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Implementing a Cooperative Urban Planning: A Case of Wisconsin in U.S.A.

협력적 계획의 실행에 관한 연구: 미국 위스콘신을 사례로

  • 김륜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최상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왕경순 ;
  • 김두환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윤인숙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4.01.16
  • Accepted : 2014.04.03
  • Published : 2014.04.30

Abstract

As social needs are increasing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external effect due to urban development and to diffuse the benefits of development to surrounding areas, diverse cooperative planning methods are increasingly being discussed. In the long term, laws and systems need to be refined to support cooperative planning, but prior to such development, elements, procedures, and methodologies wherein cooperative planning in U.S.A cases could be implemented were examined to derive the alternative to and implications of cooperative planning that can apply not only to single administrative districts but also to complex boundary new towns being developed by various local governments. This paper surveyed and analyzed the cases of Wisconsin State of the U.S.A, thereby deriving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joint planning areas should be established within the boundary area of various local governments to establish cooperative planning areas in special areas such as complex boundary new towns, and to this end, urban planning means should be prepared. Together with such efforts, to boost the flexibility of cooperative planning, life sphere unit-based planning unit should be established, and a well-organized operation system to activate communities should be prepared. Also, revenues, generated through regional growth, should be distributed to individual local governments through joint tax according to the agreed-upon ratios, and as such, measures to share services and operate joint tax in small-size regions should be secured. Together with such efforts, to establish cooperative governance, measures to manage conflicts through the participation by stakeholders and arbitrators should be prepared from the planning stage, and measures for implementing cooperative planning at the level of basic urban planning should be prepared.

도시개발에 따른 외부효과 발생을 최소화하고 개발의 편익을 주변지역으로 확산하고자 하는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협력적 계획방식에 대한 논의가 증가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협력적 계획을 뒷받침할 수 있는 법규 및 제도정비가 필요한 사항이지만 이에 앞서 미국사례의 협력적 계획이 실행될 수 있는 요소, 절차, 방법론 고찰을 통해 단일 행정구역 뿐만 아니라 여러 지자체에 걸쳐 도시개발이 이루어지는 복합경계신도시 등에 적용 가능한 협력적 계획의 대안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위스콘신주의 사례조사 및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다수 지자체 경계 구역 내 공동계획구역을 설정하여 복합경계신도시 등과 같은 특수지역에 협동계획을 위한 구역 설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도시 계획적 수단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협력계획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생활권 단위의 계획단위 설정과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운영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지역의 성장으로 인하여 발생한 수익은 공동세를 통하여 약정된 비율로 각 지자체에 배분하는 등 소규모 지역에서의 서비스 공유 및 공동세를 운영하는 방안도 협력계획의 실천력을 확보하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서 계획단계에서부터의 이해관계자 참여와 중재인을 통한 갈등관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도시기본계획 수준에서 협력계획의 실행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2012), 국토계획평가제도 안내.
  2. 김제국(2007), 수도권 광역계획의 합리적 수립과 실현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3. 김진수, 서순탁(2012), "협력적 거버넌스 관점에서 본 광역행정 사례분석", 국토연구, 74:93-109.
  4. 문채, 김광구(2006),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에 관한 연구:기무사과천 이전사업을 사례로", 대한국토계획학회지, 41(6):177-193.
  5. 서순탁, 민보경(2005), "지역발전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분당-죽전도로연결을 중심으로", 지역사회발전학회 논문집, 30(2):25-44.
  6. 이주헌(2011), 대도시권의 협력적 거버넌스에 관한 실증연구: 미국사례를 중심으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7. 채종헌, 김재근(2009), "공공갈등에서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성과 효과에 관한 연구:경기도 이천시 환경기초시설 입지갈등 사례", 지방행정연구, 23(4):107-136.
  8. 최상희, 김두환, 윤인숙, 서진원, 김륜희(2012), "프랑스 신도시 개발 및 관리에서 꼬뮌협력체에 관한 연구", LHI Journal, 3(4):369-378.
  9. 최상희 등(2011), 복합경계신도시의 협력적 관리.운영방안 연구(I), 토지주택연구원
  10. Hulst, R., A. van Montfort, A. Haveri, J. Airaksinen and J. Kelly (2009), "Institutional Shifts In Inter-Municipal Service Delivery; an analysis of developments in eight Western European countries", Public Organization Review, 9(3):263-285. https://doi.org/10.1007/s11115-009-0085-8
  11. Inform and Empower Center for Government Research (2008), Opportunity to Use Shared Services and Consolidation Strategies to Improve Efficiency, Effectiveness and Equity in Local Government -Observations from Tree City/Town Groups in Upstate New York.
  12. Local Government Center (2000), Wisconsin Statutory Authority for Boundary and Related Agreement, University of Wisconsin-Extension.
  13. U.S. Census Bureau (2011), Metropolitan & Micropolitan Statistical Area.
  14. Wisconsin Department of Administration (2002), Intergovenment Cooperation:A Guide to Preparing the Intergovernmental Cooperation Element of a Local Comprehensive Plan.
  15. http://www.census.gov/population/www/metroareas/metroarea.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