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the Dangsan Forests at Ijeon-ri, Cheongsong-gun and Perspectives on Conservation Scheme

청송군 이전리 당산숲의 경관 특성 및 보전 방안

  • Choi, Jai-Ung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Kim, Dong-Yeob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 Rhee, Sang-Young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최재웅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김동엽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
  • 이상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Received : 2014.05.01
  • Accepted : 2014.05.09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raditional village forests called Dangsan forests represent unique cultural landscape as a national cultural asset in Korea with a history of more than several hundred years. Cultural heritage can retain their value when they are fully sustained their authenticity and management scheme. The Dangsan forests established in a large area have been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by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Small scale Dangsan forests, however, are not introduced to the public and on the verge of disappearance. Dangsan forests have a value as a core landscape element in rural landscapes of Korea. The two villages at Ijeon-ri, Cheongsong-gun have small Dangsan forests where Dangsan ritual is performed. At one of the villages, there is Jusanji Reservoir designated for Scenic Site # 105, from which the water is used for growing crops. In this study,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Dangsan forests were investigated including rice paddy field, stream, and the Jusanji Reservoir. A conservation measure of rural landscape for sustainable management scheme was suggested by designating 'Conservation area of agricultural landscape ecology'. Dangsan forests, especially where they are in small scale like those of Ijeon-ri, tend to be neglected. The Dangsan forests ought to be recognized for their value and by providing a management scheme including neighborhood elements such as farm fields and streams they can be revitalized to be core areas for conservation of rural landscape.

