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ative Study of Cost Estimate System in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 Comparison of Unit Price between Actual Construction Cost and Standard Quantity per Unit -

조경공사 적산방식의 비교연구 - 실적공사비와 표준품셈의 단가비교 -

  • Received : 2012.02.29
  • Accepted : 2012.04.12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nd a proper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method by comparing unit prices of cost estimate in landscape construction among other public ordering construction projects. There were 7 out of 12 items from the actual work cost in the first half of 2011 were compared. The 12 items were classified as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and the 7 items were the approximate standard. As applied construction types, the comparable 35 items out of the 80 actual work cost items applied to 5 sites were compared to the unit price of the standard quantity per unit in March 2011, which was the approximate standard. Actual construction rate of the 7 items in the category of landscape sector was 104.86% for each item and 92.09% as a total construction cost. The high actual construction rate was caused by the high rate of seed spray depending on the status of applying rocks. However, there were more fundamental reasons for the cost generated from aslope treatment for grass and seed spray. So, it requires more detailed regulations on the modification factors for each soil type, the standard and needs to improve theillogical standard quantity per unit system. Actual construction rate of the 35 items in the applied sectors of civil engineering and architecture was 78.65% for each item and 71.31% (70.17%) as a total construction cost. This shows that actual unit cost cannot reflect actual cost structurally and standard quantity per unit system lacks practicality in terms of construction due to thelabor force. 85.1~91.2 % actual construction rate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Land and Maritime Affairs referred to the newly switched items. So the result was estimated as actual construction rate. This requires supplementation after verification in order to make the actual work cost produce at a proper rate. Also, standard quantity per unit system needs complementation with these actual data and so on.

본 연구는 공공건설공사 중 조경공사 적산의 단가 비교로 적정 공사비 산출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011년 상반기 실적단가에서 조경공사로 분류되는 12항목 중 유사기준인 7항목을 대비하며, 준용 공종은 5개 현장에 적용된 실적단가 80항목 중 비교 가능한 35항목을 유사기준인 2011년 3월의 표준품셈 단가로 대비하였다. 조경부문 7항목의 실적공사비율은 항목별로는 104.86%, 총공사비로는 92.09%이다. 실적공사비율이 높은 이유는 암반 적용 여부로 씨앗뿜어붙이기의 높은 비율도 있지만, 근본적인 이유는 잔디와 씨앗뿜어붙이기의 사면처리 비용 때문이므로, 품셈의 불합리성과 토양 종류별 기준별 보정계수 규정을 세분할 필요가 있다. 토목과 건축 준용부문 35항목의 실적공사비율은 항목별로 78.65%, 총공사비로는 71.31%(70.17%)이다. 이는 실적단가가 구조적으로 실제 금액을 반영하지 못하는 점과, 품셈은 인력시공에서 현실성이 결여된 때문으로 판단된다. 국토해양부 발표인 85.1~91.2%의 실적공사비율은 신규 전환품목 단가이므로, 이 결과는 실제적인 실적공사비율로 추정되며, 실적단가가 적정 비율을 보이도록 검증 후 보완하고 표준품셈도 이러한 실적자료 등으로 보완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태호, 정운수(2008) 조경재료적산학. 서울: 기문당.
  2. 건설교통부(2007) 건축공사, 토목공사 수량산출기준.
  3. 건설교통부(2007) 건축공사, 토목공사 수량산출기준지침서.
  4. 국토해양부(2004-2011) 토목공사, 건축공사 실적공사비 적용단가.
  5. 김종성(1997) 우리나라 조경식물 유지관리품셈의 개선에 관한 연구: 수목전정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대한건설협회(2004-2011) 2004-2011년 건설공사 표준품셈. 대한건설협회.
  7. 대한건설협회(1996) 실적공사비 적산기준. 대한건설협회 일간건설사.
  8. 대한건설협회 조경위원회, 대한전문건설협회조경식재. 시설물설치공사업협의회, (사) 한국조경사회(2010) 개정증보판 조경공사적산기준. 파주: 도서출판 조경.
  9. 박원규, 구본학, 이상석, 김성용, 한명철, 김원태(2006) 조경공사 적산기준 개선방안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조경학회 보고서.
  10. 박원규, 김두하, 안동만(1997) 실적공사비 적산방식 도입을 위한 조경공사의 공종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주택단지 조경공사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5(1) : 82-99.
  11. 손재철(2007) 표준품셈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한. 일 양국 비교.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손창구, 김귀곤, 윤근영, 강태호, 김익수(1990) 조경식재공사 표준품셈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8(3) : 23-37.
  13. 윤근영(1990) 조경수목식재공사품의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토질을 고려한 식재품 산정개선을 위한 제안.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윤주철(2010)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변천요인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윤주철, 이관희(2011) 조경공사 표준품셈 공종 개정에 관한 연구. 한국 조경학회지 39(5) : 119-126.
  16. 이관희, 윤주철(2009) 우리나라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시대적 변천특성. 한국조경학회지 37(1) : 131-138.
  17. 임재홍(2002) 대형향토수목 이식에 관한 연구: 천안시 팽나무 사례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장봉진(2001) 수목이식공사의 적산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교목류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정평란(1980) 조경적산의 제도적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Cited by

  1. A Study on the Standard of Estimate for Vitalizing the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Industry vol.16, pp.2, 2013, https://doi.org/10.13087/kosert.2013.16.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