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ducational Support for Low-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with Reference to Basic Academic Competency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의 교육 지원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Received : 2014.09.05
  • Accepted : 2014.10.20
  • Published : 2014.12.28

Abstract

The study aims to gain information for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s to support LPSMB(low-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through the survey on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ttitudes related to learning, and learning environment. We analyzed a survey of 2,091 students from 200 schools who were low-performing Korean students, LPSMBs, and normally 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Normally 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on most questionnaires than low-performing Korean students and LPSMBs. However, normally 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LPSM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scores on identity and social relationships. LPSMBs showed lower scores on parents' culture than normally 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We suggested how to support LPSMBs' learning and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the survey results.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력 교육 지원을 위한 콘텐츠 개발을 위해 기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전국의 200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2,09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력 향상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다문화가정 변인과 일반 학습부진 변인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도록 설문 대상에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뿐만 아니라 일반 학습부진학생과 중상위권의 다문화가정 학생을 포함시킨 후 변인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학습 특성과 학습 환경의 많은 부분에서 다문화가정 중상위권 학생이 다문화가정 학습부진 학생과 일반 학습부진학생에 비해 더 높은 평균을 나타냈다. 그러나 소속감과 사회적 관계의 일부 측면에서는 학습부진과 상관없이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일반 학생들에 비해 더 낮은 평균을 나타냈다. 또한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은 아버지 또는 어머니 문화에 대한 이해 부분에서 취약함을 보였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기초학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과 교육 지원 콘텐츠 개발 방향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다문화 가정 학생 교육 지원 계획, 교육과학기술부 교육복지정책과, 2008.
  2. 교육과학기술부, 다문화 교육 선진화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교육복지정책과, 2012
  3. 교육부, 다문화교육 활성화 계획, 교육부 교육복지정책과, 2014.
  4. 오상철, 이화진, 장경숙, 구영산, 다문화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 방안, 연구보고 PRI 2013-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5. 신진아, 김경희, 박상욱, 김영란, 이정우, 서민철, 조윤동, 김현경, 이영주, 최숙기,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다문화.탈북 가정 학생의 교과별 성취 특성 분석, 연구보고 PRE 2012-1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6. 오은순, 홍선주, 김민정, 모경환, 김선혜,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 방안 연구(II), 연구보고 RRI 2008-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7. 오은순, 박진용, 김정숙, 백지숙,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방안 연구(III): 한국어교육 지원 방안을 중심으로, 연구보고 RRI 2009-1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8. 오성숙, "다문화가정 어머니 개인변인과 가정환경자극이 유아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522-53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2.522
  9. 양심영, 박수경, 김미숙,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중문화특성 및 사회적 자본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270-282,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270
  10. 원진숙, 이재분, 서혁, 권순희, 다문화 가정 학생을 위한 한국어(KSL) 교육과정 개발 연구, 연구보고 CR 2011-55-7, 한국교육개발원, 2012.
  11. 조영달, 구정화, 다문화 가정 학생의 학업성취도 분석 및 교육지원 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1.
  12. 송현정, 양정실, 다문화 사회의 국어교육 정책 방향 연구, 연구보고 RRI 2010-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13. 김영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나타난 초6 다문화 가정 학생의 국어과 학업성취도", 국어교육학연구, 제48집, pp.125-151, 2013.
  14. 이정우,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통해 본 다문화가정 학생의 사회과 학업성취도 특성", 시민교육연구, 제45권, 제2호, pp.257-291, 2013.
  15. 나성원, 심상민, 이순애, 조용환, "웹 데이터베이스 기반으로 사이버 학습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권, 제1호, pp.1-6, 2002.
  16. 박진원, "학령기 말더듬이아동과 학습부진아동의 읽기유창성 및 쓰기유창성 비교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8호, pp.476-484, 2014.
  17. 교육과학기술부, 다문화 교육 선진화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교육복지정책과,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