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bjectivity Study on the Employment Support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College

대학의 장애학생 취업지원에 관한 주관성 연구

  • 이재환 (순천제일대학교 사회복지과) ;
  • 성혁제 (순천제일대학교 사회복지과)
  • Received : 2014.10.08
  • Accepted : 2014.10.31
  • Published : 2015.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subjective perception types and needs of interested group on the employment support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college by Q methodology, then to search for political measures to support employ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implication of the sorted subjective perception type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are four major sorts of subjectivities on the employment support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college : external dependence(Type1), disability-friendly (Type2), demand tailored(Type3), internal role emphasis(Type4). The result of the study could check that there was necessary reconstruction to disability-friendly infrastructure based on interset and willness on the employment support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college. In addition to that there was necessary to job creation of government, to build network of industry to successful labor market entr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장애학생의 취업지원에 관하여 다양한 이해관계를 가진 사람들이 갖는 주관적인 인식을 유형화하고, 이러한 인식 유형별 특성을 바탕으로 장애대학생 취업 지원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데 있다. 대학의 장애학생 취업지원에 관한 인식 연구 결과, 외부의존형(제1유형), 장애친화형(제2유형), 수요맞춤형(제3유형), 그리고 내부역할강조형(제4유형) 등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 차원의 장애학생 취업에 대한 관심과 의지를 바탕으로 취업지원센터를 비롯한 기존 대학 내 취업지원 체계를 장애학생의 수요에 맞는 장애친화적인 인프라로 재구축해야 하며, 여기에 더하여 장애학생을 채용하는 산업체와의 긴밀한 취업연계체계 구축과 정부 차원의 장애인 일자리 창출이라는 정책당국의 노력이 병행될 때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노동시장 진입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정진, 강병근, 김원경, 김정열, 박광재, 성기창, 이해균, 황도순, 이유훈, 대학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복지지원 실태조사 및 학습권 보장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3.
  2. 남정휘, 장애인의 노동시장 진입.직업유지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3. 이재환, 김용준, 이인순, 이수경, 장애인복지론, 공동체, 2014.
  4. P. Taubman and T. Wales, Higher education and earning: college as an investment and a screening device, New York: McGraw-Hill, 1974.
  5. 유동철, 노동시장의 장애인 차별 영향분석: 지체장애인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6. 강동욱, "한국 장애인의 노동시장의 단층구조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제50권, pp.157-172, 2002.
  7. R. Melin and A. R. Fugl-Meyer, "On predic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outcome at a Swedish employability institute,"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35, No.6, pp.284-289, 2003. https://doi.org/10.1080/16501970310012437
  8. T. M. Buttrtfied and J. H. Ramseur, "Research and case study findings in the area of workplace accommodations including provisions for assistive technology: A literature review," Technology and Disability, Vol.32, No.1, pp.201-210, 2004.
  9. J. Kennedy and M. F. Olney, "Factors associated with workforce participation among SSDI beneficiaries," Journal of rehabilitation, Vol.72, No.4, pp.24-30, 2006.
  10. T. J. Achterberg, H. Wind, A. G. E. M. de Boer, and W. H. Frings-Dresen, "Factors that promote or hinder young disabled people in work participation: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occupational rehabilitation, Vol.19, No.2, pp.129-141, 2009. https://doi.org/10.1007/s10926-009-9169-0
  11. 교육과학기술부, 제2회 장애인 고등교육 정책포럼: 장애인 고등교육 발전 방안, 2011.
  12. http://www.law.go.kr
  13. 석말숙, 강동욱,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과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12권, 제6호, pp.171-194, 2005.
  14. 김자경, 강혜진, 김주영, "장애대학생의 불안, 우울과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8권, 제4호, pp.461-476, 2007.
  15. 정정진, "대학 장애학생 학습권 보장을 위한 교육지원체제 개선 방안",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8권, 제1호, pp.109-132, 2007.
  16. 공마리아, 강윤주,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과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재활심리연구, 제17권, 제3호, pp.1-23, 2010.
  17. 서선진, "장애학생의 고등교육 전환-적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장애대학생들의 대학 입시준비 및 대학적응 경험을 중심으로", 재활복지, 제14권, 제1호, pp.31-53, 2010.
  18. 박영근, 조인수, "지적장애학생의 취업 및 고용 유지를 위한 주요기술 관련 특수교사 인식", 재활복지, 제17권, 제4호, pp.245-265, 2013.
  19. 김흥규, Q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티케이션북스(주), 2008.
  20.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기관 진로.직업교육 실태 및 요구조사, 2007.
  21. 교육부, 장애인 고등교육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정책 연구, 2011.
  22. 윤상은, 고학력 장애인의 직업관련 인식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3. 이정애, 최웅용, "대학생의 진로목표 추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구조관계분석", 진로교육연구, 제23권, 제2호, pp.101-121, 2010.
  24. 김동일, 손지영, 심성용, 김수정, 이주명, "장애학생 고등교육 지원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 경력개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0권, 제2호, pp.387-413, 2011.
  25. 김동일, 이기정, 김원호, 신재현, "장애대학생의 취업준비도 측정: 비장애 대학생 집단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12권, 제3호, pp.915-929, 2011.
  26. 김원호, 조항, "장애 대학생을 위한 예비 진로설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취업진로연구, 제2권, 제1호, pp.21-44, 2012.
  27. 조주현, "장애인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고용주 인식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4권, 제4호, pp.351-378, 2003.
  28. 박혜전, 교육에서 고용으로의 원활한 전환을 위한 과제연구, 제4차 장애인고용패털 학술대회 논문집, 2012.
  29. 박혜전, "장애인 취업활성화를 위한 직업적응훈련 서비스에 관한 연구", 복지상담교육연구, 제3권, 제1호, pp.1-28, 2014.
  30. 정정진, 이해균, "대학 장애학생 교육 및 생활지원 프로그램 개발 기초 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7권, 제1호, pp.507-533, 2006.
  31. 김은실, 손현동, "장애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관한 질적(CQR)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6권, 제10호, pp.149-178, 2009.
  32. 이재환, 이수경, "장애학생 교육복지 지원에 관한 대학 내 이해관계집단의 인식유형", 한국콘텐츠학회, 제12권, 제11호, pp.183-198,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1.183
  33. 이재환, "노인 장기요양인력 양성체계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8호, pp.172-18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8.172
  34. G. C. Thompson, The evaluation of public opinion. In B, Berelson and M. Janowitz (eds.), Reader in public opinion and communication, 2nd ed, New York: Free Press, 1966.
  35. 이재환,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인력 양성체계에 관한 인식유형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