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ctual Vegetation of Dodamsambong (Scenic Site no. 44) and Danyangseokmoon (Scenic Site no. 45) in Danyang-gun

단양군 도담삼봉과 단양석문 일대의 현존식생

  • Received : 2014.05.10
  • Accepted : 2014.05.28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e description of vegetation cover and floral composition was undertaken in terms of phytosociological study in Dodamsambong(scenic site no. 44) and Danyangseokmoon(no. 45). In this study a total of 17 $relev{\acute{e}}s$ containing 144 tax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Eight plant communities are differentiated, grouped into 4 physiognomic types: forest type(Buxus microphylla var. koreana-Thuja orientalis community, Tilia mandshuric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nd Cynanchum wilfordii-Pinus densiflora community), mantle type(Cardamine leucantha-Neillia uekii community), secondary meadow type(Galium kinuta-Spodiopogon sibiricus community, Diarthron linifolium-Zoysia japonica community), and crevice type(Patrinia rupestris-Selaginella stauntoniana community, Hypodematium glandulosopilosum community). The vegetation of Dodamsambong and Danyangseokmoon is characterized by local flora, such as calciphilous plants, geological distribution-limit species, and endemic species. The soil depth, slope, and human impact have been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differentiating ecological factors.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Thuja orientalis community, Tilia mandshuric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nd Patrinia rupestris-Selaginella stauntoniana community were evaluated highly by National Vegetation Naturalness. In order to restore the value of specific landscape for scenic site, we should improve the problems of protected area such as wrong management on habitat, forest fragmentation by facilities and decline in vegetation by lack of growing the next succession.

