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Gifted Students' Peer Relationship in an Elementary School's General and Gifted Classes

초등 영재학생의 영재학급과 일반학급에서의 교우관계 분석

  • Received : 2012.08.06
  • Accepted : 2012.09.28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Peer relationships in young students' communities ar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of learning. Moreover, students who join the special program for gifted students possess differential peer relationships from the students in general class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fferences of 5th grade five science-gifted students' peer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in special classes for gifted students and general classes. Five students in the special program for gifted students, manag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in a southern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Social network analyses were utilized to explore participants' peer relationships; the students' homeroom teacher was interviewed to explore the contextual and in-depth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peer relationships. The results illustrated four cases of peer relationships: (1) smart loner (2) my study mate (3) I'm the best in my class, and (4) a good friend anywhere.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gifted students possessed diverse peer relationships in both the special program and general classroom.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gram for gifted students needs to be specially designed based on the gifted students' peer relationship.

교우 관계는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발달에 영향을 주는 학습의 중요 변인 중 하나이다. 또한 일반 학생들과 차별적인 프로그램에 속해 있는 영재학생들은 일반학급 학생들에 비하여 다른 교우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 연구 목적은 초등학교 5학년 과학영재학생들의 영재학급과 일반학급에서 나타나는 교우관계의 구조적 차이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남부권 소재 시교육청 영재교육원에 수학중인 5명의 초등 과학영재들이 참여하였다. 사회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통하여 참여 학생들의 교우관계 구조를 분석하였으며, 해당 영재 학생의 담임교사 면담을 통하여 학생들의 교우 관계에서 나타나는 심층적이고 맥락적인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영재들의 교우관계에 대하여 '똑똑한 외톨이', '나의 공부친구', '우리 반에서는 내가 최고', '어디서나 좋은 친구'의 네 가지 경우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과학영재들이 영재학급과 일반학급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교우관계를 맞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영재 학생들의 교우 관계를 바탕으로 그들의 프로그램이 특별히 계획되어야 하는 것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용학 (2003). 사회 네트워크 이론. 서울: 박영사.
  2. 김지혜 (2002). 영재의 또래관계와 학교생활 적응.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3. 문정화 (1993). 영재, 자랑거리 골칫거리. 서울: 과학과 예술.
  4. 박상희 (2004). 과학영재아동의 교우관계 인식.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5. 박승철 (2005). 초등학교 과학영재 아동과 일반 아동의 또래관계 및 자기효능감 비교.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6. 봉희영 (2002). 초등학교 영재아동의 교우관계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7. 서우경 (2003). 부적응 영재아 상담에 대한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2(2), 65-86.
  8. 손동원 (2002). 사회 네트워크 분석. 서울: 경문사
  9. 윤여홍 (1996). 영재아동의 정서적 특성에 관한 임상연구: 정신 건강을 위한 지도. 영재교육연구, 6, 53-71.
  10. 이영철 (2009). 초등학교 수학 영재의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에서의 교우관계와 학교생활 적응 비교.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11. 정혜온 (2007). SNA에 의한 교우관계 분석과 지도방안. 교육문화연구, 13(2), 137-158.
  12. 차영주 (2010).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교우관계와 다면적 인성 비교. 석사학위 논문. 순천향대학교.
  13. 최지희 (2011).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한 중등사회과 교사 간의 상호교류 실태 분석.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4. Campbell, S. B., & Caluss, P. (1983). Peer relationships of young children with behavior problems. In K.H. Rubin & H. S. Ross (Eds.), Peer relationships and social skills in childhood (pp. 323-351). New York: Stringer-Verlag.
  15. Davis, G. A., & Rimm, S. B. (2005). 영재교육 [이경화, 최병연, 박숙희 역] 서울: 박학사.
  16. de Solla Price, D. J. (1965). Networks of scientific papers. Science, 149, 510-515. https://doi.org/10.1126/science.149.3683.510
  17. de Solla Price, D. J. (1966). Collaboration in an invisible college. American Psychologist, 21(11), 1011-1018. https://doi.org/10.1037/h0024051
  18. Freeman, J. (1979). Gifted children. Balitimore: University Park Press.
  19. Hollingworth, L. S. (1942). Children above 180 IQ (Stanford-Binet): Origin and development. Yonkers-on-Hudson, New York: World Book Company.
  20. Janos, P. M., Fung, H. C., & Robinson, N. M. (1985). Self-concept,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 among gifted children who feel "different." Gifted Child Quarterly, 29(2), 78-82. https://doi.org/10.1177/001698628502900207
  21. Newman, M. E. J. (2001). The structure of scientific collaboration networks. Proceedings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 USA, 98(2), 404-409. https://doi.org/10.1073/pnas.98.2.404
  22. Parker, J. G & Asher, S. R. (1987). Peer relationship and later personal adjustment: Are low-accept children at risk? Psychological Bulletin, 102(3), 357-89. https://doi.org/10.1037/0033-2909.102.3.357
  23. Rogoff, B. (2003). The cultural nature of human developmen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4. Scott, J. (1991). Social network analysis: A Handbook. London: Sage Publications.
  25. Terman, L. M., & Oden, M. H. (1947). The gifted child grows up. Vol 4. Genetic studies of genius.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26. Vygotsky, L. S. (1978). Mind and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mental process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Cited by

  1. Exploratory Structural Analysis on Eight Positions for New Formulations in Jingyuequanshu by Network Analysis vol.35, pp.3, 2014, https://doi.org/10.13048/jkm.14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