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about the Perception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Regarding a Program for Gifted, Based on Autonomous Learner Model

자율학습자 모형에 기반한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영재 학생들의 인식 연구

  • Received : 2012.08.19
  • Accepted : 2012.09.14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Students' perception on a science program for gifted was investigated. The whole program was designed in consistency and integrity based on the Autonomous Learner Model suggested by Betts & Kercher(1999). 7th, 8th and 9th grade students were enrolled in this program, offered by G Education Institute for Gifted(GEI) located in Seoul. A survey was done to ask students' perception regarding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survey consisted of statements about the expected effects of the program and students were asked if they agreed with the statements. Most students strongly agreed that GEI's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Students replied that they learned useful and interesting science contents, enjoyed meaningful experience of cooperating with members in small groups, and were challenged by the inquiry tasks. They recognized that they were being trained to become autonomous learners. They also said that their choices and decisions were respected, which resulted in positive effects on their ability to negotiate or to inquire actively. These implies that Autonomous Learner Model had been successfully applied. Although it was not clear autonomy of students was fully grown,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n autonomous learner was evident. Satisfaction level is higher for the older students, implying that the integrity in the program gave accumulating effect. Students response showed that three sub-programs of GEI, the classes of each subject, conference at the end of the year and autonomous learner training played equally important role for students to learn the process of scientific inquiry and autonomous learning. This was a positive sign that the strategies for scientific inquiry and autonomous learning were embedded and integrated deeply in the program. The results of current research suggests that the integrity of a program based on a specific education model for the gifted could provide better education environment for the gifted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위치한 G 영재원의 과학영재학생들을 위하여 제공된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Betts와 Kercher(1999)에 의해 제안된 자율학습자 모형을 기반으로 설계된 통합적인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독특하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영재원의 교육목표들이 내재된 항목들에서 긍정적 영향이 있었는지 묻는 설문을 제작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거의 모든 학생들이 긍정적 영향에 강한 동의를 나타냈다. 학생들은 유용하고 흥미로운 과학 내용물을 배웠고, 소그룹 내에서 동료들과 함께 협력하는 의미 있는 경험을 즐겼으며, 탐구과제에 의해 많은 도전을 받았다고 응답하였다. 학생들은 또한 스스로 학습하는 방법을 익히게 되었고, 또한 자신들의 선택과 결정이 존중되었다는 사실이 동료와의 의견 조율이나 능동적인 탐색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했다. 이는 자율학습자 모형이 성공적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학생들이 자율학습자로써 성장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프로그램에 처음 참여한 학생보다 참여한 기간이 길었던 학생들이 좀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이것은 시간이 지나면서 프로그램의 일관성으로 인한 축적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세부 프로그램들, 특히 ALM 수업, 분과 수업, 학술대회가 과학적 탐구의 과정과 자율학습자 특성에 기여하는 비중이 비슷하여, 과학적 탐구과정과 자율학습자 교육을 위한 전략이 프로그램 전체에 내재하고 있으며 서로 유기적으로 긍정적 상호작용을 하여 시너지 효과를 내는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재들을 위한 특정 교육 모델에 기초한 프로그램의 일관성이 영재학생들을 위한 더 나은 교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 (2010). 과학영재교육 관련 국내 연구동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54-67.
  2. 강성주, 김현주, 이길재, 권영식, 김명희, 김연숙, 김윤화, 신호심, 이희영, 하지희 (2009). R&E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영재고등학생들의 인식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6), 626-638.
  3. 김경대, 심재영 (2008). R&E 프로그램을 체험한 과학영재들의 사사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4), 282-290.
  4. 김동렬 (2010). 통합교육모형(IEM)을 적용한 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0(2), 49-69.
  5. 김득호, 강경희, 박현주 (2009). 과학영재교육원 운영에 대한 서울시과학영재교육원 교사들의 고려사항.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90-105.
  6. 김미숙 (2010). 한국의 영재교육: 영재교육 현황과 국가표준 정립 CRM 2010-109, 3-4. 한국교육개발원.
  7. 김윤화, 김현주 (2010). 지역 교육청 영재교육원 중학생들의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2), 192-205.
  8. 김은숙 (2011). 2011년 관악영재교육원 교사 워크숍 자료집. 관악영재교육원.
  9. 김종선 (2007). 영재교육에 대한 영재부모들의 인식 및 요구조사. 석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10. 류시경, 박종석 (2008). 구조화 정도가 다른 탐구상황에서 과학영재들이 생성한 과학탐구 문제 비교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8), 860-869.
  11. 박선자, 최경희, 이현주 (2009). 교육청 영재 교육원 과학 담당교사들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2), 119-137.
  12. 박은이, 홍훈기 (2010).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한 명시적 과학의 본성 프로그램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2), 249-260.
  13. 박종원, 김두현 (2008). 과학의 본성 지도자료 개발과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한 시험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69-179.
  14. 배새벽, 김경대, 강순민, 윤소정 (2009). 과학영재학교의 학습 지원 체제 유용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5), 552-563.
  15. 백성혜, 원정애 (2007).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초․중등교사의 인식 조사, 교원교육, 23(2), 195-208.
  16. 오준영, 김상수, 강용희 (2008). 귀추 추리 전략을 통한 과학 영재를 위한 창의적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786-795.
  17. 윤미라, 강충렬 (2009). 초등학교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교사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실행 수준 분석. 초등 교육학 연구, 16(2), 103-123.
  18. 이신동, 김종선, 송선희 (2009). 영재교육에 대한 영재 부모들의 인식 및 요구조사. 학교심리와 학습컨설팅, 1(1), 79-102.
  19. 이수미 (2005).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 인식과 요구도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20. 이해명 (2002). 영재 교육과정 개발과 과제. 영재와 영재교육, 1(1), 91-124.
  21. 임길선, Yager, R. E. (2007). 과학영재성의 지속적 계발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방향. 한국일본교육학연구, 11(2), 1-20.
  22. 정기영, 전미란, 최승언 (2008).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조사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7(2), 161-177.
  23. 조벽 (2004). 차세대 성장 동력과 영재/창의력 교육 무엇이 문제인가. 코리아리더스포럼, 6/17 주제발표자료집.
  24. 주국영, 최성봉 (2008). 영재교육을 위한 능동적 소집단 협력학습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지구과학회, 29(6), 474-486. https://doi.org/10.5467/JKESS.2008.29.6.474
  25. 채동현, 권경아, 손연아 (2006). 미국 퍼듀대학 하계 GERI (Gifted Education Resource Institute) 프로그램에 참가한 한국 영재학생들의 과학 학습과 창의성 개발에 대한 효과 분석. 초등과학교육, 25(3), 296-306.
  26. 한기순 (2006). 국내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영재와 영재교육, 5(1), 109-129.
  27. 한기순 (2007). 최근 국내 영재교육 연구의 흐름. 영재교육연구, 17(2), 338-364.
  28. 한기순, 양태연 (2009). C 영재교육원을 통해 살펴본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2), 137-155
  29. 황정훈, 김영민 (2009). 정규 과학영재학교, 교육청 영재교육원, 일반 중․고등학교 과학교사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연구. 영재교육연구, 19(3), 697-727.
  30. Betts, G. T., & Kercher, J. K. (1999). Autonomous Learner Model: Optimizing Ability. Greeley, CO: ALPS Pub.
  31. Colangelo. N., & Davis. G. A. (2003). Introduction and overview. In N. Colangelo and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3rd ed.). Boston: Allyn and Ba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