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in Invention for Establishing the Concept of the Gifted in Invention

발명영재상 수립을 위한 발명영재의 특성 이해

  • Received : 2012.08.09
  • Accepted : 2012.09.13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Educating gifted students in invention is a totally new area for researchers as well as educators. Establishing the theoretical concept of the gifted in invention has been a challenging task to many education researchers in Korea for last several yea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in invention with the eventual purpose to conceptualize 'giftedness in invention.' The Future Mind by Gardner was adopted as the frame for categor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in invention. Based on Five Minds, this study listed 25 factors with their 80 characteristics after in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theoretical base of educating the gifted in invention, to identifying gifted youngsters to be great inventors, and to designing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them.

발명영재가 누구인지,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지를 정확히 밝히는 일은 발명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첫걸음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재교육의 새로운 분야로서 그 이론적 근거를 수립하는 단계에 있는 발명영재교육의 기초이론 연구로서 발명영재상의 수립을 염두에 두고 발명영재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자 수행되었다. 그동안 국내외에서 수행된 영재교육 및 발명영재교육에 대한 연구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발명영재의 특성을 위계적인 구조로 1차 제시하였고, 이에 대해 발명영재, 학부모, 교사 등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 타당성 검토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Gardner의 미래 마인드 개념을 이론적 틀로 하여 25개 특성요인과 80개의 특성요소로 발명영재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발명영재교육의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장기적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본 연구결과는 전문가 검토 및 측정학적 정교화 등의 추가적인 타당화 연구를 통해 발명영재들의 교육을 위한 튼튼한 이론적 기반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7). 과학영재 발굴 육성 종합계획('08-'12)(안). 국과위본회의 제 3호 과학영재. 2007. 8. 27.
  2. 맹희주, 서혜애 (2010). 발명영재교육 운영체제 별 초등 발명영재 수업 내용 및 수업 활동 분석. 초등과학교육, 29(1), 1-12.
  3. 박경빈, 전미란, 이미순 (2010). 미래사회 영재를 위한 창의 인성 방안 연구.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4. 서혜애, 조석희, 김홍원, 정현철, 손연아 (2002). 공교육차원의 발명영재교육 체제 구축 방안 연구. 수탁연구 CR 2002-29. 한국교육개발원.
  5. 서혜애, 정현철, 손정우, 이봉우, 김주후, 맹희주 (2006). 발명영재교육프로그램 개발. 수탁연구 CR 2006-58. 한국교육개발원.
  6. 유영길 (2007). 발명영재반 운영 방안 모색. 국제과학영재학회지, 1(2). 145-155.
  7. 육근철, 최석남, 한승록, 박상태, 류지영, 맹동술, 원희정, 김유상, 이재복, 천가경 (2011). 발명영재 선발을 위한 자유선택형 다단계 선발 모형 및 관찰 추천제. 영재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초교과형 발명영재육성.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13-37.
  8. 이재호 (2011). 발명영재 교육 체계화 방안: 발명영재교육의 현 주소 및 발명영재에 대한 다원적 지원 방안. 제1회 지식재산기반 차세대영재기업인 콜로키움. 107-126.
  9. 이재호 (2012). 차세대 영재교육 및 발명영재교육 체계화 방안. 영재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초교과형 발명영재육성.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105-121.
  10. 이재호, 박경빈, 진석언, 류지영, 이상철, 안성훈, 진병욱 (2012). 발명 영재상 정의를 위한 특성요인 제안. 한국영재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353-383.
  11. 최유현 (2007). 주니어 발명리더과정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0(4). 171-193.
  12. 최유현, 이경화, 반재천, 임윤진, 강경균, 김동하, 박기문 (2010). 발명영재 선발도구 개발 연구.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13. Amabile, T. M. (1983).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New York: Springer-Verlag.
  14. Gardner, H. (2008). 5 minds for the future. Cambridge, MA: Harvard Business School Publishing.
  15. Hany, E. A. (1994). The development of basic cognitive components of technical creativity: A longitudinal comparison of children and youth with high and average intelligence. In R. G. Subotnik & K. D. Arnold (Eds.), Beyond Terman: Contemporary longitudinal studies of giftedness and talent (pp. 115-154). Norwood NJ: Ablex.
  16. Stankowski, W. M. (1978). Definition. In R. E. Clasen & B. Robinson (Eds.). Simple gifts: The education of the gifted, talented, and creative (page unknown).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Exension.
  17. Sternberg, R. J. (1985). Beyond IQ: A triarchic theory of human intelligence.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5). Defying the crowd: Cultivating creativity in a culture of conformity. New York: Free Press.
  19. VanTassel-Baska, J. (2002). Considerations in evaluating gifted programs. The Communicator, 33(2), 20-24.

Cited by

  1. Comparison of Thinking Styles between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Science and Invention vol.33, pp.3, 2014, https://doi.org/10.15267/keses.2014.33.3.558
  2. Identifying and Developing Inventive Talent in the Republic of Korea vol.39, pp.1, 2016, https://doi.org/10.1177/1076217515613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