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Musa basjoo Planting in Folk Village and Traditonal Temple

민속마을과 전통사찰 경내의 파초(Musa basjoo)식재 실태

  • Kim, Young-Suk (Graduated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김영숙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4.04.22
  • Accepted : 2014.05.29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e study on Musa basjoo planting in traditional gardens in of folk villages and traditional temple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henomenon of Musa basjoo planting which frequently appears in paintings and literatur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how the cultural custom is being handed down.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As a result of studying state-designated folk villages 6 sites, the custom is being handed down in a few limited gardens including Asan Oeam Village and Seongju Hangae Village. In case of Oeam Village, there are three gardens where Musa basjoo was planted including Seolimbang, Vice Minister's Residence, and Geonjae House where Musa basjoo withered now. In case of Hangae Village, it was found in Bukbi House, Hahoe Residence and Gyoridaek Jinsa's Residence and most of them were planted in front of guesthouses and main building with the assemble-planting method. Musa basjoo planting was confirmed in 39 traditional temples and it was found that Yangsan Tongdosa Temple and attached hermitage Geukrakam are currently prevalent in Musa basjoo planting. Musa basjoo was planted on either side of the stairs of Buddhist sanctums for Buddha and Avalokitesvara Guan Yin of main temples and gwaneum temples with the assemble-planting method and it has a tendency of pair planting. Considering that Musa basjoo is a southern plant, most of Musa basjoo planting was distributed around Jeollanam-do and Gyeongsangnam-do,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isotherm distrib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planting flora was centered on $12^{\circ}C$ of Warmth Index $100^{\circ}$ and annual average temperature.

조선시대 후기 그림 및 문헌에 등장하는 조경식물 파초의 식재 현상과 그 문화적 유풍이 어떻게 전승되고 있는가를 규명할 목적으로 문헌연구와 현장관찰을 통해 국가지정 문화재 민속마을과 전통사찰의 파초식재 실태를 파악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6개 국가지정 민속마을을 대상으로 한 식재 실태파악 결과, 아산 외암마을과 성주 한개마을 등 아주 한정된 정원에서만 그 유풍이 전해지고 있다. 파초가 식재된 정원은 외암마을의 경우 건재고택과 참판댁 그리고 설인방 등 3곳의 정원에서 발견되었다. 한개마을에서는 북비고택, 하회댁, 교리댁 진사댁 등에서 발견되었으며 주 식재장소는 사랑채와 안채 정면에 모아심기로 되어있다. 한편 파초식재가 확인된 전통사찰은 총 39개소로 나타났으며 파초식재가 현재 가장 성행하는 사찰은 통도사와 부속암자인 극락암으로 밝혀졌다. 파초가 심겨지는 사찰 전각과 그 위치는 대웅(보)전과 관음전 등 석가모니불과 관세음보살을 모신 불전의 계단 좌우에 모아심기형태로 대식(對植)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파초가 남방계식물인 점을 감안, 파초의 식재분포는 전라남도와 경상도 일원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바 이는 한반도의 등온선 분포와 상당히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것으로 특히 온량지수 $100^{\circ}$, 연평균기온 $12^{\circ}C$를 기준으로 식재분포가 결정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Keywords

References

  1. 張混, 平生志 而已广集. 권14. 문집총간: 270-578.
  2. 강신갑(1984). 사원의 조경적 식재경향에 대하여: 전남지방의 오대사찰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대중(2006). 화훼에 대한 서유구의 감수성과 그 의미. 한국실학연구. 11: 7-46.
  4. 김리나, 정은우, 이승희, 이용윤, 안귀숙, 신숙, 이숙희, 문현순(2011). 한국불교미술사. 미진사 서울.
  5. 김영숙, 노재현(2010). 옛그림으로 본 조선시대 파초(Musa basjoo)의 식재패턴과 의미. 한국전통조경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29-138.
  6. 김영숙, 노재현, 신상섭, 허준(2014). 전통 공간의 파초(Musa basjoo)의 식재실태: 민속마을과 사찰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67-71.
  7. 노재현, 김영숙, 고여빈(2010). 조경식물 파초(Musa basjoo) 식재 양상과 그 의미: 조선시대 옛 그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2): 23-36.
  8. 문화재청(2011). 한국의 전통가옥기록화보고서(37). 나주 홍기응․홍기현, 화순 양동호․양승수가옥: p51.
  9. 심우경(2006). 조선후기 지식인들이 선호한 조경식물과 조경문화. 한국실학연구 12: 92-93.
  10. 오세영(2006). 현대시와 불교 본문 中 선시란 무엇인가. 파주 살림.
  11. 유주한, 홍광표, 이동훈(2010). 삼보사찰의 조경식물 및 식재특성. 한국조경학회지 38(1): 119-128.
  12. 윤국병(1980). 조경수목학. 서울 일조각: p82.
  13. 이선(2006). 우리와 함께 살아 온 나무와 꽃, 수류산방중심.
  14. 이성규, 심상렬(1997). 우리나라 주요사찰의 조경수종 및 식재특성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도시.지역개발연구. 5: 135-147.
  15. 이의강(2013). 파초와 한시. 동방한문학 56: 277-298.
  16. 이인숙(2010). 파초의 문화적 의미망들. 대동한문학 제32집: 295-332.
  17. 정민(2005). 18․19세기 문인지식인층의 원예취미. 한국한문학연구 35: 35-77.
  18. 정봉구(2009). 朝鮮 後期 漢陽의 園林에 관한 연구: 京華士族의 園林記와 園林圖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조계종총무원(2011). 한국의 전통사찰
  20. 한필원(2004a). 한국의 전통마을을 가다 1. 서울 북로드: pp91-115.
  21. 한필원(2004b). 한국의 전통마을을 가다 2. 서울 북로드: p176.
  22. 홍형순(2011). 고전 시문을 통해 본 파초의 식재 의미와 설계용도.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2): 52-62.
  23.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9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6권. 서울 (주)웅진출판: p817.
  24.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9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1권. 서울 (주)웅진출판: p193.
  25. 황수정(2012). 매천 황현의 園植十五咏 형상화 방식. 고시가연구 제30집: 329-360.
  26. Yim, Yang-Jai(1977).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II, Jap. Journal of Ecology 27(3): 269-278.

Cited by

  1. A Study on the Current Planting Status and Maintenance Plans of Traditional Korean Temples vol.34, pp.1, 2016, https://doi.org/10.14700/KITLA.2016.34.1.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