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eriences of the Housing Improvement Service Utilization

주거빈곤층의 주택개보수서비스 이용 경험

  • 김지혜 (협성대학교 교양교직학부) ;
  • 김세원 (협성대학교 교양교직학부)
  • Received : 2014.09.26
  • Accepted : 2014.11.10
  • Published : 2015.01.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alities of life and the utilizing experience of housing improvement service among the vulnerable living in the indecent house. For this purpo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nine interviewee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figured out that the vulnerable living in the poor house had experienced psychological withdrawals, restricted of social activities, health problems, and feelings of insecurity. However, they could not afford to improve their houses because they were living below or near the poverty line. Local government provided the housing improvement service to cope with this problem. The people received this service gave positive reviews. Since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was improved, they felt easiness, strengthened social relationships, and expected a warm winter. Despite of 'thankful service', the housing improvement service had some limitations. Because of the limited budgets, full-scale construction services were unfeasible. Also we figured out it is necessary to make a change in housing policies for the people living in the poor houses. In the conclusion, we discussed and proposed the policies and practical suggestions.

본 연구는 주거환경이 열악한 취약계층의 삶의 현실과 주택개보수서비스 이용 경험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를 이용한 9명의 연구 참여자에게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이들은 열악한 주거 환경 속에서 심리적 사회적으로 위축되는 한편, 비염과 알레르기 등의 건강상의 문제, 잠재된 위험에 대한 불안감 등을 안고 살고 있었다. 그러나 빈곤한 생활로 인하여 주택개보수에는 신경을 쓸 수 없는 형편이었으며, 집주인이나 세입자 모두 집에 대한 애착이 적어 주거개선에 무관심하여 주거의 열악함이 관리 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담당 공무원 등의 연계로 주택개보수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서비스 수혜에 대한 고마움이 매우 컸다. 주택개보수서비스 이후, 외관상으로 깔끔해진 집과 수리 이후의 안정감, 사회관계의 회복, 따뜻한 겨울나기에 대한 기대 등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였다. 그러나 이처럼 '고마운 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주택개보수서비스는 '제한적인 서비스'로서의 한계 또한 갖고 있었다. 주로 외관상의 시급한 문제에 치중한 공사였고, 이는 제한된 공사비로 인한 경우가 많았다. 또한 현 주거의 문제는 개보수 뿐 아니라, 제도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하는 상황들도 많이 있어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제도 및 정책적 변화도 수반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주택개보수서비스와 관련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임세희, 주거빈곤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2010.
  2. 임세희, "최저주거기준미달가구 규모 및 특성의 변화(2005-2011)", 사회보장연구, 제30권, 제3호, pp.215-242, 2014.
  3. 김세원, 김지혜, 2013년 경기도 무한돌봄 집수리 사업 만족도 분석, 경기복지재단, 2013.
  4. 문영록, "주택개량사업의 평가와 향후 정책 방향", 주거복지컨퍼런스, 한국도시연구, 2013.
  5. 이재홍, 천득염, "사회취약계층 주택개보수사업 개선방향연구-전남지역의 농어촌주거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5권, 제4호, pp.73-82, 2014. https://doi.org/10.6107/JKHA.2014.25.4.073
  6. 정금호, "농촌 주거취약계층 주택개보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제15권, 제4호, pp.17-27, 2013.
  7. 박인석, 강인호, 강부성, "주거만족도에 의한 주거 호나경의 개선우선순위 분석방법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9권, 제6호, pp.9-16, 1993.
  8. 고재경, 주택 에너지 효율 개선을 통한 그린홈 보급 활성화 방안, 경기개발연구원, 2010.
  9. 임재현, "주거빈곤이 가족생활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제42권, 제1호, pp.279-304, 2011.
  10. 한국주거학회, 주거복지론, 교문사, 2007.
  11. D. B. Coultas, H. Gong, R. Grad, A. Handler, and S. A. McCurdy, "Respiratory diseases in minorities of the United States,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Medicine, Vol.150, No.1, 1994.
  12. D. J. Dedman, D. Gunnell, G. D. Smith, and S. Frankel, "Childhood housing conditions and later mortality in the Boyd Orr cohort," Journal of Epidemiology Community Health, Vol.55, pp.10-15, 2001. https://doi.org/10.1136/jech.55.1.10
  13. L. Haker, "Chance of a lifetime-the impact of bad housing on children's lives," http://image.gu ardian.co.uk/sys-files/Society/documents/ 2006.
  14. 구자해, 우동주,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2, No.2, pp.123-126, 2002.
  15. 김은미, 아동학대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16. 김민희, 주거빈곤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 한국복지패널에서 활용한 최저주거기준 미달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7. N. M. Wells and J. D. Harris, "Housing quality, psychological distress, and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withdrawal: A longitudinal study of low-income women," Journal of Environment Psychology, Vol.27, pp.69-78, 2007. https://doi.org/10.1016/j.jenvp.2006.11.002
  18. 김연옥, 유채영, 이인정, 최해경, 가족복지론, 나남출판, 2005.
  19. 임세희, 이봉주, "최저기준 미달 주거가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제40권 제3호, pp.243-265, 2009.
  20. G. W. Evans, H. N. Ricciuti, S. Hope, I. Schoon, R. H. Bradley, R. F. Corwyn, and C. Hazan, "Crowding and child cognitive development-The mediating role of maternal responsiveness among 36-month-old children," Environmental and behavior, Vol.20, No.5, pp.1-14, 2009.
  21. 국토해양부, 저소득층 주택상태 조사 및 개보수 사업 추진방안 연구, 국토해양부, 2011.
  22. 김홍철, 저소득층의 에너지 복지와 WAP(주택에너지 효율화 사업), 환경정의대안사회국, 2011.
  23. 시사투데이, "국토부, "저소득 자가가구, 주택상태 따라 주택개량 지원", 2014.10.3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