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s of Storytelling-linked Integrated Math Programs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성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4.12.14
  • Accepted : 2015.04.09
  • Published : 2015.04.30

Abstract

This study configured an integrated math program in which young children can directly participate through storytelling, a teaching technique that has recently earned great populari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through the adop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consists of the following five themes: 'understanding of the basic concept of numbers and calculation', 'understanding of the basic concept of space and figure', 'basic measurement', 'understanding of rules' and 'basic data collection and result representation'. The specific activities for each theme planned and executed according to a detailed plan were designed for 20 classes including integrated activities such as story sharing, fine arts and games. The study's participants were 48 five-year old children. The result of the research was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Storytelling-Integrated Math Program was effective in young children's cultivating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improving self-efficacy.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there has been some confusion and difficulty in carrying out storytelling math and an integrated math program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it appears that this study could provide a specific and effective teaching-learning program to teachers who want to introduce a program like this.g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을 구성 실행해 본 이후 유아의 수학적 성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은 누리과정의 수학적 탐구하기인 '수와 연산의 기초개념 알아보기', '공간과 도형의 기초개념 알아보기', '기초적인 측정하기', '규칙성 이해하기', '기초적인 자료수집과 결과 나타내기'의 5가지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각 내용에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활동을 20회로 구성하여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후 수학적 성향 및 자기효능감에서 실험집단 유아의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성향 함양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수학과 통합 수 프로그램을 실시하려는 현장의 교사들에게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8].
  2. 교육과학기술부 (2012a). 교육과학기술부 '수학교육 선진화 방안' 2012. 1. 10 보도자료.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 (2012b).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5세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부 (2012). '2012년 수학교육의 해' 선포식 개최, 2012. 3. 14 석간보도자료. 교육부 웹사이트. 출력일 2014년 4월 5일, http://www.moe.go.kr.
  6. 교육부 (2014).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 2014. 9. 24 교육부 웹사이트. 출력일: 2014년 11월 15일, http://www.moe.go.kr.
  7. 권오남 (2013). 스토리텔링 수학 모델 교과서 개발 사례. 한국수학교육학회, 27(3), 221-248. https://doi.org/10.7468/jksmee.2013.27.3.221
  8. 권종겸 (2013). 스토리텔링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초등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27(3), 283-299. https://doi.org/10.7468/jksmee.2013.27.3.283
  9. 권혁일 (2008).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초등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 39(3), 139-170.
  10. 곽효경 (2005). 통합적 요리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기쁨 (2014).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학활동의 효과. 창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동현, 김현진 (2014). 초등 수학 교과에서 웹기반 협력적 디지털스토리텔링이 학업성취도 및 학업흥미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4), 23-48.
  13. 김만, 박찬옥 (2006). 탐구 중심 수 활동에 의한 유아의 수학적 성향 변화 탐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4), 151-179.
  14. 김영민 (1996). 이야기를 통한 영어 교육.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 194-209.
  15. 김은정 (2013). 유아를 위한 수학과 예술 통합교육활동의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8, 79-112.
  16. 김지일 (2011). 스토리텔링 학습을 통한 경제적 사고력 증진 방안연구: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창의성을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소, 9(3), 34-54.
  17. 김희수, 김지연 (2012). 유아 수학에 대한 모둠별 문제중심 학습전략이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학습 흥미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 17(1), 37-53.
  18. 머니투데이 교육 (2014). 스토리텔링 수학으로 수학의 즐거움 맛보기 2014. 1. 7 뉴스자료. 머니투데이 교육 웹사이트. 출력일 2014년 4월 29일, http://edu.mt.co.kr/eduView.
  19. 문병환, 홍혜경 (2013). 수학적 표상을 활용한 유아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3(3), 227-251.
  20. 서보억 (2013). 수학교육에서의 스토리텔링(storytelling)에 대한 문헌 분석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51(3), 223-246.
  21. 서정숙, 남규 (2005). 그림책으로 하는 유아 문학 교육. 서울: 창지사
  22. 신인숙, 이순주 (2003). 수학 관련 동화를 통한 수학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4), 89-112.
  23. 윤미진, 김은정 (2013). 스토리텔링 기반 수학 활동 수업이 아동의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2(3), 173-190.
  24. 윤세은 (2011). 유아의 수학적 성향 검사도구 개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5. 이경우 (1997). 수학교육을 위한 문학적 접근. 서울: 다음세대
  26. 이미연 (2003). 유아의 정보처리 유형에 따른 프로젝트 접근법의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이상미 (2011). 음악과 수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태도 및 음악적 흥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4), 117-139.
  28. 이서빈 (2010). 그림책을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측정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이은정 (2010). 수학과 과학 통합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및 수학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이향민, 이현 (2006).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 및 수학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1(1), 37-56.
  31. 임순화, 권은주 (2005). 수 관련 동화가 유아의 수리 탐구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 37-58.
  32. 장영숙, 이미옥 (2006). 동화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2), 67-88.
  33. 전현정, 강현석 (2011). 내러티브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 탐색. 한국교육철학회, 44, 287-325.
  34. 정주선, 최미숙 (2006). 수학 관련 동화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15(4), 231-242.
  35. 최병훈 (2014). 초등학교 6학년 수학 수업에서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적용 효과: 수학적 성향, 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한국경제 (2013). OECD 수학 1위, 흥미는 '꼴찌 수준' 2013. 12. 4 보도자료. 한국경제 웹 사이트. 출력일 2014년 11월 30일, http://www.hankyung.com/news.
  37. 홍승랑 (2011).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에서의 스토리텔링 활용 방안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홍혜경 (2009). 유아 수학능력 발달과 교육. 서울: 양서원
  39. Baker., & Greene, E. (1987). Storytelling: Art and technique. NY: P.R. Bowker Company.
  40. Bandura. A. (1976). Social Learning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41.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s;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42. Ellis, G. & Brewster, J. (1994). The storytelling handbook for primary teachers. Londen: Penguin Books.
  43. Juanita V, Copley. (2010). The Young Child and Mathematics; (Second Edition). NAEYC.
  44. NCTM. (1992).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수학교육과정과 평가의 새로운 방향 (구광조, 오병승., 류희찬 옮김). 서울: 경문사. (원판 1989).
  45. Pajares, F. (1996). Self-efficacy beliefs in academic setting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6, 543-578. https://doi.org/10.3102/00346543066004543
  46. Schiro, M. (2004). Oral storytelling and teaching mathematics: pedagogical and multicultural perspective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47. Schunk, D. H. (1981). Modeling and attributional effects on children's achievement: A self-efficacy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3, 93-105. https://doi.org/10.1037/0022-0663.73.1.93
  48. Tischler, B. W. (1992). How to use children's literature to teach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49. Zazkis, R., & Liljedahl, P. (2013). Teaching mathematics as storytelling. 스토리텔링으로 수학 가르치기(박경은, 조윤호 옮김). 서울: 경문사. (원판 2008).

Cited by

  1.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Math Education Through Storytelling on Young Children’s and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al Learning and Development vol.8, pp.2, 2015, https://doi.org/10.30528/jolss.2018.8.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