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Symbolizes of the Joseon Dynasty Flowering Plant

조선시대 화훼식물의 이용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 Kim, Seung-Min (Department of Eco Friendly Horticulture, Cheonan Yonam College)
  • 김승민 (천안 연암대학 친환경예과)
  • Received : 2012.05.07
  • Accepted : 2014.06.24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ancient paintings and literatures, by examining Flowering Plants and drawing their cultivating methods, to provide a ground of utilizing them on the modern landscaping. In the scope and method of this study, 766 pieces of ancient paintings(6 garden paintings and 760 folk paintings) which were available and had value as literatures, and 8 of ancient literatures were intensively examined. Main results extracted from them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used Flowering Plants in Joseon Dynasty were Prunus mume, pbyllostachys, Nelumbo nucifera, Chrysanthemum morifolium, Musa basjoo, Rosa spp., Rhododendron mucronulatum, Paeonia lactiflora, which appeared 11 times to 16 times in total. Next frequently(4 times to 8 times) used Flowering Plants were Gardenia jasminoides, Punica granatum(8 times), Dianthus chinensis, Vitis vinifera(7 times), Orchidaceae, Syringa velutina, Impatiens balsamina, Hemerocallis fulva, Celosia cristata, Hibiscus Syriacus, Rhododendron indicum(6 times), Rhododendron, Rhododendron obutusum, Acorus calamus, Althaea rosea, Kerria japonica, Citrus junos(5 times), Hibiscus mutabilis, Lychnis cognata, Calendula officnalis, Begonia rex., Helianthus annuus, Papaver spp., Narcissus tazetta, Daphne odora, Hosta plantaginea(4 times). Second, usage of the Flowering Plants in Joseon Dynasty can be divided into character building and horticulture for pleasure through positive, scientific approach attempt. It suggests that there might have been classes in the use of them and we can estimate which plants were particularly preferred. Third, in the symbolicity of the usage of Flowering Plants,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case of representing integrity, gentleman, honesty and nobility and the though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under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The case of representing Taoism's thought of hermit and perennial youth and long life. The case of representing wish on wealth and prosperity. So if we make a good use of it, we may draw a meaning of cultivation of Flowering Plants from it. This is your target audience or the good luck to all he plants is aimed at, you can see the occurred. Fourth, the Joseon Dynasty was the use of flowering plants are the line of rain wanted to be more consistent with the spirit world. This is shown as a symbol of their ancestors. Joseon Dynasty was used, resulting in a kind of flowering plant and is not a subjective judgement criteria A psychological approach to the side when interpreting the Joseon Dynasty flowering plants to take advantage of the landscape of the area will widen in scope.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고문헌과 옛 그림에서 나타나는 화훼식물을 재료로 궁궐정원과 민가정원에 나타나는 지피식물의 이용특성과 상징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문화재 지역 및 현대 조경공간에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었다. 첫째, 조선시대 고문헌과 옛 그림에서 출현한 화훼식물의 출현빈도는 매화, 연꽃, 모란, 국화, 파초, 영산홍, 장미, 진달래, 작약 등이 10회 이상으로 높은 빈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 비교적 출현 빈도가 높은 식물은 치자, 석류(8회), 패랭이꽃, 포도(7회), 난초, 정향, 봉선화, 원추리, 맨드라미, 무궁화, 철쭉류, 창포, 접시꽃, 황매화, 유자(5회), 부용, 동자꽃, 금전화, 베고니아, 해바라기, 양귀비, 수선화, 서향화, 옥잠화 등(4회)이였으며, 그 외에는 29분류군 총 81종의 화훼식물이 조사되었다. 둘째, 궁궐과 민가에서 사용되었던 조선시대 화훼식물의 이용은 분에 심어 가까이 두고 완상하거나 화단, 화계, 화오, 연못 및 담장주변 등에 주로 식재하였음을 고문헌의 기록과 정원도 및 민화의 그림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영산홍의 식물재료에 대한 기록은 조선왕조실록의 내용에서 다루어지고 연구되어진 민가정원의 관련된 문헌(6점)이나 옛 그림(766점)에서 출현한 내용이 없는 것으로 보아 조선시대 대중에게 유통이 극히 일부에 국한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조선시대 화훼식물 상징성은 유교의 절개, 군자, 청빈, 충효사상을 나타낸 경우, 도교의 신선사상이나 불로장생을 나타내는 경우, 민간신앙의 부귀영화나 만사형통을 기원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는 식물을 덕성함양의 대상이나 기복의 대상으로 여겼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조선시대 이용했던 화훼식물은 선비가 닮고 싶은 이상과 지향하는 정신세계와 일치하였기 때문에 선조들의 상징으로 나타났다고 본다. 조선시대 이용하였던 화훼식물은 수목종류에 따른 보편적인 판단기준이 아닌 다양하고 주관적이며, 또한 정신적인 측면으로 접근하여 해석할 때에 조선시대 화훼식물의 조경공간에서의 활용범위 또한 넓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희안 지음. 서윤희․이경록 옮김(1999). 양화소록. 서울: 눌와출판사.
  2. 강희안 지음. 이병훈 옮김(2000). 양화소록. 서울: 을유문화사.
  3. 경기대학교 박물관(2000). 한국민화도록(韓國民畵圖錄)(I).
  4. 고려대학교 박물관(2007). 고려대학교 박물관 명품 도록.
  5. 고연희(2008). 꽃과 새 선비의 마음. 보림.
  6. 국립민속박물관(2005). 민화와 장식병풍.
  7. 국립중앙박물관(1990). 단원 김홍도.
  8. 궁중 유물 전시관 자료 4집(1996). 조선 궁중 繪畫 : 조선 왕실 그림
  9. 김규섭, 이재근(2014).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 나타난 정원조영연구. 32(1) : 22-30.
  10. 김미옥(2009). 조선시대 지피식물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김영수(2008). 난세에 답하다. 경기: 알마출판사.
  12. 노송호, 박승자, 심우경(2006). 향교 및 서원의 공간별 상징수목과 배식유형.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1): 1-12.
  13. 신상섭(2011). 조선 후기 상류주택 사의당의 공간체계와 조경문화.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2): 19-27
  14. 신상섭, 노재현(2009). 지봉유설(芝峯類說)로 본 이수광(李수光)의 조경식물 인식 및 가치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1): 1-10
  15. 배상선, 심우경(1989). 조경 식물의 상징성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 281-313.
  16. 배상선(1990). 조경 식물의 상징성에 관한 기초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박혜성(2008). 조선시대 전통회화와 민화에 나타난 식물류 및 모란도의 색채와 조형 분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이상희(1999).우리 꽃문화 답사기, 도서출판 넥서스, 서울.
  19. 이승훈(2000). 조선시대 민화에 나타난 조경요소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이선(2006). 한국 전통 조경 식재 : 우리와 함께 살아온 나무와 꽃. 30-31.
  21. 이외희(1986). 조선시대의 주요 조경 식물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49
  22. 이원호(2005). 19세기 중엽부터 20세기 중엽에 조영된 한국정원 설계의 전환기적 양상에 관한 연구. 1-5.
  23. 정 민(2003). <花庵九曲>의 작가 柳璞(1730-1787)과, 花庵隨錄. 한국시가연구. 14: 101-133.
  24. 조선왕조실록 http://www.sillok.history.go.kr/
  25. 산림청 국가표준식물목록 http://www.forest.go.kr/
  26.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지식정보시스템 http://www.nature.go.kr/
  27. 한국고전번역원 http://www.itk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