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lic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licies for Park and Green Spaces in England

영국 공원녹지 정책의 최근 경향과 특성

  • Received : 2012.03.07
  • Accepted : 2012.04.25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Recently parks and green spaces contribute not only as a place of leisure but also for environmental welfare, social education, new jobs and $CO_2$ Emissions Reduction. Parks and green spaces are understood as urban infrastructures like roads and rivers. They are also included in social infrastructures like education, culture, and welfare facilities. These changes are applied to policies for parks and green spaces, many governments and local authorities make investments on them. The modification of policies for parks and green spaces in England is a good example about this trend From this view point, this study now deals with the changing process of policies, results, and evaluation. Some implications have been deducted. The first is the inducement in participation in policies and implementation of practices through policy papers. They are more practical than written laws which are composed of abstract sentences and generalizations. Secondly, the status of parks and green spaces is highly raised with the establishment of CABE Space and so on. This organization controls many different policies and programs related to parks and green spaces. Third is the funding for the improvement of parks and green spaces. Fourth, are the short-term measures, such as funding and management, and the long-term measures such as pursuing building of partnership and training. Fifth, the government strives to establish its partnership with the local authorities and communities through a spectrum of support in terms of information, monitoring, and developing good practices among networks. Finally, parks and green spaces are being addressed from multiple direction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numerous agents like voluntary groups, development companies, communities and so on. Recently, in Korea, the influences of the Sunset Law for Park Site, Landscape Architecture Law, Urban Forest Law, and other related ordinances have encouraged the review on the policies on parks and green spaces needed.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about them. Owing to these reasons, the cases of England will he helpful.

최근 공원녹지 공간은 여가 활동의 장소로 뿐만 아니라 환경복지, 사회교육과 일자리 창출, 탄소 저감 등에도 기여하고 있다. 그래서 공원녹지는 도로, 하천, 항만, 상하수도, 배수 같은 도시기반시설로 이해하거나, 교육 및 문화, 복지 시설 등과 같은 인프라에 포함하기도 한다. 이러한 변화는 공원 및 녹지 공간 관련 정책에 반영되고 있고, 많은 국가나 지자체에서 관심을 갖고 투자하고 있다. 영국에서 근래 이루어진 정책적 쇄신은 이에 대한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2년 이후 영국에서 이루어진 공원녹지 정책의 변화 과정과 내용, 변화된 정책의 특징과 시사점을 다루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정책서를 통한 정책 참여와 실천 유도이다. 이는 추상적 문구와 일반적 유형을 나열하여 실행 효과가 미흡한 성문법보다 실천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공원녹지공간의 정치적 행정적 위상 제고다. 일례로 공원녹지 공간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을 총괄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조직인 케이브 스페이스를 설립하였다. 셋째, 도시공원과 녹지를 위한 지원금 제도의 도입과 실행이다. 넷째, 공원녹지 공간의 질 저하 방지와 향상을 위한 단기적 장기적 정책 마련이다. 다섯째, 중앙정부, 지방정부, 커뮤니티의 역할배분과 파트너십 구축이다. 중앙정부는 지방정부와 제도적, 정보적 지원, 모니터링, 우수 사례 선발 같은 방식으로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는 정책수립과 실천에 다양한 주체들과 커뮤니티의 참여이다. 정책수립과 실천에 중앙정부조직들뿐만 아니라 제 3부문의 단체들, 민간기업 등을 포함시킴으로써 여러 정책과의 연계성 및 실천성을 높였다. 근래 우리나라에서는 공원 일몰제, 조경법, 도시숲법 등 당면 문제와 기후변화에 대한 대처, 질 높은 도시의 삶, 지속가능성 확보 등으로 인해 공원녹지 정책에 대한 재고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공원녹지정책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현실이다. 이에 국가적 차원에서 공원녹지 정책을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는 영국의 사례 검토는 의미 있는 일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연금, 마기로(2007) 영국 공원개발에 있어서의 파트너쉽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5(2): 4-11.
  2. 양흥모(2011) 국가도시공원 도입의 필요성. 파주: 환경과 조경 283: 132-133.
  3. 유재원(2005) 성과관리를 통한 지방정부의 책임성 확립: 영국 Best Value의 교훈. 지방자치정보: 62-82.
  4. 이양주(2009) 지방정책 연구자가 본 공원녹지 정책의 패러다임. 한국논총 48: 135-155.
  5. 전유정(2008) 차등분권제의 정착과 확대를 위한 정책방행. 경북대학교대학원 행정학 석사학위논문.
  6. 조경진(1997) 라빌레트 공원 읽기. 서울시립대학교 수도권연구소 연구논총 23(1): 69-82.
  7. 조경진(2010) 도시의 공원, 경계와 매개의 수평 공간. 도시공원 국제심포지엄 발표 자료: 9-19.
  8. CABE Space(2004) Green space strategies.
  9. CABE Space(2005) Does Money Grow on Trees?
  10. CABE Space(2007) It's Our Spaces.
  11. CABE Space(2009a) Making the Invisible Visible.
  12. CABE Space(2009b) The green information gap: mapping the nation's green spaces.
  13. CABE Space(2010) Urban green nation: Building the evidence base.
  14. CABE Space and Mayor of London(2009) Open space strategies: Best practice guidance.
  15. C LG(2008) Community, Opportunity, Prosperity Annual Report 2008.
  16. Collomb, Nicole(2010) Values of Urban Parks, 도시공원 국제심포지엄 발표자료: 21-46.
  17. Cranz, Calen(1982) The Politics of Park Design. Massachusetts: MIT Press.
  18. Czerniak, Julia(2009) Agency by Design. in ORO editions Ed. , Landscape Alchemy: The Work of Hargreaves Associates. pp. 164-169.
  19. DETRAC(1999) Townand Country Parks.
  20. DTLR(2001) The Urban White Paper-Our towns and cities: the future.
  21. DTLR(2002) Improving Urban Parks, Play Areasand Green Spaces.
  22. Lai. Ming(2002) Community Involvement in the Restoration of Historic Urban Parks.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heffield.
  23. LAN(2006) 'Saferand Stronger Communities-Environment, Loveability and Transport' Outcome Paper.
  24. Local government(2001) Strong Local Leadership-Quality Public Services.
  25. ODPM(2002) Living Places- Cleaner, Safer, Greener.
  26. ODPM(2006) Enhancing Urban Green Space.
  27. Urban Green SpacesTaskforce(2002) Green Spaces, Better Places.
  28. Urban Parks Forum(2001) Public Park Assessment.
  29. http://www.dh.gov.uk
  30. http://www.green-space.org.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