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Sericulture in the Rear Garden of Palace in Joseon Dynasty

조선시대 궁원 내 친잠(親蠶)문화의 배경과 공간적 특징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sericulture in the rear garden of the palace in Joseon Dynasty. Joseon Dynasty made the various efforts not only to enhance the promotion of agriculture but also sericulture since the main industry of Joseon Dynasty was farming. At the very beginning, Joseon Dynasty planted mulberry trees and built a silkworm-raising room(蠶室) around the Donggung(東宮). Then, King Sungjong(成宗) made Chaesangdan(採桑壇) in Changgyeong Palace and performed Chinzamryae(親蠶禮). The location of Chaesangdan varied as time goes on until the king Gwanghaegun(光海君). Lastly, King Yeongjo(英祖) made Chaesangdan and Junghaechinzambi(丁亥親蠶碑) in Gyeongbok Palace. Yeongjo(英祖) showed a strong attachment to Gyeongbok Palace and actively encouraged the sericulture. Chaesangdan was built in the east side of the palace which was appropriate for planting mulberry trees. Furthermore, a silkworm-raising room was located in this place at the era of King Sejong(世宗).

본 연구는 조선시대 궁궐 내에서 일어났던 친잠문화의 배경과 공간적 특징에 대한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조선은 유교적 중농주의 국가로서 국초부터 농업 못지않게 양잠업 장려에 열의를 보여 양잠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진행해 왔다. 그러한 노력의 일면으로 조선 왕실은 궁궐 내에서 친잠활동을 하게 되었다. 조선은 초기 태조 연간부터 궁원 곳곳에 뽕나무를 심었으며, 세조는 동궁(東宮) 근처에 잠실(蠶室)을 설치하여 세자를 비롯한 궁중 사람들에게 양잠의 중요성을 수시로 알게 했다. 성종 연간에는 조선 최초로 창경궁 후원에 채상단을 만들어 친잠례를 거행하였고, 이후 채상단은 위치를 달리하며 광해군 때까지 유지되었다. 그 후 영조 연간에는 경복궁에 채상단과 정해친잠비(丁亥親蠶碑)를 건립하였는데, 이는 경복궁 유지에 대한 영조의 애착과 양잠의 권면에 대한 적극적 의지의 산물이었다. 경복궁 유지에서 터가 고르고 뽕나무를 심기 적합한 동편이 선택되어 채상단을 축조했으리라 가늠해 볼 수 있는데, 이 장소는 세종 연간 잠실이 있던 장소이기도 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경복궁도.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 소장.
  2. 경복궁전도a. 서울 삼성출판박물관 소장.
  3. 경복궁전도b. 소더비 경매 출품.
  4. 경복궁전도c.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5. 동궐도(東闕圖).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6. 궁궐지(宮闕志). 장서각 K2-4363.
  7. 김현준(2008).한중일 궁궐 조경의 원형 해석:창덕궁, 자금성, 경도 어소를 중심으로.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남미혜(2002). 조선전기 양잠업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대한잠사회(1989). 한국잠업사. 서울:대한잠사회.
  10. 문화재청(2006). 사진으로 보는 경복궁. 대전:문화재청.
  11. 심우경(2006). 조선후기 지식인들이 선호한 조경 식물과 조경문화. 한국실학연구 12:91-120.
  12. 심우경(2011). 자연을 품은 삶, 한국의 정원문화를 말하다. 고려대학교 학문소통연구회지 32:9-37.
  13. 엄정옥(2011). 조선왕조 친잠의례 복식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윤정(2007). 18세기 국왕의 문치 사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임혜련(2011). 조선 영조대 친잠례 시행과 의의. 한국학 중앙연구원 장서각 25:112-135.
  16. 장지연(2011). 고려-조선 초 적전 선농단의 변화와 그 특징. 서울학연구 44:41-82.
  17. 정우진(2011). 동궐 후원의 변천과정과 원형경관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정우진, 허선혜, 심우경(2012).조선시대 궁궐 후원의 농경지 조영. 한국 조경학회 춘계 학술논문발표대회 초록집.pp.154-160.
  19. 탁용주(2001). 조선시대 친잠례 및 친잠례의 화장과 치장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한형주(2010). 성종-중종대 농상 관련 국가제례의 변화양상과 친제. 역사와 실학 43:83-114.
  21. 허선혜(2012). 조선시대 궁궐 후원의 농상지 조영에 관한 역사적 고찰.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허선혜, 심우경 역(2012). 도시농업.Tracey,D.(2011). Urbanagriculture. 서울:미세움출판사.
  23. http://blog.naver.com/kccf2007 (성북문화원 선잠단과 길쌈이야기 2010 웹 보고서)
  24. http://db.itkc.or.kr/(한국고전종합DB)
  25. http://www.cha.go.kr/(문화재청 홈페이지)
  26. http://www.koreanhistory.or.kr/(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27. http://www.sisapress.com/(시사저널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