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Inquiry Oriented Instruction on the Learning of A rea Formulas

수학적 탐구학습이 넓이공식의 학습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1.03.17
  • Accepted : 2011.04.25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quiry oriented instruction on the learning of area formulas. For this purpose, current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2007 revised version) which deal with area formulas was reviewed and then the experimental research on inquiry oriented instruction in area formula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inquiry oriented instruction on the mathematical achievement in area formula problem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memorization of area formulas. Third, there was significant effect on the generalization of area formulas. Forth, there was significant effect on the methods of generalization of area formulas. Fifth, through inquiry activities, the students can learn mathematical ideas and develop creative mathematical ideas. Finally, implications for teaching area formulas through inquiry activity was discussed. We have to introduce new area formula through prior area formulas which had been studied, and make the students inquire the connection between each area formulas.

수학적 탐구 학습은 학생들로 하여금 흥미로운 문제를 적극적으로 탐구함으로써 수학적 내용을 학습할 수 있고 탐구하는 과정에서 창의성이 계발될 수도 있다. 탐구 활동이 창의성을 개발시킬 수 있다는 점은, 학생들이 어떤 완성된 형태로서 수학을 암기하고 수학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수학 과제를 탐구하는 과정에서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산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수학 학습 활동에 있어서 수학적 탐구의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평행사변형의 넓이 공식을 도입할 때, 탐구의 과정으로 지도한다는 의미는 직사각형의 넓이 공식을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평행사변형을 직사각형으로 어떻게 만들 것인가 하는 탐구의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탐구 학습을 통한 넓이의 지도가 넓이에 관한 수학성취도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를 알아 보고 넓이 공식의 기억과 유도 과정에 영향을 주는지를 실험연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 완 (2001). 원의 넓이 공식에 대한 교수학적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과학과 수학교육 논문집, 27, 37-68.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개정 2007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3. 김택본 (1997). 초등학교 아동의 측도 영역에 대한 학업 성취도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박만구 (2009). 수학교육에서 창의성의 개념 및 신장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3(3), 803-822.
  5. 박성선 (2002). 수학적 창의성 신장을 탐구학습에 관한 소고.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6(2), 65-74.
  6. 안선영 (2006). 평면도형의 넓이에 대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지식과 수업 실제와의 관계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 정동권 (2001).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를 통한 수학적 사고의 신장.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논총, 13(13), 1-36.
  8. 황동주 (2005). 수학 영재 판별의 타당도 향상을 위한 수학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과 채점 방법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Becker, J. P., & Shimada, S. (1995). The open-ended approach.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Inc.
  10. Collins, K. (1969). The importance of strong confrontation in an inquiry model of teaching.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69(7), 615-617. https://doi.org/10.1111/j.1949-8594.1969.tb08507.x
  11. Hass, G. (1970). Reading in secondary teaching. Boston: Allyn & Bacon.
  12. Ivany, G. (1969). The assessment of verbal inquiry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Science Education, 53(4), 287-293. https://doi.org/10.1002/sce.3730530404
  13. Krulick, S., & Rudnick, J. A. (1999). Innovative tasks to improve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In L. V. Stiff & F. R. Curcio(Eds.), Developing mathematical reasoning in grade K-12(pp. 138-145). NCTM Yearbook.
  14.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or.
  15. Reys, R. E., Suydam, M. N., Lindquist, M. M., & Smith, N. L. (1998).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5th ed) . Boston: Allyn & Bacon.
  16. Schrenker, C. (1976). The effects of an inquiry development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cience learning. Doctoral dissertation. New York University.
  17. Stephan, M., & Clements, D. H. (2003). Linear and area measurement in prekindergarten to grade 2. In D. H. Clements, & G. Bright (Eds.), Learning and teaching measurement (pp.3-16).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8. Suchman, J. R. (1962). The elementary school training program in scientific inquiry. University of Illinois.
  19. Torrance, E. P. (1965). Rewarding creative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