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hysical Activities in the Teachers' Guidance Manual for the Nuri Curriculum of Four-Year-old Children -Focusing on Pre-service Early-childhood Teachers' Simulated Instruction -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을 통해 본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신체활동」 분석

  • 홍길회 (동남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
  • 윤혜자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4.12.15
  • Accepted : 2015.04.09
  • Published : 2015.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hysical activities in 'Teachers' Guidance Books for the Nuri Curriculum of 4-year-old children' through simulated instruction of pre-service teachers and, through this, to help them better perform physical activities in their field education for early-ag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 sophomore students in the early-aged children's Education Department in their 2ndsemester of K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province. For the analysis of physical activities in 'Teachers' Guidance Books for Nuri Curriculum of 4-year-old children',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formal interviews, reflective journals of pre-service teachers and 30 sessions of education assessment spor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physical activities in 'Teachers' Guidance Books for Nuri Curriculum of 4-year-old children' are as follows; first, preliminary teachers of early-aged children understood the major goal of physical activities in 'Teachers' Guidance Books for Nuri Curriculum of 4-year-old children' as 'expressing.' Second, the teachers thought careful analysis is required on media such as 'video, illustration books, sounds, picture materials' presented together with physical activities in 'Teachers' Guidance Books for Nuri Curriculum of 4-year-old children.' Third, teachers pointed out 'activities that were difficult to understand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mproperly presented activities different from the title' as errors and problems in the performance of the Nuri Curriculum. Fourth, as for 'points to make improvement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quested basic physical activities before the actual activities, the provision of proper actual materials, the necessity of active demonstrations of teachers and making a regulation for the situation of physical activities by early-aged children and teachers together. The results of the study illustrate that deep contemplation and judgment is required of the teachers before conducting physical activities of the Nuri Curriculum.

본 연구는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신체활동을 예비유아교사들의 모의수업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그에 따른 결과로 유아교육현장에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신체활동을 수업으로 실시하는데 있어 도움을 주고자 실시된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K대학의 유아교육과 2학년 2학기에 재학 중인 3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신체활동 분석을 위해 비형식적 면담과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 그리고 30회기의 수업평가서 등의 자료 수집을 통해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신체활동 분석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은 첫째,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신체활동의 주된 목표를 '표현하기'로 인식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으며, 둘째,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신체활동에 제시된 보조 자료인 '동영상, 그림책, 음원, 그림 자료' 등을 수업에 활용하는데 있어 신중한 판단이 요구되는 것으로 보았다. 셋째,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신체활동 실행 시 나타나는 오류나 문제점으로, '예비유아교사가 이해하기 어려운 활동'과 '제목에 따른 활동 방법이 부적합하게 제시된 활동'으로 판단하였다. 넷째, 예비유아교사들이 이해하는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신체활동 개선점으로, 본 활동을 실시하기 전 기초적인 신체활동이 먼저 이루어져야 함과 수업시간에 적절한 실제물의 제시, 교사의 시범의 필요성, 그리고 신체활동을 위해서 그 상황에 필요한 규칙을 유아와 교사가 함께 만드는 것, 등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이 누리과정의 신체활동을 수업으로 실시하기 전 교사로서 깊이 있는 사고와 판단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현주, 한남주 (2013). 장애아 동영상 발표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아에 대한 인식 변화 탐색. 어린이미디어연구, 12(2), 169-191.
  2. 교육과학기술부 (2008). 유치원교육과정 해설.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153.
  3. 교육과학기술부 (2009). 유치원지도서 I: 총론. 서울: (주) 두산.
  4. 교육과학기술부 (2013).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과학기술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6. 구광현, 김보현 (2013).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 창의성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열린유아교육연구, 18(5), 23-53.
  7. 권미경, 임미정 (2013).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과학 관련 활동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0(1), 155-178.
  8. 김성재, 황지애 (2013).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유아 동작교육 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8(5), 301-330.