수백 년 전부터 농촌마을 주민들이 조성, 관리해 온 전통마을숲인 당산숲은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문화경관이며 국가적 문화자산이다. 문화유산은 진정성 유지와 함께 지속가능한 관리체계를 갖추어야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 현재, 규모가 큰 소수의 당산숲은 문화재청에 의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으나, 규모가 작거나 알려지지 않은 많은 당산숲은 방치되거나 소멸 위기를 맞고 있다. 이제 당산숲은 전통적인 한국 농촌마을의 특징을 결정짓는 핵심 경관자원으로서, 그 위상이 정립되어야할 때이다. 청송군 이전리의 두 개 자연마을은 작은 당산숲을 보호, 관리하고 있으며 그곳에서 당산제를 지낸다. 마을 위쪽에는 명승 제105호인 주산지가 있고 마을주민들은 주산지 물로 농사를 짓고 있다. 이 연구는 이전리 두 개 마을의 농경지, 하천 및 주산지를 포함한 당산숲 경관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또한 지속가능한 관리체계를 위한 농촌경관 보전 방법론으로, '농업경관생태 보전지역' 설정 등을 고찰하였다. 주목받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는 이전리 두 개 마을의 당산숲과 농촌경관 특성이 올바로 이해되고 관리된다면, 국가문화자산인 당산숲의 위상을 높이고, 농촌마을 활력 증진에 기여하는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2010). 마을의 안녕.풍요.화합을 기원하는 제의(제주특별자치도.(사)제주역사문화진흥원편, "유네스코 제주 세계자연유산마을 성산리"). 제주: 도서출판 각. pp.96-110.
  2. 강영은(2012). 한국 농촌경관 변천 특성 연구-1950년대 이후 농촌개발사업의 경관 영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강현경, 방광자, 이승제, 김학범(2004).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마을숲의 관리방안 - 경상도와 강원도의 주요 마을숲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2): 63-74.
  4. 김순이(2010). 신화의 보금자리인 신당의 위기, 어찌할 것인가(제주문화원편, "제주문화 16"). 제주: 이미지공장. pp.113-114.
  5. 김종원, 임정철(2007). 전통 마을숲과 식물사회학(계명대학교편,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 총서20 마을숲과 참살이"). 대구: 계명대학교출판부. pp.133-188.
  6. 김학범, 장동수(1994). 마을숲-韓國傳統部落의 堂숲과 水口막이-. 서울: 열화당.
  7. 김학범(2009). 복합유산, 마을숲(문화재청편, "월간문화재사랑 52"). 대전: 홍커뮤니케이션즈. pp.22-26.
  8. 김효정(2012). 한국의 유네스코 자연성지 잠재자원 현황과 특성-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식물유산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1): 492-501.
  9. 김효정(2012),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브랜드 가치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당산제 대상 노거수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 12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초록집. pp.78-82.
  10. 남연화, 윤영활(2002). 시대적 배경을 통해 본 마을 숲의 변천과 보존-성남리 성황림 지역을 대상으로-. 한국정원학회지. 20(2): 23-32.
  11. 농림축산식품부(2012). 농식품부, 농어업 유산(遺産)제도 본격 도입-지자체 신청을 통해 국내 유산 지정, FAO 세계농업유산 등재 추진-. 보도자료(4. 4).
  12. 농림축산식품부(2014). 우리나라 농업유산의 가치를 전 세계에 인정받다-청산도 구들장 논, 제주 밭담 농업시스탬 세계중요농업유산등재-. 보도자료(4. 4).
  13. 농어업.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2005). 농어촌 복합생활공간 조성방안. 농특위 보고서.
  14. 농촌진흥청(2010). 스토리가 있는 우리 마을 당산숲. 농촌진흥청 간행물.
  15.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원회(2013). 박근혜정부 지역발전정책 방향 제시-지역희망[HOPE] 프로젝트-. 보도자료(7. 18).
  16. 문화재청(2005). 마을숲 문화재 자원조사 연구보고서 III: 전라남도 도서지역. 문화재청 보고서.
  17.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2008). 부산 구포동 팽나무 명칭 및 유형 변경. 천연기념물분과위원회 제10차 회의 내용 및 결과(2008. 11. 12).
  18. 문화재청(2010). 문화재청, 생생(生生)사업으로 문화재를 살린다-문화재 활용 우수사업 20건 선정, 5억원 지원-. 보도자료(3. 16).
  19. 박재철(1998). 전북 농어촌 지역 마을숲과 해안숲의 비교 고찰. 한국조경학회지. 26(2): 133-142.
  20. 신상섭(2004). 전통정주지의 환경적 건전성과 지속성에 관한 기초연구-외암마을과 낙안읍성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1): 27-38.
  21. 신상섭(2007). 한국의 전통마을과 문화경관 찾기. 고양: 도서출판 대가.
  22. 신상섭, 노재현, 김홍균(2008). 임실 방동마을숲의 원형경관 찾기와 식생복원설계.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3): 78-86.
  23. 안계복(2005). 풍류의 정원, 樓.亭.臺.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150-157.
  24. 이선(2008). 우리나라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의 연원(淵源)과 제도(制度)에 관한 소고(小考).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3): 41-53.
  25. 이원호, 김재웅, 김동현(2014). 국내 자연성지의 현황 및 세계보호지역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문화재(명승.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자연성지를 대상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 14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초록집. pp.27-32.
  26. 주강현, 장정룡(1993). 朝鮮땅 마을지킴이. 서울: 열화당.
  27. 이도원, 고인수, 박찬열(2007). 전통 마을숲의 생태계 서비스.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8. 제주특별자치도, (사)제주전통문화연구소(2009). 제주신당조사 2009 서귀포시권. 제주특별자치도 간행물.
  29. 채혜성(2011). 농촌경관요소 가치 평가 연구-경관보전직접지불제 확대시행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최원석(2004). 한국의 전통적 경관 보완론(서울대 환경계획연구소편, "한국의 전통생태학"). 서울: 사이언스북스. pp.76-103.
  31. 최재웅, 김동엽(2000). 마을숲문화가 있는 농촌 마을숲의 구조 및 보전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8(3): 51-64.
  32. 최재웅, 김동엽(2005). 하천경관으로서 당산숲.마을숲의 경관생태학적 기능 고찰. 환경정책연구. 4(2): 31-55.
  33. 최재웅, 김동엽(2006). 농촌 문화경관 관련시책과 마을숲.당산숲의 위상 제고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4(3): 41-58.
  34. 최재웅, 김동엽(2009). 농어촌마을 당산숲의 입지 및 구조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1): 35-47.
  35. 최재웅, 김동엽, 김미희(2009). 농어촌마을 당산숲.비보숲의 형태지수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3): 30-38.
  36. 최재웅, 김동엽(2010). 천연기념물 지정 당산숲.비보숲의 명칭 부여 및 지정 물량 실태 고찰. 문화재. 43(1): 28-55.
  37. 최재웅, 김동엽, 권진량(2010). 당산숲 구성요소인 돌탑의 기원 유래 고찰-안동 서지리 성황당 돌탑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3): 98-104.
  38. 최재웅, 김동엽(2011). 부산'좌수영성지(左水營城址)'의 진정성(authenticity) 회복방안 고찰. 문화재. 44(1): 138-161.
  39. 최재웅, 김동엽, 김미희, 조록환(2012). 완도군 서성리 당산숲.당산제 공간의 전통생태경관적 특성 및 의미 고찰. 한국전통조경학지. 30(1): 135-145.
  40. 최재웅, 김동엽, 조록환, 김미희, 안옥선(2012). 당(堂)과 오름을 중심으로 한 제주도 해안.중산간마을의 공간 특성 사례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2): 101-109.
  41. FAO(2010).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A Legacy for the Future, FAO 자료집.
  42. Forman R.T.T., 1995, Land Mosaics-The Ecology of Landscape and Reg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홍선기, 김동엽역(2000). 토지모자이크-지역 및 경관생태학-. 서울: 성균관대학교출판부.)
  43. Hong SK, Kim JE (2011) Traditional Forests in Villages Linking Humans and Natural Landscapes. In: Hong SK, et al. (eds) Landscape Ecology in Asian Cultures, Ecological Research Monographs, DOI 10.1007/978-4- 431-87799-8_7. Springer
  44. UNEP(2010). PARIS DECLARATION ON THE SATOYAMA INITIATIVE, UNEP 생물다양성협약 14차 회의 보고서.
  45. http://ec.europa.eu/agriculture/cap-post-2013/index_en.htm
  46. http://tourcs.go.kr/sub/01/02_01.asp
  47. http://www.cha.go.kr
  48.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169226.html
  49. http://www.international.icomos.org/charters/venice_e.htm
  50. http://www.unesco.or.kr/heritage/wh/reg_ criterion.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