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ntent Knowledge in Arithmetic and Algebra Word Problems Solving Strategy

산술과 대수 영역의 문장제 문제해결 전략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내용지식 연구

  • 이종학 (대구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
  • Received : 2014.09.03
  • Accepted : 2014.10.06
  • Published : 2014.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at The arithmetic and algebraic word problem solving skill, strategy preference, and assessment ability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s investigated using a statistical methodology.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demonstrated logical and delicate problem solving behaviors in arithmetic and algebraic word problem solving. And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refer to create a formula and table strategy in problem solving of the arithmetic question. Second,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math and english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ppreciations with significant level of 0.05. And there was not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1 and 4 grad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ppreciations with significant level of ${\alpha}=0.05$.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eachers education course need to improv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ord problem solving skill, strategy preference, and assessment ability in the arithmetic and algebraic.

본 연구의 목적은 통계적 방법을 활용해 산술과 대수 영역에서 초등 예비교사들의 문장제 문제해결 능력과 그들이 선호하는 전략, 그리고 평가 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 첫째, 초등 예비교사들은 대수의 문장제 문제해결에서 뿐만 아니라 산술 문항에서도 논리적이고 절차적인 대수적 문제해결 행태를 보였지만, 산술문항에서 선호하는 문제해결 전략은 식세우기 전략과 표만들기 전략이었다. 둘째, 수학교육과 영어교육을 심화 전공하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평가 점수는 유의수준 ${\alpha}=0.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1학년과 4학년 초등 예비교사 집단의 평가 점수는 유의수준 ${\alpha}=0.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문장제 문제해결, 적합한 전략의 선택, 평가에서 단계별 향상을 위한 산술과 대수 영역의 정교하고 구조화된 예비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준, 대수의 사고 요소 분석 및 학습-지도 방향 탐색,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2. 우정호, 김성준, "대수의 사고 요소 분석 및 학습지도 방안의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제17권, 제4호, pp.453-475, 2007.
  3. T. J. Cooney, "The Issue of reform: What have we learned from yesterday?," Mathematics Teacher, Vol.81, pp.352-363, 1998.
  4. R. G. Ehrenberg and D. J. Brewer, "Did teacher's verval ability and matter in the 1960's," Coleman revisited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Vol.14, No.1, pp.1-21, 1995. https://doi.org/10.1016/0272-7757(94)00031-Z
  5. R. F. Ferguson and H. F. Ladd, Holding and money matters, An Analysis of Alabama school, DC: Brookings Institute, 1996.
  6. W. Dooren, L. Verschaffel, and P. Onghena, "The impact of preservice teachers' content knowledge on their evaluation of students' strategies for solving arithmetic and algebra word problems," JRME, Vol.33, No.5, pp.319-351, 2002.
  7. 박경희, 서혜애,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 탐색 연구", 영재교육연구, 제17권, 제1호, pp.77-98, 2007.
  8. L. Ma, Knowing and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mathematic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1999.
  9. 황혜정, 최승현, 조성민, 박지현, 예비교사와 현직 교사를 위한 수학 수업의 이론과 실제, 서울: 문음사, 2013.
  10. N. Herscovics and L. Chalouh, Teaching algebraic expressions in a meaningful way, VA: NCTM, 1988.
  11. N. Herscovics and L. Linchevski, "A cognitive gap between arithmetic and algebra.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Vol.27, No.1, pp.59-78, 1994. https://doi.org/10.1007/BF01284528
  12. 김남희, "대수적 사고에 관한 고찰",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제4권, 제2호, pp.189-204, 1994.
  13. NCTM, Algebra and Algebraic Thinking in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8.
  14. 천태선, 한국과 홍콩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대수와 기하영역에서 반례제시능력과 예비교사들의 처치능력 비교연구,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5. E. Filloy and T. Rojano, "the transition from arithmetic to algebra,"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Vol.9, No.2, pp.19-25, 1989.
  16. N. Bednarz and B. Janvier,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algebra as a problem solving tool: Continuities and discontinuities with arithmetic, Dordrecht: The Kluwer, 1996.
  17. C. Kieran, Two different approaches among Algebra Learners, Reston, VA: NCTM, 1988.
  18. M. L. Blanton and J. J. Kaput, "Characterizing a classroom practice that promotes algebraic reasoning," JRME, Vol.36, No.5, pp.412-446, 2005.
  19. 한인기, 신현용, "러시아의 수학교사 양성을 위한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 제42권, 제5호, pp.595-606, 2003.
  20. 우정호, 강옥기, 류희찬, 이종희, "수학교사 양성 프로그램 개선 방안", 한국교사교육, 제16권, 제1호, pp.64-79, 1999.
  21. 김영국, "수학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의 이상과 현실", 수학교육논문집, 제14호, pp.453-468, 2002.
  22. 방정숙, 김민경, "교원양성프로그램에서 ICT활용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연구",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8권, 제5호, pp.1-8, 2005.
  23. 최승현, 황혜정,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의미 및 분석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11권, 제4호, pp.569-593, 2008.
  24. C. Kieran, The Learning and Teaching of School Algebra, In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NY: Macmillan Publishing, 1992.
  25. C. Kieran, "Algebraic Thinking in the Early Grades: What Is It?," Mathematics Educator, Vol.8. No.1, pp.139-151, 2004.
  26. D. W. Carraher and A. D. chliemann, Early algedra and algebraic reasoning, VA: NCTM, 2007.
  27. J. J. Kaput, What is algebra? In J. Kaput, D. W. Carraher, & M. Blanton (Eds.), Algebra in the early grades, New York, NY: Lawrence Erlbaum. 2008.
  28. 최지영, 방정숙, "초등학생들의 범자연수 연산의 성질에 대한 이해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제21권, 제3호, pp.239-259, 2011.
  29. 김종훈, 변선희, "제주지역 초등정보영재 교육 운영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조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6권, 제8호, pp.144-156, 2006.
  30. 이종학, 윤마병, "건축을 활용한 수학 중심의 융합교육 수업자료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499-51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6.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