명승 도담삼봉(제44호)과 단양석문(제45호) 일대의 측백나무림 및 주변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지역 일대의 식생은 종조성 및 서식처환경에 따라 4개 상관형, 8개 식생단위가 구분되었다: 삼림형(측백나무-회양목군락, 소나무-은조롱군락, 굴참나무-찰피나무군락), 임연형(나도국수나무-미나리냉이군락), 건생이차초지형(큰기름새-민둥갈퀴군락, 잔디-아마풀군락), 암극형(개부처손-돌마타리군락, 금털고사리군락). 식생을 구성하는 총 출현종수는 54과 109속 144분류군이었으며, 환경부 지정 법정 보호종은 출현하지 않았다. 그러나 석회암 지역의 토지적 특성으로 인해 국지적 분포종 및 지리적 분포한계종, 한국 특산종 등이 모든 식생단위에서 높은 빈도와 피도로 출현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지역 일대의 서식처 환경이 지역적 종급원 및 국가 생물종다양성 확보 측면에서 중요서식공간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식생을 결정짓는 중요환경요인은 토심의 발달, 경사도, 인위적 간섭 등으로 확인되었다. 식생보존등급의 평가결과 측백나무-회양목군락, 굴참나무-찰피나무군락, 개부처손-금털고사리군락 등이 높은 등급으로 나타났다. 경관생태학적 가치를 고려한 보호구역의 선정은 서식처 환경의 지속가능성에 높은 비중을 두고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영세(1993). 단양석회암지역 식물군락의 생산성 및 호석회식물과 혐석회 식물의 분류.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곽영세, 정연숙, 신국정, 민금숙, 김준호(1994). 석회암과 화강암지대에 서 초지군락의 구조 및 호석회식물과 혐석회식물의 성취도 비교. 한국생태학회 17:105-112.
  3. 김준호, 곽영세, 문형태(1992). 가용성, 불용성 칼슘과 마그네슘에 의한 호석회 및 혐석회식물의 분류. 한국생태학회 15:311-328.
  4. 김종원(2006). 녹지생태학. 서울: 월드사이언스.
  5. 김종원, 이율경(2006). 식물사회학적 식생 조사와 평가 방법. 서울: 월드사이언스.
  6. 김종원, 이은진(1997). 다항목 매트릭스 식생평가기법: 식생의 자연성 평가에 대한 새로운 기법과 그 적용. 한국생태학회지 20: 303-313.
  7. 박종옥(1992). 석회암 지역 측백나무 군락의 구조와 낙엽생산 및 분해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산림청, 국립수목원(2008). 한국 희귀식물 목록집. 서울: 지오북.
  9. 서계홍(1992). 측백나무 개체군의 이산화탄소 수지.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신승진, 강철현, 유창민, 이재근(2006). 명승지정을 위한 세부 평가 항목에 관한 연구-영월 동강 어라연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4): 102-110.
  11. 윤충원, 문현식(2009). 석회암지대 삼림식생의 유형과 환경특성. 농업생명과학연구 43:1-8.
  12. 이영노, 오용자(1970). 단양 도담삼봉지대의 식물. 한국생활과학연구원 논총 5: 101-115.
  13. 이우철(1996a).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서울: 아카데미서적.
  14. 이우철(1996b). 한국식물명고 (I) ․ (II). 서울: 아카데미서적.
  15. 이재근(2010). 별서명승의 개념에 대한 의미론적 해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49-58.
  16. 이종범, 이창훈, 최병재, 이재근(2013). 별서 명승지역 내 노거수목의 관리개선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1:98-107.
  17. 이진희(2012). 동북아시아 명승 유형 비교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31-38.
  18. 이창복(2003). 대한식물도감. 서울: 향문사.
  19. 이희순(1991). 단양 석회암지대의 토양특성 및 식물상 조사. 서원대학 기초과학연구논집 5:67-80.
  20. 임경빈(1993). 천연기념물 -식물편-. 서울: 대원산.
  21. 정연숙, 홍은정(2003).단양 및 영월의 석회암 지역에서 현존식생의 특징과 군집분류. 기초과학연구 14:147-162.
  22. 정태현(1957).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서울: 신지사.
  23. 정흥락(1999). 대구 인근지역의 삼림식생에 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2012).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인천: 국립환경과학원.
  25. Becking, R.W.(1957). The Zuich-Montpellier School of phytosociology. Bot. Rev. 23: 411-488. https://doi.org/10.1007/BF02872328
  26. Braun-Blanquet, J.(1965). Plant Sociology. The Study of Plant Communities.(Transl. by G.D. Fuller and H.S. Conard). New York: Springer-Verlag.
  27. Kent, M. and P. Coker.(1992). Vegetation description and analysis. London: Belhaven Press.
  28. Kim, J.W. and Y.I. Manyko.(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Far East. Kor. J. Ecol. 17: 391-413.
  29. Larson, D. W. and P. E. Kelly.(1991). The extent of old-growth Thuja occidentalis on cliffs of the Niagara Escarpment. Canadian Journal of Botany 69:(7) 1628-1636,. https://doi.org/10.1139/b91-206
  30. Li, J.(1988). A Preliminary Study on Drought Resistance of Pinus tabulaeforrnis and Platycladus orientalis Seedling. Journal of Beijing Forestry University 10/2.
  31. Suzuki, T. and K. Suzuki.(197)1. Der Index des Japanischen Meers und der Setouchi-Index. Jap. J. Ecol. 20 (6): 252-255.(Japanese, with German abstract)
  32. Wang J.X., D.H. Wang, and G.Q. Liu.(2004).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root density in the planted Robinia pseudoacacia and Platycladus orientalis forest site. Acta Botanica Boreali-Occidentalia Sinica 24/12.
  33. Weber, H. E., J. Moravec., and J. P. Theurillat.(2000). International code of phytosociological nomenclature. 3rd edition.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11:739-768. https://doi.org/10.2307/3236580
  34. Westhoff, V. and van der Maarel, E.(1973). The Braun-Blanquet Approach. In: R.H. Whittaker. (ed.).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Communities. Hague․ Boston․ London: Dr. W Junk by Publisher.
  35.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2011). 생물정보검색. [2011년 11월]. 인터넷주소: http://nature.go.kr/wkbik0/wkbik0003.leaf.
  36. 천연기념물센터(2011). 천연기념물 검색. [검색일자: 2011년 11월]. 인터넷주소: http://www.nhc.go.kr/natural/info/directory/.
  37. KMA(2011). Climatic database. [Searching date: Sep. 2011]. Website: http://kma.go.kr/weather/climate/average_30years.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