작업자의 경우 45.9 ppm에서 86.1 ppm 수준으로 FRP를 사용하지 않는 작업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준이었다(P<0.01). 가장 높은 수준의 스티렌에 노출되는 단위작업은 FRP를 이용하여 1차 코팅 하는 작업으로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였다. 결론: 보건진단을 위해 실시한 이중벽 탱크 제조 사업장의FRP 적층 공정 작업자의 스티렌 노출수준은 노출기준을 초과할 정도로 높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탱크를 천장에 매달고 돌리면서 적층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적절한 국소환기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적절한 방독마스크 착용으로 스티렌 노출 예방이 필요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ACGIH). Documentation of the threshold limits values and biological exposure indices-styrene monomer BEI. 7th ed. Cincinnati(OH): ACGIH; 2001. P.1-2.
  2. Alessio L, Apostoli P, Crippa M. Influence of individual factors and personal habits on the levels of biological indicators of exposure. Toxicol Lett 1995;77:93-103. https://doi.org/10.1016/0378-4274(95)03277-0
  3. Cho H, Cho S, Kim E, Kim B, Park S, Kang S. A survey on the status of using styrene in Korea.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08;18(4):310-17 (in Korean).
  4. Fradet A, Arlaud P. Unsaturated polyesters. In: Allen G&Bevington JC. editors. Comprehensive polymer science, the synthesis, characterization, reactions and applications of polymers. Vol. 5., Oxford: Pergamon Press; 1989. p. 331-334.
  5.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NIOSH manual of analytical methods; Hydrocarbons, aromatic 1501. http://www.cdc.gov/niosh/docs/2003-154/pdfs/1501.pdf, 2003
  6.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OSHRI). Guideline on practice of health examination for workers. Seoul:OSHRI; 2006.P. 163-168.
  7. Paramei GV, Meyer-Baron M, Seeber A. Impairments of colour vision induced by organic solvents: a meta-analysis study. Neurotoxicology 2004;25: 803-816. https://doi.org/10.1016/j.neuro.2004.01.006
  8. Sato T, Kishi R, Gong Y, Katakura Y, Kawai T. Effects of styrene exposure on vibration perception threshold. Neurotoxicology 2009;30:97-102. https://doi.org/10.1016/j.neuro.2008.11.004
  9. Seeber A, Blaszkewicz M, Golka K, Hallier E, Kiessbetter E, Schaper M, van Thriel C. Neurobehavioral effects of experimental exposure to low levels of styrene. Toxicol Lett 2004;151:183-192. https://doi.org/10.1016/j.toxlet.2003.12.072
  10.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in Korea(MGAHA). Standards for location, structure and equipment of underground storage tank. Article 32. In: Regulation on Dangerous Goods Safety Management Act in Korea. No. 242[Internet]. Seoul:.2004 [cited 2010 July 1]. Available from: http://www.mopas.go.kr.
  11. Van Rooij JGM, Kasper A, Triebig G, Werner P, Jongeneelen FJ, KromhoutH. Trends in occupational exposure to styrene in the European glass fibrereinforced plastics industry. Ann Occup Hyg 2008;52(5):337-349. https://doi.org/10.1093/annhyg/men020
  12. Yuasa J, Kishi R, Eguchi T, Harabuchi I, Arata Y, Katakura Y, Imai T, Matsumoto H, Yokoyama H, Miyake H. Study of urinary mandelic acid concentration and peripheral nerve conduction among styrene workers. Am J Ind Med 1996;30:41-47. https://doi.org/10.1002/(SICI)1097-0274(199607)30:1<41::AID-AJIM7>3.0.CO;2-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