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ildren's Writing on the Screen : Focused on the PAIR Strategies for the Audiences and the Feature of Communication Reflected in Comments

'스크린 위의 글쓰기' 과정에 나타난 아동의 예상독자 고려 전략 및 댓글에 반영된 의사소통 특성

  • 현은자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 김현경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 유진경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Received : 2014.09.04
  • Accepted : 2014.10.28
  • Published : 2014.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hildren use the PAIR strategy for their audiences in the writing on the screen and how the comments play a role to communicate between an author and audiences. In order to perform this research, 7 elementary school students(4th-6th grade) participated in the literary education program designed to promote to write on the screen. As a result, 42 body texts(635 sentences) and 424 comments of children's writing on the scree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PAIR strategies and performance behaviour.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ttracting' is used the most among PAIR strategies and second, the most frequent performance behavior of comment is 'expres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hildren's writing strategy considering audiences tends to be emotionally appealing and performance behavior of comment is likely to focus on affective expression.

본 연구에서는 '스크린 위의 글쓰기' 과정에서 아동이 예상독자를 어떻게 고려하며, 글쓰기 공동체의 의사소통의 중심에 있는 댓글은 독자와의 관계에서 어떤 수행성을 나타내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6학년 아동의 게시 글에서 635개의 문장과 424개의 댓글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의 예상독자를 고려한 글쓰기 전략은 끌어들이기 전략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세부 전략으로는 감정에 호소하는 전략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댓글의 수행행위는 표출 행위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PAIR 전략은 회기가 진행되면서 증가하였다가 다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아동은 게시 글을 작성할 때 다양한 방식으로 복합양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댓글에 나타나는 의사소통의 특성 역시 감정적이고 정서적인 표현에 치우쳐져 있었으며, 아동의 댓글에는 저자 및 제 3의 독자들을 예상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졌고, 게시 글과 관련된 의견 교류뿐만 아니라, 아동의 일상적인 문화가 반영되어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방송통신위원회.한국인터넷진흥원, 2012년 인터넷 이용 실태조사, 방송통신위원회.한국인터넷진흥원, 2013.
  2. 육아정책연구소, 영유아의 미디어 매체 노출실태 및 보호대책, 육아정책연구소, 2013.
  3. 김선겸, "초등학교 국어과에서의 정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연구: 전자게시판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제30권, pp.315-340, 2006.
  4. 홍유진, 김양은, "미디어 리터러시(Literacy) 국내외 동향 및 정책방향", KOCCA포커스(한국콘텐츠진흥원), 제67호, pp.1-27, 2013.
  5. 장은우, 인터넷 접근과 활용 및 인지요인이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6. C. Burnett and J. Myers, "Observing children writing on screen: Exploring the process of multi-modal composition," Language and Literacy, Vol.8, No.2, pp.1-30, 2006b.
  7. J. Marsh, "Purposes for literacy in children's use of the online virtual world Club Penguin," Journal of Research in Reading, 2012.
  8. C. Davidson, "Seeking the green basilisk lizard: Acquiring digital literacy practices in the home," Journal of Early Childhood Literacy, Vol.12, No.1, pp.24-45, 2011.
  9. 차혜경, 디지털 콘텐츠 제작활동 중심의 미디어교육 효과 연구 : 플래시 애니메이션 제작활동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0. 박지영, UCC를 활용한 Visual Literacy 신장방안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1. 박시화, 멀티리터러시(Multiliteracy) 분석단계를 적용한 포스터 디자인 지도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2. 김미나, 초등미술교육에서 광고를 통한 비주얼 리터러시 신장 지도방안,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3. 임성빈, 디지털이미지를 활용한 미술활동 지도방안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4. R. Levy, "'You have to understand words ${\cdots}$ but not read them': young children becoming readers in a digital age," Journal of Research in Reading, Vol.32, No.1, pp.75-91, 2009. https://doi.org/10.1111/j.1467-9817.2008.01382.x
  15. G. Merchant, "Writing the future in the digital age," Literacy, Vol.41, No.3, pp.118-128, 2007. https://doi.org/10.1111/j.1467-9345.2007.00469.x
  16. G. Merchant, "Electric Involvement: Identity performance in children's informal digital writing," Discourse: studies in the cultural politics of education, Vol.26, No.3, pp.301-314, 2005. https://doi.org/10.1080/01596300500199940
  17. 이지영, "청소년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학교 밖 쓰기 활동의 차이", 국어교육학연구, 제47권, pp.291-325, 2013.
  18. 한은정, 블로그공간에서의 초등학교 교사-학생간 상호작용에 관한 사례연구, 부산대학교 교육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9. 위건욱, 학급 홈페이지에서 나타나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의사소통양상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0. 우한용, 김정자, 김성진, 김영만, 한성일, 정래필, 인터넷 시대의 글쓰기와 표현교육,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21. J. Evans, Literacy Moves On: Popular Culture, new technologies and critical literacy in the primary classroom. London: David Fulton, 2004.
  22. 오현지, 블로그 작문활동을 활용한 초등학생 필자의 예상독자 인식능력 신장 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3. 정혜승, "초등학생 필자의 독자 고려 정도와 방식", 국어교육학연구, 제34권, pp.397-427, 2009.
  24. 김혜정, 예상독자를 고려한 협동 작문이 초등학생의 쓰기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5. 정혜승, 서수현, "필자의 독자 고려 전략과 텍스트 실현 양상: PAIR 전략을 중심으로", 작문연구, 제8권, pp.251-275, 2009.
  26. 정혜승, "초등학생 필자의 독자 인식 양상: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제39호, pp.495-534, 2009.
  27. 윤미, 그림책 만들기를 통한 소통의 경험과 필자로서의 인식 변화에 관한 사례 연구 : 초등학교 4학년 어린이들의 정보 그림책 만들기를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8. 이주형, 댓글에 나타난 청소년 언어 사용 실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9. 조국현, "인터넷 "댓글"의 텍스트유형학적 연구", 텍스트언어학, 제23권, pp.203-230, 2007.
  30. 김병석, 온라인 댓글 토론 구조의 사회네트워크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31. 김채환, "인터넷 뉴스 댓글의 이용과 상호작용성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9권, pp.5-44, 2009.
  32. 국립국어원, 통신 공간의 언어 사용 실태 조사 및 개선 방안 연구 : 댓글 사용 실태를 중심으로, 국립국어원, 2008.
  33. 최동성, 최성은, 최용준, "인터넷 포털뉴스 댓글의 여론형성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제8호, pp.311-358, 2008.
  34. 천명기, 인터넷 토론방 댓글 참여유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5. 현은자, 김현경, 박현경, 오정옥, 윤현민, 조은숙, 최혜정, 그림책을 활용한 세계시민교육, 학지사, 2013.
  3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main.jsp
  37. 이응백, 김원경, 김선풍, 국어국문학자료사전, 1998, 한국사전연구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5552&cid=41708&categoryId=41711
  38. 국립국어원, 신선경, 댓글 아닌 답글 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39. R. Oswald, The Influence of Audience Awareness in Children's Writing of Different Genre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Akron,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