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Fish Fauna and Disturbance of Geographical Distributions in the Eastern Civilian Control Line of Korea

민통선 동부지역의 어류상 및 지리적 분포 교란

  • Park, Seungchul (Nature Conservation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Lee, Kwangyeol (Department of Bi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oi, Taebong (Nature Conservation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Kim, Wonmyung (Nature Conservation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Kim, Myungjin (Nature Conservation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Choi, Jaeseok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박승철 (국립환경과학원 자연자원연구과) ;
  • 이광열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
  • 최태봉 (국립환경과학원 자연자원연구과) ;
  • 김원명 (국립환경과학원 자연자원연구과) ;
  • 김명진 (국립환경과학원 자연자원연구과) ;
  • 최재석 (강원대학교 환경연구소)
  • Received : 2013.01.07
  • Accepted : 2013.01.16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e fish fauna and disturbance of geographical distributions in the eastern Civilian Control Line of Korea were investigated from May to September 2012. Total 35 species sampled during the period were belonged to 13 families. There were 9 Korean endemic species (25.71%) that distributed in the flows into West and South Sea. Distributions of invasion fishes in the studied streams based on geographical distributions of freshwater fish were total 13 species that classified 1 species, C. cuvieri from foreign country and 12 species from other water systems. Hence there have been anthropogenically introduced from too many years ago. Also groups according to the similarities of each studied stations was divided into 4 groups by similarity 50% because difference in them was considered to effect of domestic invasion species. In conclusion, three streams in the eastern Civilian Control Line of Korea were invaded by many alien fishes. Therefore, we are considered to require precise investigation and monitoring for the preparations to management measure.

Keywords

References

  1. 국립환경과학원, 2010, 생태계위해성이 높은 외래종의 정밀조사 및 관리방안(V), 국립환경과학원, 1-2.
  2. 김익수, 1980, 한국산 기름종개속 어류의 계통분류와 분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편(담수어편), 교육부, 1-628.
  4. 김익수.강언종, 1993, 원색 한국어류도감, 아카데미서적, 1-264.
  5. 김익수.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1-465.
  6. 김익수.이용주, 1984, 한국산 몰개(Squalidus)속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한국수산학회지, 17(2), 132-138.
  7. 김익수.최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원색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43-515.
  8. 김종률.이충렬, 2001, 동진강 수계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한국어류학회지, 13, 40-49.
  9. 김치홍.이완옥.홍관의.이철호.김종화, 2006, 양양 남대천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한국어류학회지, 18(2), 112-118.
  10. 남명모.강영훈.채병수.양홍준, 2002, 동해로 유입되는 가곡천과 마읍천에 서식하는 담수어의 지리적 분포, 한국어류학회지, 14(4), 269-277.
  11. 명정구, 2002, 우리바다 어류도감, 다락원, 35-244.
  12. 변화근, 1995, 한국산 둑중개의 생태학적 연구,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산림청, 2000, 비무장지대 및 인접지역의 산림생태계 종합보고서(1995-2000), 산림청 임업연구원.
  14. 원주지방환경청, 강원대학교 어류연구센터, 2012, 토교저수지 어류서식실태 조사 보고서, 원주지방환경청.
  15. 이완옥.고명훈.백재민.김대희.전형주.김경환, 2010, 고성 북천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의 특성, 한국어류학회지, 22(4), 238-248.
  16. 전상린, 1980, 한국산담수어의 분포에 관하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전상린, 1984, 한국산 동자개과 및 메기과어류의 검색과 분포에 관하여, 상명대학교 논문집, 14, 483-515.
  18. 전상린, 1986, 한국산 농어과 주연성 담수어류의 분포와 검색에 관하여, 상명여대 논문집, 18, 335-355.
  19. 전상린, 1989, 한국산 황어속, 연준모치속 및 버들치속(황어아과) 어류의 검색과 분포, 상명여대 논문집, 23, 17-36.
  20. 전상린.김영자, 1996, 강릉남대천과 간성북천에서 채집된 퉁가리(퉁가리과)에 관하여,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4(2), 129-133.
  21.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164-257.
  22. 채병수, 2007, 국내 서식어종의 다른 하천 수계로의 도입, 국립수산과학원 중부내수면연구소-(사)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 MOU체결기념 심포지엄, 77-90.
  23. 최기철, 1973, 휴전선 이남에서의 담수어의 지리적 분포에 관하여, 한국육수학회지, 6(3/4), 29-36.
  24. 최기철.전상린.김익수.손영목, 2002, 개정 원색한국담수어도감, 향문사, 1-277.
  25. 최재석.김재구, 2004, 홍천강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8(3), 446-455.
  26. 최재석.변화근.조규송, 1995, 오십천(삼척)의 하천특성과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28(3), 263-270.
  27. 최재석.최준길, 2005, 오대산국립공원의 어류상과 어류교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2), 177-187.
  28. 환경부, 1987, 비무장지대 인접지역(민통선 지역)의 자연생태계 조사보고서, 환경부.
  29. 환경부, 1995, 비무장지대 인접지역(민통선 지역) 자연환경 정밀조사보고서(I), 환경부.
  30. 환경부, 1996, 비무장지대 인접지역(민통선 지역) 자연환경 정밀조사보고서(II), 환경부.
  31. 환경부, 1998,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고성.인 제, 향로봉 일대의 담수어류), 환경부.
  32. 환경부, 2001, 비무장지대 인접지역(고성군)의 자연생태계 조사보고서, 환경부.
  33. 환경부, 2008,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명파, 고미성 일대의 담수어류), 환경부.
  34. 환경부, 2012, 환경부령 제457호(2012. 5.31일 공포) 야생동.식물보호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 환경부.
  35. Horn, H. S., 1966, Measurement of "overlap" in comparative ecological studies, Amer. Nat., 100, 419-424. https://doi.org/10.1086/282436
  36. Kim, L. T., 1980, A new species of phoxinus from D.P.R. of Korea. Sci. Rept. North Korea, 28-29(from D.P.R.K.).
  37. Kim, I. S., M. K. Oh, K. Hosoya, 2005, A new species of cyprinid fish, Zacco koreanus with redescription of Z. temminckii (Cyprinidae) from Korea, Korean J. Ichthyol., 17(1), 1-7
  38. Mori. T., 1936, Studies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freshwater fishes of Korea. Bull. Biogeo. Soc. Jap., VI(7), 31-61.
  39. Nelson, J. S., 2006, Fishes of the World(4th. ed.), John Wiley & Sons, 1-600pp.
  40. Rutherford D. A., A. A. Echelle and O. E. Maughan. 1987. Changes in the fauna of the little river drainage, south eastern Oklahoma, 1948-1955 to 1981-1982: Test of the Hypothesis of environmental degradation. Community and evolutionary ecology of American stream fishes. Univ. of Oklahoma, 178-183.

Cited by

  1. Human-mediated processes affecting distribution and genetic structure of Squalidus multimaculatus, a freshwater cyprinid with small spatial range vol.21, pp.5, 2017, https://doi.org/10.1080/19768354.2017.1371074
  2. The genetic structure of Squalidus multimaculatus revealing the historical pattern of serial colonization on the tip of East Asian continent vol.8, pp.1, 2018, https://doi.org/10.1038/s41598-018-28340-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