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terminants of Part-Time Work and Preparation for Later Life of Older Women

중고령 여성의 시간제 일자리 결정요인과 노후준비

  • 김소희 (대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박미현 (국제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4.11.26
  • Accepted : 2014.12.15
  • Published : 2015.01.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outline the characteristics of part-time work among older women and examine what determines whether an older woman is employed part-time. Further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s of later life preparation of full-time and part-time workers among older women and to suggest thereby the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to develop program for increasing the quality of part-time employment of older women. The results show that former job significantly influences part-time employment of older women. The findings also indicate that later life preparation of part-time workers, including household income, wage income, and public pension,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full-time workers among older women.

본 연구는 중고령 여성의 시간제 근로 실태와 그들이 시간제 일자리를 선택하게 되는 결정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중고령 여성 중 시간제 근로와 전일제 근로에 따른 노후준비수준 비교를 통하여, 중고령 여성의 시간제 근로조건 개선을 위한 정책 개발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연금연구원의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4차년도(2011년) 개인 및 가구자료에 직업력 자료를 결합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중고령 여성의 시간제 일자리 결정에 '직전 일자리형태'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시간제 근로를 하는 중고령 여성이 노후준비수준 항목 중 가구소득, 임금소득, 공적연금 측면에서 전일제 근로를 하는 중고령 여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임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시간제 일자리 활성화 정책 수립 시, 중고령 여성의 공적연금 등을 포함한 사회보장 혜택과 임금수준 향상 및 근로조건을 개선하는 고용보호 장치가 강화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울산매일 2014.7.14.일자 기사
  2. 김복순, "여성 시간제 근로의 현주소", 월간 노동리뷰, 2013년 10월호, 2013.
  3. 고용노동부, 노사발전재단, 행복 키우고 희망 더하는 시간선택제 일자리, 노사발전재단, 2013.
  4. B. Gannon and J. Roberts, "Part-time work and health among older worker in Irelnad and Britain," Applied Economics, Vol.43, pp.4749-4757, 2011. https://doi.org/10.1080/00036846.2010.498354
  5. 김복순, "65세 이상 노인의 고용구조 및 소득", 노동리뷰, 10월호, 통권 115호, 2014.
  6.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년도 노인 실태조사, 2012.
  7.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 2013
  8. 성재민, "여성 시간제 일자리 확산과 함의", 월간 노동리뷰, 2014년 6월호, 2014.
  9. 신경아, "시간제 노동과 성평등", 한국여성학, 제30권, 제1호, 2014
  10. 현대경제연구원, "시간제 일자리의 실상과 대응 방안", 경제주평, 통권 546호, 2013.
  11. 한국일보, 2014.11.7.일자 기사
  12. 성지미, 안주엽, "중고령자 취업 결정요인", 노동정책연구, 제6권, 제1호, 2006.
  13. 장혜경, 김영란, 고령사회 대비 여성노인 고용활성화 방안, 한국여성개발원, 2003.
  14. 박성정, 오은진, 김미경, 박성희, 고령층 여성의 직업능력개발지원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8.
  15. 손정현, 이영민, "중고령 여성인력의 취업 결정 요인 분석",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8권, 제4호, 2011.
  16. 성지미, 안주엽, "시간제근로에서 자발성과 일자리만족", 노동경제논집, 제30권, 2007.
  17. J. Rife, "Mental Health Benefits of Part-Time Employment: A Case Study," Clinical Gerontologist, Vol.24, No.3/4, pp.166-188, 2002.
  18. J. Abhayaratna, L. Andrews, H. Nuch, and T. Podbury, Part Time Employment: The Australian experience, Staff Working Paper, Melbourne: Productivity Commission, 2008.
  19. 안미보, 반정호, "여성의 단시간 근로: 그 선택과 동기", 노동리뷰, 11월호, 통권 35호, 2007.
  20. 이승렬, 조수기, 중고령자의 건강과 노동공급, 한국노동연구원 연구보고서, 2008.
  21. H. Buddelmeyer, G. Mourre, and M. Ward-Warmedinger, Part-Time Work in EU Countries: Labour market mobility, entry and exit, Discussion paper series no. 1550. Bonn: Institute for the Study of Labour(IZA), 2005.
  22. 류정진, "장애인의 시간제 일자리 선택 및 근로시간 연장의향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3권, 제1호, 2014.
  23. 박창제,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제60권, 제3호, 2008.
  24. 박현식,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와 성공적 노후관계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58권, 2012.
  25. 박창제, "베이비부머와 전(前)베이비부머의 재무적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통권63호, 2014.
  26. 김동배, 정규형, 이은진, "노인의 과거 노후 준비 정도와 준비유형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통권 58호, 2012.
  27. 권혁창, 송현주, 이은영, 임란, 박소현, 정희수, 제4차(2011년도)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경제생활 및 노후준비 실태, 국민연금연구원, 2012.
  28. 통계청, 2010년도 인구주택총조사, 2011.
  29. 백은영, "은퇴후 소득 적정성 및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24권, 제2호, 2008.
  30. 나지나, 백승애, 신은경, 김미혜, "결혼해체를 경험한 베이비부머 여성의 경제적 노후준비 여부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0권, 제2호, 2010.
  31. 이신영, "도시거주 노인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사회과학논총, 제28권, 제1호, 2009.
  32. 이용재,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 특성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