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the Analysis of Supervisor Competence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Focus on Competency of Supervisor's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사회복지관 수퍼바이저의 역량분석에 관한 연구 -수퍼바이저의 지식, 기술, 태도 역량을 중심으로-

  • 안정선 (한국성서대학교 사회과학부) ;
  • 윤정혜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사무관)
  • Received : 2010.12.13
  • Accepted : 2011.02.22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fundamental direction in training social work supervisors. First it defined the competency of supervisors and by analyzing the contrasts between the present situation and points for compensation, the study searched for alternative solutions to reinforce the role of supervisor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interviewing 7 Focus Groups, the 20 Delphi questionnaire panel, and the 213 social workers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This study multilaterally evaluated the opinions of all supervision interested parties and as a result, defined the core supervisor competence in the areas of knowledge, skill, and attitude(KSA). The main characteristics to be improved were found to be supervisors' leadership, supervision knowledge, self-recognition. conflicts arbitration skills, the communication skills, the team work skills, and the main attitudes of consistency, patience and openn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presented specific direction in the developing training courses for supervisor, researching the detailed education demands and analyzing the application of the supervisor's competency model in the organization.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 수퍼바이저의 역량을 규명하고 각 역량의 보유도와 필요도의 현황 및 그 차이를 분석하여 수퍼바이저의 역량 강화를 위한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포커스그룹 7명, 델파이 설문 20명 2회, 213명 사회복지사 설문조사 방법으로 수퍼비전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다각적으로 조사하여 사회복지관에서 필요한 수퍼바이저의 역량을 규명하고 그 실태를 조사하였다. 사회복지관 수퍼바이저의 역량은 지식, 기술, 태도의 3가지 하위역량으로 분류되어 조사되었고 전체 43문항이 최종 개발되었다. 필요도와 보유도의 차이가 가장 높아 개선이 요구되는 영역 상위 3순위는 리더십, 수퍼비전, 수퍼바이저 자신의 강 약점, 편견 등에 대한 자기인식의 지식영역, 갈등중재, 팀워크 및 집단지도, 의사소통의 기술영역, 일관성, 수퍼바이지 수용, 인내력, 개방성의 태도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수퍼바이저 핵심역량 모델을 개발하고 수퍼바이저 양성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여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kaswc.or.kr/introduction/introduction_01_3.php
  2. 원영희, 안정선, 배진형, “사회복지사의 역량모델링에 근거한 학부교과과정 발전방안”, 한국사회복지교육, 제13호, pp.45-73, 2010.
  3. 홍선미, 최명민, “ 사회복지교육 실태진단 및 사회복지교육의 질 관리 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제11호, pp.1-31, 2010.
  4. 윤혜정, 지지적 수퍼비전이 사회복지사들의 사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5. 이재용, 지지적 수퍼비젼과 사회복지사 소진과의 관계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6. D. Bruce and L. Wright, "Using Community Input for the Curriculum Review Process," J. of Social Work Education, Vol.35, No.2, pp.275-288, 1999.
  7. 김혜진, 수퍼비전이 자기효능감 지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8. 문지은, 사회복지관의 수퍼비젼이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9. 성희자,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수퍼비젼 모형 탐색,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10. J. W. Jeffreys, The Impact of Supervision on Social Worker Perception of Self-Efficacy, Ph. D.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Albany, pp.1-95, 2001.
  11. 김경희,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책무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서울: 신앙과 지성사, 2002.
  12. 김융일, 양옥경, 사회복지수퍼비전론, 서울: 양서원, 2002.
  13. 최원희, 사회복지 수퍼비전의 중요성공요인에 대한 델파이 및 AHP분석,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4. 이태수, 이봉원, 안정선, “사회복지시설의 평생학습체계 구축 실태 및 활용방안 모색”,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25집, pp.245-271, 2008.
  15. 안정선, 윤철수,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수행역량분석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22호, pp.151-174, 2008.
  16. 김성천, 유서구, “사회복지기관, 시설관리자의 보수교육 욕구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25호, pp.31-49, 2009.
  17. 한상미, 전진호, 김기덕, “실천현장에서 요구하는 신입사회복지사의 자질에 관한 연구 :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25집, pp.1-30, 2008.
  18. 조성우, “사회복지학 커리큐럼 타당도 개선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실천과업 및 능력분석”, 2006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006.
  19. A. Kadushin and Daniel Harkness., Supervision in Social Work. NY: Columbia University, 2002.
  20. D. J. Pesut and C. A. Willaims, “The Nature of Clinical Supervision in Psychiatric Nursing: Survey of Clinical Specialists,”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Vol.4, No.3, pp.188-194, 1990. https://doi.org/10.1016/0883-9417(90)90008-9
  21. C. E. Munson, "Evaluation of Male and Female Supervisors". Social Work, Vol.24, pp.104-110, 1979.
  22. C. D. Stevens, J. P. Guthrie, and C. J. Coate. "Does Personality Predict Preferred Managerial Style? Evidence from New Zealand and United States," Asia Pacific J. of Human Resources, Vol.40, pp.322-344, 2002. https://doi.org/10.1177/1038411102040003256
  23. E. L. Worthington and H. J. Roehlke, "Effective Supervision as Perceived by Beginning Counsellors in Training," J. of Counselling Psychology, Vol.26, pp.64-73, 1979. https://doi.org/10.1037/0022-0167.26.1.64
  24. 강철희, 최소연, “사회복지수퍼비젼의 방향 및 변인고찰 : 연구와 실천방향을 위한 논의”,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3호: pp.29-66, 2005.
  25. 김경실, “효과적인 수퍼비젼”, 인간이해, 제20호: pp.1-15, 1999.
  26. Dye, H. Allan and L. D. Borders, "Counseling Supervisors : Standards for Preparation and Practice," J. of Counselling & Development. Vol.69, pp.27-29. 1990. https://doi.org/10.1002/j.1556-6676.1990.tb01449.x
  27. 김경희, 안정선, “수퍼바이저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14편, 제2호, pp.360-451, 2006.
  28. 이홍민, 역량 평가, 리드리드 출판, 2009.
  29. 박천오, 김상묵, “정부산하단체 임원의 공통 직무수행역량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5권, 제1호, pp.1-25, 2004.
  30. 김현주, 전상길, “역량기반인적자원관리의 적용에 관한 연구 : 한국기업을 위한 상황론적 접근”, 인사.조직연구, 제14권, 제2호, 2006.
  31. 정승수, 역량기반 인사관리 시스템의 발전방안 연구,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2. T. Herdin and D. Stanley, Job Roles in Human Services, Vol.2, Social Worker. Task Analysis in Human Services Special Project., 1982.
  33. Dalton, Bruce, Wright, and Lois, “Using Community Input for the Curriculum Review Process,” J. of Social Work Education, Vol.35, No.2, 1999.
  34. Association of Social Work Boards Examination Program, Analysis of the Practice of Social Work: Final Report. Culpeper, VA: Association of Social Work Boards, 2003.
  35. J. Damron Rodtiguez, F. P. Lawrence, D. Barnett, and W. Simmons, "Developing Geriatric Social Work Competencies for Field Education," J.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Vol.48, pp.139-160, 2006. https://doi.org/10.1300/J083v48n01_10
  36. 이채욱, 사회복지사의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 및 경력개발방안,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문수정, 김계현, “상담수퍼비전 교육내용 요구분석”,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제12권, 제1호, p.1, 2000.
  38. R. L. Dunn, The Knowledge and Competencies of Effective School Counselor Supervision, Ph. D. dissertation Ohio State University, 2004.