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Career Awareness, the Preference for Science and Stereotypic Image of the Scientist Between the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진로인식, 과학 선호도 및 과학자의 정형화된 이미지 비교

  • Received : 2012.08.22
  • Accepted : 2012.09.12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reer awareness, the preference for science and stereotypic image of the scientist between the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For this study, 52 gifted students and 80 non-gifted students were particip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awareness of gifted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n-gifted students. Second, the preference for science of gifted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l sub-domains than non-gifted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and gender in the scientific interest and the intention of solving problems. Third, analyzing stereotypic image test for scientist between the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it proved that non-gifted students had more stereotypic image comparing with the gifted students. Forth, carrying out the correlation analysis on the career awareness and the preference for science, the career awareness and the stereotypic image of the scientist, it prov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It revealed that the career awareness affected the preference for science significantly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영재학급 학생과 일반학급 학생들의 진로인식과 과학 선호도 및 과학자의 정형화된 이미지를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영재학생 52명, 일반학생 8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진로인식을 비교한 결과, 영재학생들의 진로인식이 더 높게 나왔으며,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전반적으로 일반학생에 비해서 영재학생의 진로인식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영재학생과 일반학급 학생의 과학 선호도는 영재학생이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가 나왔다. 하위영역별로 자세히 보면 6개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성별에 따른 비교에서도 영재학생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집단과 성별의 차이 간 상호작용 효과는 일반학생에 비하여 영재학생이 과학 학습의 흥미와 학습 지속 실행의지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정형화된 과학자의 이미지 검사를 실시한 결과, 영재학생에 비해 일반학생이 느끼는 과학자의 이미지에서 더 많은 정형화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넷째, 영재학생의 진로인식과 과학 선호도, 진로인식과 과학자의 정형화된 이미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각각의 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진로인식이 과학 선호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얻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난주 (2005). 초등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자 이미지와 과학과 관련된 경험 및 배경 조사. 초등과학교육, 24(1), 59-67.
  2. 김미란 (2004).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인식 수준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연구. 석사학위논문. 전주교육대학교.
  3. 김소형 (2004). 과학자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학생과 과학영재반 학생의 인식조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4. 김원식 (2002).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초등학생의 진로 인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관동대학교.
  5. 김충기 (1992). 새로운 교육 혁신과 진로. 서울: 성원사.
  6. 김현정, 유준희 (2006). 과학 영재 학생들의 진로 선택 과정에 영향을 주는 과학영재 캠프 의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268-278.
  7. 박경빈, 권혁민 (2011). 영재아와 일반아의 독서성향과 진로태도성숙 및 자기주도적학습 특성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21(1), 1-17.
  8. 박승재, 김희백, 박종윤, 유준희, 윤진, 임성민, 전우수 (2002). 중등 학생의 과학 선호도 증진 정책 연구. 대통령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용역연구보고서. 대통령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9. 박영덕 (2004). 초등학생들의 진로인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10. 성태제 (2002).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11. 손은정, 우애자 (2003). 중등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진로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7(2), 113-123.
  12. 여상인 (1998). 변형된 DAST와 인터뷰를 이용한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와 과학자가 하는 일에 과한 초.중등 학생의 인식 조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7(1), 1-10.
  13. 오정근 (2006). 초등학생의 성취동기 수준과 진로인식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14. 유미현, 김소연, 홍훈기 (2007). 과학 잡지를 활용한 수업이 과학 비전공 고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정평가연구, 10(1), 211-230.
  15. 유미현 (2008). 과학영재의 사회.정의적 특성과 과학관련 인식 향상을 위한 '과학자 탐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6. 윤진 (2002).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선택 요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906-921.
  17. 윤진, 박승재, 명전옥 (2006). 과학 진로와 관련된 초중등 학생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675-690.
  18. 이경혜 (2012). 아동 성별에 따른 부모의 성취압력 및 진로지도와 진로인식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19. 이승혜 (2006). 초등학생의 과학 선호도에 따른 과학 성취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20. 이준일 (2000).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관동대학교.
  21. 이형철, 김찬기, 강수희(2002). 초등학교 과학 영재반과 일반학생들의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 비교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 27, 239-254.
  22. 이효녕, 박경숙 (2010). 초등학생이 생각하는 과학자와 공학자에 대한 이미지. 실과교육연구, 16(4), 61-82.
  23. 임희준, 여상인 (2001). 초등학교 영재 학생들의 과학자에 대한 인식 조사. 영재교육연구, 11(2), 39-57.
  24. 전우수, 임성민, 윤진 (2003). 초등학생의 과학 선호도. 초등과학교육, 22(1), 81-96.
  25. 전화영, 여상인, 우규환 (2002). 과학자 읽기 자료의 도입이 과학자의 이미지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성차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22-31.
  26. 정 희 (2004). 초등학생의 과학자 및 과학에 대한 이미지. 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진혜영 (2006). 진로인식 향상을 위한 초등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8. 중앙고용정보원․경기도교육정보연구원 (2005). 진로와 직업 교사용 지도서. 서울: 중앙교육진흥연구소.
  29. 황덕근 (1994). 국민학생들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 조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0. 황유경 (2009). 진로인식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영재학급 아동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31. 황희숙, 강승희, 황순영 (2010). 과학영재의 진로선택 어려움에 관한 질적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2(3), 351-368.
  32. Barman, C. R. (1997). Students' views of scientists and science: Results from a national study. Science and Children, 35(1), 18-24.
  33. Boylan, C. R., Hill, D. M., Wallace, A. R., & Wheeler, A. E. (1992). Beyond stereotypes. Science Education, 76(5), 465-476. https://doi.org/10.1002/sce.3730760502
  34. Chambers, D. W. (1983). Stereotypic image of the scientist: The draw-a-scientist. Science Education, 67(2), 255-265. https://doi.org/10.1002/sce.3730670213
  35. Colangelo, N. (1991). Counseling gifted students.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Needham Heights, MA: Allyn and Bacon.
  36. Finson, K. D., Beaver, J. B., & Cramond, B. L. (1995). Development and field test of checklist for the draw-a-scientist tes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5(4), 195-205.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5.tb15762.x
  37. Fort, D. C., & Varney, H. L. (1989). How students see scientists: Mostly male, mostly white, and mostly benevolent. Science and Children, 26(8), 8-13.
  38. Gribbone, W. D., & Lohnes, P. R. (1968). Shifts in Adolescents' Vocational Values. Personnel and Guidance Journal, 44, 248-252.
  39. Hertzog, N. B. (2003). Impact of gifted programs from the students' perspectives. Gifted Child Quarterly, 47(2), 131-143. https://doi.org/10.1177/001698620304700204
  40. Hollinger, C. L. (1991). Facilitating the career development of gifted young women. Roeper Review, 13(3), 135-139. https://doi.org/10.1080/02783199109553338
  41. Woolnough, B. E. (1994). Factors affecting students' choi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6, 659-676. https://doi.org/10.1080/0950069940160605

Cited by

  1. Perceptions and Image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on Scientists studying Small Organisms vol.33, pp.4, 2014, https://doi.org/10.15267/keses.2014.33.4.655
  2. A Study on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and on the Images of Scientists, Engineers, and Technicians vol.34, pp.8,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8.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