  9. 김영실, 윤진주, 유수정 (2009). 유아 교통안전 교육에서 토의중심과 시범 중심 교수법이 유아의 교통안전 지식 및 실천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4(6), 397-419.
  10. 김은심 (2015). 유아 동작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11. 박미정, 서현아 (2014). 유아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및 실행 간의 차이 누리과정 해설서, 교사용 지침서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5), 249-272.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5.249
  12. 박선미 (2013).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인성교육 요소 분석: 연령, 생활주제, 활동 영역을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17(4), 1007-1031.
  13. 박승순 (2013). 유아교사의 수업평가 도구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8(4), 351-375.
  14. 배인자, 한규령 (2010). 유아를 위한 동작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양서원.
  15. 변은희, 현은자 (2004).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4(5), 311-336.
  16. 오연주, 김혜옥, 이경실, 권명희 (2013). 유아 동작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17. 우남회, 김현식 (2000). 유아들의 공동생활 속에 나타난 책임행동과 규칙 준수 행동 분석, 아동과 권리, 4(1), 105-120.
  18. 유혜령, 강은회, 박지영 (2005). 유아 교수 공학과 교수.학습방법. 서울: 창지사.
  19. 이만수 (2014).누리과정에 기초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9(1), 1-17.
  20. 이영심 (2009). 유아 동작교육 프로그램. 서울: 양서원.
  21. 이영자, 임춘금 (2008). 주제환상극 놀이 프로그램. 서울: 창지사.
  22. 이지안 (2010).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과정의 동작관련 활동 연계성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정가윤 (2011). 미국 만 4세반 교사의 학급규칙 적용전략에 나타난 사회화 과정 고찰. 교육연구, 52, 225-259.
  24. 조부경, 김정화 (1999). 유아교사 양성대학 전공강좌에서 이론과 교수경험통합사례. 한국교사교육, 16(2), 101-126.
  25. 조부월 (2014).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수학활동 분석. 아동학회지, 35(2), 137-156. https://doi.org/10.5723/KJCS.2014.35.2.137
  26. 조선일보 (2014. 8. 6). 어린이 비만관리 통합 서비스 이달 말 서비스. 출력일 2014년 8월 6일, http://chosun.com.
  27. 조숙영, 조병은 (2012).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장애관련 활동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4(2), 231-256.
  28. 조혜영, 황인주 (2012). 5세 누리과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담당교사들이 겪게 되는 긍정적 경험, 어려움과 개선방안. 유아교육연구, 32(5), 181-205.
  29. 조희정, 이대균 (2012). 예비유아교사 모의수업의 의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3), 563-587.
  30. 주리분 (1997). 상징놀이에서 놀이감 유형이 유아의 기억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2(1), 217-238.
  31. 최혜순, 남효순 (2012). 영상자극 유형에 따른 유아의 정서안정과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뇌파 측정을 중심으로. 어린이미디어연구, 11(2), 69-88.
  32. 허우정, 김영연, 임소영 (2010). 교수협력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모의동작수업 평가 분석 및 교수협력의 의미 탐색, 유아교육학론집, 14(2), 317-340.
  33. 홍혜진, 김은심, 손미애 (2014).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동작활동 활동 분석. 어린이문학 교육연구, 15(2), 411-432.
  34. Creswell, J. W. (1994). Research design-Qualitative &quantitative approaches. Thousand Oak,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Inc.
  35. Kamii, C., & DeVries, R. (1979). Group games in early education; Implication of Piaget's s theory. Washington, DC: NAEYC.
  36. NASPE. (2002). Active start: physical activity for children birth to 5 years. Reston, VA: National Association for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37. Pica, R. (2004). Moving & learning series: Preschoolers & kindergartners. Clifton Park, NY: Delmar Learning.
  38. Surbeck, E., & Glover, M. K. (1992). Ecology games invented by children. Childhood Education, 68, 275-281. https://doi.org/10.1080/00094056.1992.105217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