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Land Surface Temperature Analysis of Seoul city using Satellite Image

위성영상을 통한 서울시 지표온도 분석

  • Received : 2012.10.18
  • Accepted : 2012.12.19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e pro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timum spatial resolution of the urban spatial thermal environment structure and to evaluate of the possibility detection using aerial photographs and thermal satellite images. The proper techniques of the optimum spatial resolution for the urban spatial thermal environment structure were analyzed. Thermal infrared satellite image of Seoul city were used for the change rate of surface temperature variation and suggested to the spatial extent and effects of urban surface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ata was interpreted as regions. To extract the surface temperature, Landsat thermal infrared satellite image compared with an automatic weather station data and in the field of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surface temperature by thermal environment affects, the spatial domain has been verified.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satellite images to extract after adjusting surface temperature isotherms were constructed. The changes in surface temperature from 2008 to 2012 the average surface temperature observation images of changing areas were divided into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rough analysis of satellite imagery, Seoul city surface temperature change due to extraction comfort indice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ades. The comfort index indicative of the temperature of Gangnam-gu, $23.7{\sim}27.2(^{\circ}C)$ range and Songpagu, a $22.7{\sim}30.6(^{\circ}C)$ respectively, the surface temperature of Yeouido $25.8{\sim}32.6(^{\circ}C)$ were in the range.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식, 1995, 지구온난화의 불확실 요소들에 대한평가. 한국기상학회지, 31(2), 187-190.
  2. 권영상, 2004, Landsat ETM+ 영상자료를 이용한 하천의 도시기온 저감효과 측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조경학 석사학위논문.
  3. 권영아, 2002, 서울의 도심녹지가 주변기온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0.
  4. 김학열, 2003, 도시환경인자에 따른 대기온도 변화 연구-서울시를 대상으로, 국토계획, 38(5), 259-269.
  5. 김경환 등, 2000, 한반도 기온 변화에 나타난 도시화 효과 검출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6(5), 519-526.
  6. 김수봉 등, 2001, 도시열섬현상의 원인과 대책, 환경과학논문집, 6(1), 63-89.
  7. 기경석.이경재, 2009, 대도시 외곽지역 논경작지의 토지이용 및 피복변화에 따른 온도 변화 모형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7(1), 18-27.
  8. 김현옥 등, 2012, 도시지역의 토지피복유형이 지표면 온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일산 신도시를 중심으로,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8(2), 203-214. https://doi.org/10.7780/kjrs.2012.28.2.203
  9. 노재식, 1973, 서울지방의 기온상승경향에 대하여. 한국기상학회지, 9(2), 49-58.
  10. 백상훈.정응호, 2009, 위성영상의 시계열 분석을 통한 미기후변화 분석-대구시 달서구를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2), 34-43.
  11. 박민호, 2001, Landsat TM 열적외데이터를 이용한 도시열섬효과에 관한 연구,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 21(6), 861-874.
  12. 박경훈.정성관, 1999, 광역적 녹지계획 수립을 위한 도시열섬효과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3), 35-45.
  13. 박인환.장갑수.김종용, 2005, 추이대를 중심으로 한 경상북도 3개 도시의 열섬 평가 환경영향평가, 8(2), 73-82.
  14. 송영배, 2004, 도시기후지도의 작성 상계 4동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9(6), 26-37.
  15. 송영배, 2002, 신도시개발이 도시열섬효과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30(4), 37-46.
  16. 안지숙, 2007, 환경친화적 도시계획을 위한 열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7.
  17. 엄대용, 2006, 원격탐사 자료에 의한 지표온도추출 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2), 159-171.
  18. 윤민호, 2009, 원격탐사를 활용한 녹지가 도시기온에 미치는 영향 연구-서울시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4.
  19. 윤일희.민경덕.김경익, 1994, 대구 지역의 기상특성연구 및 대기 확산 모델의 개발, II.도시 열섬특성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0(2), 303-313
  20. 윤용한.박봉주.김원태.박선영, 2008, 공원녹지의 토지피복비율과 기온간의 요인분석, 한국환경과학회지, 17(5), 485-491.
  21. 이성열, 2007, 도시지역 토지유형별 열 환경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수원시 이의동을 중심으로-, 협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0.
  22. 이강국.홍원화, 2008, 도시 열환경 유형 분석 및 완화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9), 253-260.
  23. 이은주, 2006, 도시공간 구성요소와 열 쾌적성과의 관련성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5.
  24. 이종범 외, 1993, 춘천지역 도시열섬의 특성과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대기보전학회지, 9(4), 303-309.
  25. 이광호.정인숙, 2002, 전주 지역에서의 도시 열섬에 대한 연구, 전북대, 27, 1-7.
  26. 이용식, 1990, 도시열섬 분석에 있어서 원격탐사 기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석사학위논문.
  27. 이현영, 1989, 원격탐사기법에 의한 도시열섬 연구, 지리학, 14, 1-13.
  28. 엄정희, 2012, 도시계획에서의 기후요소 평가기법에 관한 고찰, 환경정책연구, 11(1), 27-48.
  29. 오규식.홍재주, 2005, 도시공간 구성요소와 도시열섬현상의 관련성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6(1), 47-63.
  30. 조현길.안태원, 2009, 도시기온에 작용하는 입체적 토지피복의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37(3), 54-60.
  31. 정종철, 1999, Landsat TM을 이용한 표층수온 분석 오차, 대한원격탐사학회지, 15(1), 1-8.
  32. 정종철, 2009, 지표방사율에 의한 지표온도와 도시열섬효과 비교,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18(4), 219-227.
  33. Balling, R. C., and Brazell, S. W., 1988, High resolution surface temperature patterns in a complex urban terrain.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54, 1289-1293.
  34. Markham, B. L. and J. L. Becker, 1986. Landsat MSS and TM post-calibration dynamic ranges, exoatmospheric reflectances and at-satellite temperatures. EOSAT landsat Tech Notes, 1, 3-8.

Cited by

  1. Aanalysis the Structure of Heat Environment in Daegu Using Landsat-8 vol.32, pp.4_1, 2014, https://doi.org/10.7848/ksgpc.2014.32.4-1.327
  2. Spatial Process of Surface Urban Heat Island in Rapidly Growing Seoul Metropolitan Area for Sustainable Urban Planning Using Landsat Data (1996-2017) vol.7, pp.9, 2013, https://doi.org/10.3390/cli7090110
  3. 핫스팟 분석을 이용한 도시열섬 취약지 특성 분석 - 전주시를 대상으로 - vol.48, pp.5, 2013, https://doi.org/10.9715/kila.2020.48.5.0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